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ing overtime in sports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Playing overtime in sports (KOR)

HAN YOUNG-IK
The author is the political news editor of the JoongAng Ilbo.

In the world of sports, overtime is played when the winner is not determined within the regularly allotted time. It is the cold rule of the game that there is no draw. Overtime is often played in tournaments in the World Cup or the Olympics. The method of the overtime differs depending on the type of sports and the time period.

An overtime game that Koreans remember vividly is the round of 16 match between Korea and Italy in the 2002 World Cup. After a 1-1 tie, Ahn Jung-hwan scored a dramatic header in overtime, and the game ended in Korea’s victory at 2-1. The golden goal rule defines that a goal scored in overtime ends the game.

FIFA introduced the golden goal rule in 1993 for a number of reasons. First of all, it can end the match quickly to save the players from physical exhaustion. FIFA also expected that each team would play aggressively to score that one extra goal. But players actually tend to be more defensive as they know the game will end if they conceded a goal. The golden goal was abolished following the 2006 World Cup.

Baseball has an overtime game rule called “automatic runner” in extra innings. A recent example was in the 2008 Beijing Olympics. If the winner is not determined by the end of the 10th inning, two runners will be placed on first and second base from the 11th inning. As two runners can be designated as the 2nd and 3rd batters, batting can start from the fourth batter. This increases the chance of ending the game quickly.

There is also overtime in martial arts events. In judo, when two players are tied, the round goes on until one side gets ippon or waza-ari to win, or gets three shido, or guidance, to lose. There is no time limit. In Korean ssireum, a 30-second overtime match is played when there is a draw. If the game does not end there, players are weighed on the spot, and the lighter player wins.

Analysts say that the upcoming local elections on June 1 is overtime for the presidential election. It is held only 20 days after the new administration is established. The last presidential election was a very close one, as the president was elected by a margin of just 0.7 percent.

I am concerned that the local election agenda is dominated by national political issues, such as stripping the prosecution of its investigation authority. It is hard to find the spirit of grassroots democracy. I hope candidates focus on the issues of their neighborhoods, as local elections are not an overtime play of the presidential election.
 
 
 
연장전
한영익 정치에디터
 
 
스포츠 세계에서 연장전은 정규시간이 끝나도 승부가 나지 않을 때 승패를 가리기 위해 치러진다. 무승부는 없다는 냉정한 게임의 룰이다. 월드컵·올림픽 등 단판 승부 토너먼트 대회에서 자주 등장한다. 연장전을 치르는 방식은 종목이나 시기별로 조금씩 다르다.  
 
한국 국민의 뇌리에 깊게 남은 연장전은 2002년 한·일 월드컵 이탈리아와의 16강전이다. 1대1 동점으로 맞은 연장전에서 안정환이 극적인 헤딩골을 성공시킨 직후, 2대1 한국의 승리로 경기는 끝났다. 연장전에서 골을 넣으면 그 즉시 게임이 종료되는 '골든골' 룰 덕분이다.  
 
국제축구연맹(FIFA)은 1993년 다목적 포석으로 '골든골 제도'를 도입했다. 경기를 빨리 끝내 선수들의 체력소모를 줄일 수 있고, '한 골만 넣으면 된다'는 마음에 각 팀이 공격적 경기를 할 거란 기대가 있었다. 하지만 실제론 '한 골만 실점하면 끝'이라는 생각에 수비적 흐름의 연장전이 속출했다. 2006년 월드컵부터 골든골 제도는 폐지됐다.  
 
야구에는 '승부치기'라는 연장전 승부기법이 있다. 최근 사례는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이다. 10회 말까지 승부가 나지 않으면 11회부터 주자 2명을 1루·2루에 보낸 상태서 공격을 진행하게 했다. 주자 2명을 2·3번 타자로 지정하고 공격은 4번 타자부터 하도록 타자순번을 조정할 수도 있다. 경기를 빨리 끝낼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다.  
 
낯설지만 격투종목에도 연장전이 있다. 유도는 양쪽 모두 동점일 경우, 절반이나 한판을 따내거나 한쪽이 지도패(지도 3회)를 받을 때까지 경기한다. 시간제한은 없다. 씨름은 승부가 나지 않으면 30초짜리 연장전을 벌인다. 여기서 승부가 나지 않으면 현장서 몸무게를 측정해 체중이 가벼운 쪽이 이긴다.  
 
6·1 지방선거를 두고 대선 연장전이란 분석이 나온다. 새 정부 출범 후 약 20일 만에 치러지는, 역대 최단기간 선거여서다. 더욱이 지난 대선은 0.7%포인트 초박빙으로 끝났다.  
 
지방선거 의제마저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 등 전국 정치이슈가 압도하고 있다는 점도 우려스럽다. 지방선거를 치르는 이념적 근거가 된 '풀뿌리 민주주의'의 정신은 찾아보기 어렵게 됐다. 후보들이 지금이라도 주변과 이웃의 문제에 더 집중해줬으면 한다. 지방선거는 대선 연장전이 아니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