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prietary rights to your voice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Proprietary rights to your voice (KOR)

SHIM SAE-ROM
The author is a political news reporter at the JoongAng Ilbo.

If the face has the portrait right, the voice has the right of voice. The right of voice refers to the right not to have one’s voice recorded or published without permission. The court first recognized the right in a ruling four years ago. In October 2018, the Seoul Central District Court ruled that everyone has a basic Constitutional right not to have their voices recorded without consent, and the appeals court accepted this.

The right of voice began to be protected after it was rapidly violated defenselessly in recent years. In the past, recording was done by small voice-recording devices. But now, anyone can freely record anytime, anywhere, using a smartphone. Samsung Galaxy and other smartphones offer a recording function during a call.

As dashboard cameras are especially common in Korea, they often record voices unintentionally. The auto industry estimates that 80 to 90 percent of cars in Korea have dash cams as Koreans like to do things “by the law” and “preserve the evidence.” It is a stark contrast from the U.S., Europe and even Japan, where only 10 to 20 percent have dash cameras.

Recording without consent is not always inspired by bad intentions. The Seoul Transportation Corporation distributed 700 ID lanyards with a recording function to employees on July 18. Station staff suffer from verbal and physical violence by subway riders more than 150 times a year. It is an unspoken rule among nurses, salespeople, golf caddies and hospitality workers to carry smartwatches, IDs with a recording function, or USB-shaped recorders. It is a self-defense measure as they are constantly exposed to sexual harassment and abusive language from unruly patients or customers.

Recently, an amendment to the Law on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to punish recording conversations without the consent of the other party by up to 10 years in prison triggered controversy. On August 18, Rep. Yoon Sang-hyun from the People Power Party proposed the bill, with 10 other lawmakers from the governing party, claiming that unauthorized recording violates the right of voice, a part of the Constitutional right to the pursuit of happiness.

When lawmakers have a phone call, teatime or meal with reporters, I often see them checking if it is being recorded. When I was asked, “Are you recording what I am saying now?” I realized that the best answer is, “Oh, I should have, but didn’t.”
 
 
 
음성권
심새롬 기자
 
 
얼굴에 초상권이 있다면, 목소리에는 음성권이 있다. 음성권은 자신의 음성이 허가 없이 녹취되거나 공표되지 않을 권리를 뜻한다. 법원은 4년 전 판례에서 음성권의 실체를 처음 인정했다. 2018년 10월 서울중앙지법이 ‘누구나 자신의 음성이 함부로 녹음되지 않을 헌법상 기본권을 가진다’고 판시했고 항소심도 이를 받아들였다.  
 
실정법 보호를 받기 시작한 데는 최근 몇 년간 음성권이 무방비로 빠르게 침해받은 환경이 영향을 미쳤다. 과거 녹취에는 ‘보이스레코더’ 등으로 불린 소형기계가 사용됐다. 하지만 이젠 스마트폰 이용자 누구나 언제, 어디서건 주변 소리를 자유롭게 녹음한다. 삼성 갤럭시 등 국내 스마트폰에는 통화 중 녹음기능도 있다.  
 
유독 높은 차량용 블랙박스 보급률 역시 부지불식간 음성녹취를 빈번히 일으키는 요인으로 지목된다. ‘법대로’, ‘증거 보존’을 좋아하는 한국인들의 차량용 블랙박스 보급률이 거의 80~90%에 달한다는 게 업계 추산이다. 미국·유럽 등 서구뿐 아니라 이웃나라 일본도 아직 보급률이 10~20%에 머무는 것과 대조적이다. 대체로 사용자가 녹음기능을 해제할 수 있게 설계하지만, 모르고 그냥 차량에 달아두는 경우가 더 많다.  
 
몰래 녹음이 늘 나쁜 의도로 취급되진 않는다. 서울교통공사가 지난달 18일 직원들에게 녹음기능을 탑재한 목걸이형 신분증 700여개를 지급했다. 연간 150건이 넘는 지하철 이용객들의 폭행·폭언에 시달리는 역무원들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다. 간호사·판매원·캐디 등 접객업무 종사자들 사이에서도 스마트워치나 사원증, USB 모양의 녹음기를 소지하는 게 불문율이라고 한다. 성희롱성 발언이나 폭언, 이른바 ‘진상’ 손님 등에 상시 노출된 이들이 찾아낸 일종의 자기방어책이다.  
 
이런 가운데 상대방 동의 없는 대화녹음을 최대 징역 10년형으로 처벌하는 내용의 통신비밀보호법 개정안이 등장해 논란이다.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이 지난 18일 “동의받지 않은 녹음이 헌법상 행복추구권의 일부인 음성권을 침해한다”며 박덕흠·김선교·박대수 의원 등 같은 당 의원 10명과 함께 법안을 발의했다.  
 
의원들이 기자와의 통화, 티타임, 식사 자리에서 녹음여부를 살피는 장면을 종종 마주하곤 한다. “지금 내 말 녹음 (안)하나”란 질문에 가장 좋은 답은 “앗, 해야 했는데 하지 않았다”라는 걸 알았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