Mending ties in hard times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Mending ties in hard times (KOR)

YOU SANG-CHUL
The author is the head of the China Institute at the JoongAng Ilbo.

 It is quite strange. Whenever the Olympics are held in Beijing, Korea-China relations plummet. At the opening ceremony for the 2008 Beijing Olympics, Korean athletes did not receive China’s welcome. They did not receive the same applause given to Taiwan and Japan. In the preliminary baseball round between Korea and Japan, China cheered for Japan. At the archery final, Chinese spectators whistled and interrupted whenever Korean archers were getting ready.

Korea was upset too. At the closing ceremony, a map labeling the East Sea as the “Sea of Japan” was displayed.

Hanbok, Korean traditional clothes, being featured in the opening ceremony and biased decisions led to criticism that Sinocentrism was swallowing the Olympics. Chinese people poured the throwing up emoji face all over online posts relating to Korean athletes and their cheering squads. Why is this being repeated? It is not accidental but a result of accumulated emotions.

The direct cause that triggered the anti-Korean sentiment in China in 2008 was one Korean broadcaster’s rush to report the Olympic ceremony rehearsal, spoiling the opening event. But what’s more important is the fact that the sentiments had already significantly worsened. Korea was upset that China was stealing Korea’s Goguryeo history, and China claimed that Korea stole the Dano (the 5th day of the fifth month of the lunar calendar) tradition. Disputes over historical and cultural origins continue.

This year is no different. The root is China’s 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 (Thaad) retaliation that started in 2016. Armed with patriotism, China claimed that Korean culture originates from China in general, including kimchi and hanbok, and the bilateral relations have since fallen into a bottomless pit.

Then, should the Korea-China relations be left as is? That is not the case. In 2008, a Korean resident in China started a campaign of approaching with a humble and warm mindset. Then Chinese President Hu Jintao showed goodwill by visiting Korea only 13 hours after the closing of the Beijing Olympics.

How should the gap between Korea and China, affirmed through the Winter Olympics, be closed? Who will take the job? On Feb. 8, Hwang Dae-heon, the men’s 1500-meter short track speed skating gold medalist, posted words by Michael Jordan on social media. “Obstacles don’t have to stop you. If you run into a wall, don’t turn around and give up. Figure out how to climb it, go through it, or work around it.”

Hwang wrote it when he was disqualified, not when he won the medal. Korea-China relations are in jeopardy, but we should all seek ways to reach a resolution. Such an effort should be made in hard times, rather than when everything is working well.
 
 
 
베이징올림픽과 한·중 관계
유상철 중앙일보 중국연구소장
 
참 묘하다. 중국 베이징에서 올림픽이 열릴 때마다 한·중 관계가 곤두박질치니 말이다. 2008년 베이징 여름올림픽 개막식에서 한국 선수단은 중국의 환대를 받지 못했다. 대만과 일본에 쏟아진 우렁찬 박수가 우리에겐 없었다. 한일 야구 예선전서 중국은 일본을 응원했고 양궁 결승에선 우리 선수가 시위를 당길 때마다 중국 관중이 휘파람을 불며 방해했다. 한국도 화가 났다. 폐막식 행사에서 동해를 ‘일본해’로 표기한 지도가 등장한 것이다. 올해 베이징 겨울올림픽 또한 한·중 관계의 악재로 작용했다.  
 
개막식에 등장한 한복과 편파판정 등으로 ‘중화주의가 올림픽을 삼켰다’는 비난이 나왔고, 중국 네티즌은 한국 선수와 응원단에 ‘구토 이모티콘’을 퍼부으며 맞섰다. 왜 이런 일이 반복되나. 우발적이라기보다 감정이 누적된 결과다. 2008년 당시 중국내 반한감정을 촉발한 건 한국의 한 방송사가 올림픽 리허설을 미리 보도해 개막식 김을 뺀 게 직접적 원인이다. 그러나 보다 중요한 건 그 전에 양국정서가 극히 나빠져 있었다는 점이다. 한국은 중국이 고구려사를 빼앗아 간다고, 중국은 한국이 단오절을 훔쳐간다며 격렬하게 대립했다. 이후 역사전쟁과 문화원조 논쟁이 벌어졌다.  
 
올해도 마찬가지다. 그 뿌리는 2016년 시작된 중국의 사드(THAAD) 보복이다. 이후 애국주의로 무장한 중국이 김치와 한복 등 한국문화 전반에 대해 중국기원론을 펼치며 양국관계는 나락으로 떨어진 상태다. 그렇다고 한·중관계를 이대로 둬야 하나. 아닐 것이다. 2008년 주중 한국교민은 겸손하고 따뜻한 마음으로 다가가자는 ‘겸따마다’ 운동을 펼쳤다. 그리고 중국의 1인자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은 올림픽이 폐막한 지 불과 13시간 만에 한국을 찾는 성의를 보였다.  
 
그렇다면 올해 베이징 겨울올림픽을 통해 확인한 한·중양국의 틈은 어떻게 메워야 하나. 누가 삽을 들 건가. 이와 관련 남자 쇼트트랙 1500m에서 금메달을 딴 황대헌이 지난 8일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올린 미 농구황제 마이클 조던의 말이 시사하는 바 크다. “장애물이 반드시 너를 멈추게 하는 건 아니다. 벽을 만나면 돌아가거나 포기하지 말라. 어떻게 그 벽을 오를지 해결책을 찾고 그 벽을 이겨내라.”  
 
황대헌은 이 말을 자신이 메달을 땄을 때가 아닌 실격판정을 받았을 때 적었다. 한·중관계가 어렵다. 어렵지만 다 같이 방법 찾기에 나서야 한다. 그런 노력은 좋을 때보다 어려울 때 해야 맞지 않겠나.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