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origin of the Thaad crisis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he origin of the Thaad crisis (KOR)

YOU SANG-CHUL
The author is the head of the China Institute of the JoongAng Ilbo.

The Korea-China Thaad conflict has resurfaced after Foreign Minister Park Jin visited China last week. In response to China’s claim on “Three nos” plus “one restriction,” Koreans object. They wonder what the one restriction is anyway. Having experienced the Thaad crisis, our understanding of the issue is still insufficient.

The three nos refers to no additional Thaad deployments, no joining of a broader U.S. missile defense system and no Korea-U.S.-Japan military alliance, while the one restriction refers to the previous Moon Jae-in administration’s promised to limit the operation of the Thaad batteries already deployed in Korea. They were mentioned when “the results of bilateral consultations on improving Korea-China relations” were announced on Oct. 31, 2017.

More precisely, the “one restriction” China is talking about is that Korea will take appropriate measures so that the Thaad deployed in Korea does not harm China’s security interests, and communicate through channels between the military authorities of the two countries.

The results of the Oct. 31 consultation are divided into five paragraphs, with the three nos in the fourth paragraph and a restriction in the third paragraph. If you look at the third paragraph, China takes a position that tolerates the deployment of Thaad in Korea. As Korea says that the Thaad is not aimed at China, China is asking Korea to take “appropriate measures” so that it can believe Korea’s claim.

At that time, there were rumors that China had requested Korea inform China about the Thaad operation status or install a barrier to prevent the Thaad radar from being directed toward China.

Since then, Korea only addressed the three nos and ignored the one restriction. Why? The one restriction China demanded is out of Korea’s scope of implementation. What can Korea do about the Thaad that is operated by the United States? This is where the problem arises. The Korean government made China have false expectations by talking about something Korea cannot fulfill. The problem is self-evident. Why did this happen?

The answer can be found if you look at by whom the consultation was made. Korea was represented by Nam Gwan-pyo, the second deputy director of the National Security Office, and China was represented by Kong Xuanyou, assistant foreign minister of China. The Korean Foreign Ministry did not take a part in drafting the document. As a result, the document was written entirely in favor of China, leaving room for being attacked by China in the future.

The harm of the Thaad dispute runs wide and deep. It affects three administrations, Park Geun-hye, Moon Jae-in and Yoon Suk-yeol. To prevent such an unfortunate incident from happening again, we must reflect on what went wrong from the start.
 
 
 
사드 ‘3불’과 ‘3불1한’
유상철 중앙일보 중국연구소장
 
 
한중 사드(THAAD)갈등이 지난주 박진 외교부 장관의 방중을 계기로 다시 불거졌다. 중국의 3불1한(三不一限) 주장에 국내에선 ‘중국이 3불에 1한을 덧붙였다’, ‘1한이 도대체 뭐냐’ 같은 반발이 나온다. 답답하다. 한중수교 이래 최대악재인 사드사태를 겪으면서도 이에 대한 우리의 이해가 아직도 너무 부족하다. 3불은 2017년 10월 31일 ‘한중관계 개선 관련 양국간 협의결과’가 발표되며 나온 말이다.  
 
한국이 ① 미국의 미사일 방어망에 가입하지 않고 ② 사드를 추가 배치하지 않으며 ③한·미·일 군사협력이 동맹으로 발전하지 않게 한다는 내용이다. 중국측이 말하는 '1한'은 한국에 배치된 사드가 중국의 안보이익을 해치지 않도록 한국이 적절한 조치를 취하며 이와 관련 양국 군당국간 채널을 통해 소통하자는 것이다. 10·31 협의결과는 크게 다섯 문단으로 돼 있는데 '3불'은 네 번째 문단에, 그리고 '1한'은 세 번째 문단에 나온다.
 
세 번째 문단을 보면, 중국은 한국내 사드배치를 어쩔 수 없이 용인하는 입장이다. 그런데 한국이 이 사드가 중국을 겨냥한 게 아니라 하니 그렇다면 중국이 믿을 수 있게끔 ‘적절한 조치’를 취해 달라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군사채널을 통해 확인하자는 것이다. 당시 중국은 한국이 사드운용 상황을 중국측에 알려주거나 사드 레이더가 중국을 향하지 못하도록 차단막 설치 등을 요구했다는 이야기가 돌았다.  
 
이후 한국은 '3불'만 따졌고, '1한'은 모른 체했다. 왜? '1한'은 한국의 실행범위를 벗어나 있었기 때문이다. 미국이 운용하는 사드를 한국이 어떻게 할 수 있겠는가. 문제는 바로 여기에 있다. 한국이 해줄 수 없는 걸 중국측에 얘기하는 바람에 중국측에 잘못된 기대를 갖게 한 것이다. 결국 우리가 '1한'을 못 해주면서 사드사태가 미해결의 어정쩡한 상태에 처했다. 문제는 자명하다. 10·31 협의결과가 잘못된 것이다. 왜 이런 일이 생겼나.  
 
협의가 누구 사이에 체결됐는가를 보면 답이 나온다. 한국측은 ‘남관표 국가안보실 2차장’이고, 중국측은 ‘쿵쉬안유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 부장조리’다. 우리 외교부가 문안작성에 참여하지 못했다고 한다. 그 결과 문안이 중국에 철저히 유리하게 작성돼 훗날 중국에 공격을 당할 빌미를 남겼다. 사드갈등 해악은 깊고도 넓다. 박근혜·문재인·윤석열 세 정권에 영향을 미친다. 이런 불행한 사건이 재발하지 않도록 뭐가, 왜, 어떻게 잘못됐는지 우리의 철저한 성찰이 필요하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