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rets to lowering the Misery Index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Secrets to lowering the Misery Index (KOR)

PARK HYUNG-SOO
The author is an international news reporter of the JoongAng Ilbo.

Gallup publishes the Misery Index after surveying 150,000 people in 140 countries every year. Rather than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company hires interviewers in each country. Then it educates and dispatches them across the country to meet people of all walks of life in person.

Gallup quantifies misery by adding emotional anguish from sadness, stress, anger and worry to physical pain. In 2006, the first year of the survey, the index was 24, and last year, it rose to 33. In the meantime, the Positive Experience Index based on satisfaction, pleasure, laughter, respect and learning rose by only one notch, from 68 to 69, in the same period.

Last month, Gallup CEO Jim Clifton wrote about five causes of increasing misery in a contribution to the Economist: poverty, loneliness, fatigue, inequality and social media. He explained that the decreasing trend of global hunger has stopped, the harm of loneliness is equivalent to smoking a pack of cigarettes a day, and statistics show that workers are more likely to be exposed to negative emotions than the unemployed.

What inequality and social media have in common is “comparison.” Inequality inevitably leads to comparison. Social media has made comparison routine. Comparing to friends and neighbors is hard enough, but on social media, people around the world invite users deep into their homes to show off. Clifton warned that comparison is stealing joy.

Koreans are no exception to misery from comparison. Korea has long had the highest suicide rate among the OECD member countries. Alcohol-related deaths nearly doubled to 5,155 in 2020 over the past two decades. Drug offenders are on the rise. Experts diagnose that as social media is widely used, people feel a sense of deprivation that they are worth less than others.

Should we stop comparing to lower the misery index? University of Toronto Professor George Peterson wrote in “12 Rules for Life” that comparison should not be done with others but with self. Rather than stop comparing, change the object of comparison. Rather than blaming your rival, boss or capitalism, clean your desk first. Spend at least one minute a day to organize the stack of documents on your desk. Another useful tip is to think one to five minutes ahead rather than looking far to the future. When you face the immediate problem and resolve it, you can meet today’s yourself, less miserable than yesterday’s you.
 
 
 
불행지수
박형수 국제팀 기자
 
 
미국 여론조사기업 갤럽은 매년 140여개 국, 15만 명을 조사해 ‘불행지수’를 발표한다. 구조화된 설문지 대신, 국가별로 면접관을 고용하고 교육한 뒤 전국으로 파견해 각계각층 사람들과 대면인터뷰를 하는 방식이다. 엄청난 시간과 공이 들어간다.
 
갤럽은 불행을 슬픔·스트레스·분노·걱정 같은 정서적 괴로움에 육체적 고통을 더해 수치화한다. 조사 첫해인 2006년엔 24였던 불행지수는, 지난해 33으로 뛰어올랐다. 반면 만족감·즐거움·웃음·존중받음·배움 등의 총합인 ‘긍정적 경험 지수’는 같은 시기 68에서 69로, 단지 1이 늘었다.
 
짐 클리프턴 갤럽 대표는 지난달 경제전문지 이코노미스트 기고문에서, 불행의 증가 원인을 다섯 가지 추려냈다. 빈곤·외로움·고단함·불평등, 그리고 소셜미디어다. 그는 “세계의 기아 감소추세는 멈췄고, 외로움의 해악은 하루에 담배 한 갑을 피우는 것과 같으며, 통계상 직장인은 실업자보다 부정적 감정에 노출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불평등과 소셜미디어의 공통점은 ‘비교’다. 불평등은 필연적으로 비교로 이어진다. 소셜미디어는 비교를 일상화했다. 친구·이웃과의 비교도 벅찬데, 소셜미디어 속에선 전 세계인이 제 집안 깊숙한 곳까지 초대해 갖가지 자랑거리를 꺼내 놓는다. 클리프턴 대표는 “비교는 기쁨 도둑”이라 경고했다.
 
‘비교 불행’이라면 한국도 빠질 수 없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자살률 1위가 된 지 오래다. 알코올 관련 사망자는 2020년 5155명으로, 2000년(2698명) 대비 거의 두 배다. 마약 사범도 빠르게 늘고 있다. 전문가들은 “소셜미디어 대중화 등으로 ‘나는 남보다 못하다’는 상실감이 커진 탓”이라 진단했다.  
 
불행지수를 낮추려면 비교를 멈춰야 할까. 조지 피터슨 토론토대 교수는 『12가지 인생의 법칙』에서 “비교는 타인이 아닌, 자신과 하는 것”이라 조언한다. 비교를 멈추려 하지 말고 대상을 바꾸라는 얘기다. 구체적인 방법도 제시한다. “라이벌·상사·자본주의 탓하지 말고, 책상 위부터 치우라”고 권한다. 하루 1분씩이라도 책상 한 쪽에 묵혀둔 서류더미를 정리하는 데 집중하라고 한다. 또 삶을 장기적으로만 보지 말고, 5분 또는 1분 앞을 생각하라는 귀띔도 유용하다. 눈앞의 문제를 마주하고 해결할 때, ‘어제의 나’와 비교해, 덜 불행해진 오늘의 나를 만날 수 있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