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acing for fiscal tightening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Bracing for fiscal tightening (KOR)

The U.S.-led tightening has taken off. The U.S. Federal Reserve delivered a back-to-back increase in the rate target in double the pace of 50 basis points to place the Fed fund range between 0.75 percent and 1 percent, closing on Korea’s benchmark of 1.5 percent. The rate increase by the Fed was in line with expectations from market watchers.

Fed chief Jerome Powell strongly indicated additional half-point increases in the following meetings, which could escalate the U.S. rate’s top target to 2 percent in July. The Bank of Korea’s new governor, Rhee Chang-yong, is scheduled to chair his first rate-setting meeting on May 26. To pre-emptively put the Korean rate ahead of the U.S. rate, another increase after a hike in April is expected.

The trajectory of U.S. rate increases to help contain inflation has often caused tantrums in emerging markets. Capital pulls out of emerging markets to funnel into the U.S. market yielding strong dollar and interest returns. Korea usually bears the brunt.

Foreign selling has already been heavy in Korean capital markets, weakening stock, bond and won value. The three-year government bond yield hovers above 3 percent to eight-year highs and average bank credit loan rate exceeds 5 percent annually.

Swelling household debt from Covid-19 and real estate policy failures pose a grave risk to the Korean economy. Individuals who had sought out debt for stock and property purchases would be alarmed. Rising interest rates would increase debt financing costs to dampen consumption and spur delinquencies in debt obligations.

Household debt in financial institutions reached 1,756 trillion won ($1.4 trillion) by December, surging over 250 trillion won from the pre-Covid-19 period. When loans to the self-employed, small merchants and nonprofit organizations are added, debt load goes up to 2,200 trillion won, overwhelming Korea’s gross domestic product. Household debts are mostly lent on floating rates, which makes them even more vulnerable to rate increases.

The new government under Yoon Suk-yeol’s presidency address the economy with urgency after it launches on May 10. It must do its utmost to stabilize prices and livelihoods as well as containing soaring household debts. Excessive regulations need to be lifted to help normalize the real estate market, but such a move must not trigger a further rise in household debt. The policy imbalance from monetary tightening versus fiscal stimuli should be averted. At the same time, the financial authorities must be more aggressive to strike a currency swap deal with the U.S. to bolster the Korean won. The government must put aside political and ideological interests to protect people’s livelihoods against a wave of external uncertainties.
 
 
 
미국 금리인상 '빅스텝', 긴축시대 대비해야
 
Fed 추가인상 시사, 신흥국 '긴축발작' 우려
가계빚 관리하고 한미 통화스와프 추진해야
 
 
미국이 주도하는 '긴축의 시대'가 본격적인 막을 올렸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는 기준금리인 연방기금 금리를 또다시 올렸다. 통상적 수준(0.25%포인트)을 뛰어넘는 '빅스텝'(0.5%포인트) 인상이다. 이로써 연준의 기준금리는 연 0.75~1%가 됐다. 한국은행 기준금리(연 1.5%)와의 격차는 0.5~0.75%포인트로 좁혀졌다. 연준의 이번 금리인상 폭은 전문가들이 사전에 예상했던 수준과 부합한다.  
 
제롬 파월 연준의장은 향후 두어 차례 회의에서 금리를 0.5%포인트씩 추가로 인상할 수 있다는 뜻을 강하게 시사했다. 이르면 오는 7월엔 기준금리 상단을 연 2%까지 올릴 수 있다는 얘기다. 오는 26일에는 이창용 신임 한은총재가 처음으로 주재하는 금융통화위원회가 열린다. 한국과 미국의 금리역전을 방지하기 위해 한은도 추가인상에 나설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역사를 돌아보면 연준이 고물가를 잡기 위해 돈줄을 조일 때 신흥국에선 '긴축발작'이 일어난 경우가 적지 않다.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달러가치가 급등하자 신흥국에 투자한 외국인 자금이 일제히 빠져나가면서 발생하는 충격이다. 한국도 안심할 상황이 아니다. 이미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도공세로 주식·채권·원화 값이 모두 하락하는 '트리플 약세'가 나타났다. 시장금리(국고채 10년물)는 8년 만에 최고수준으로 뛰어올랐고 은행 신용대출 평균 금리는 연 5%를 넘어섰다.  
 
코로나19 위기와 부동산 정책실패 여파로 과도하게 불어난 가계부채는 한국경제의 대표적 위험요인이다. 무리한 빚을 얻어 주식이나 부동산을 사들인 ‘빚투’ 가계에 비상이 걸렸다. 금리가 계속 오르면 가계의 이자부담이 커지면서 소비위축과 채무불이행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가계가 금융회사에서 빌린 돈은 지난해 말 기준 1756조원에 달했다.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하면 250조원 넘게 증가했다. 여기에 소규모 자영업자와 비영리법인을 더한 가계 금융부채는 2200조원으로 명목 국내총생산(GDP)의 100%를 넘어섰다. 가계대출에서 고정금리보다 변동금리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은 것도 불안한 부분이다.  
 
나흘 뒤 출범하는 윤석열 정부는 국내외 경제상황에 비상한 인식을 가져야 한다. 물가와 서민 생활안정에 총력을 기울이면서 가계부채의 고삐를 단단히 조여야 한다. 부동산시장을 정상화하기 위해 불합리한 규제는 풀어야겠지만 가계부채가 급증하는 부작용을 초래해선 안 된다. 한쪽에선 금리를 올려 돈줄을 죄는데 다른 쪽에선 대규모 재정지출로 돈 풀기 신호를 보내는 정책의 엇박자도 금물이다. 외환시장 안정을 위한 장치로 한·미 통화스와프(맞교환)도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다. 대외 불확실성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이면서 정파와 이념에 얽매이지 않고 민생을 위한 최선의 방안을 찾기 바란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