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brave decision by BTS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A brave decision by BTS (KOR)

BTS ended the dispute over their military enrollment. The K-pop superstar’s agency announced all seven members would fulfill their military duty starting with the eldest, Jin, who could be called for duty within the year. They will be upholding their duties according to their will, not by force.

BTS has never asked for favoritism, and yet politicians repeated the controversy to ride on their fame. BTS was summoned to tag along with former president Moon Jae-in on his trip to the UN General Assembly and to show up at various political events. The Moon administration called for a military exemption for them as a reward. But it ended the term with much talk and no action.

The new Yoon Suk-yeol administration also leveraged on BTS. Despite their announcement for a hiatus, they were called up to hold a Busan concert to support the city’s bid for the 2030 World Expo. The mayor of Busan and leaders of the People Power Party also demanded military exemptions for BTS. The defense minister in August suggested he would refer to a public poll, but he withdrew the plan upon public protest.

It was BTS who put an end to the talks. Their decision was as matured as their musical achievements.

Under the current Conscription Act, athletes can be exempted from military duty if they win medals at the Olympics or Asian Games. In fine arts, exemptions can be made for awardees of 42 recognized competitions at home and abroad. The guidelines differed from time to time. For players at the 2002 World Cup, the exemption was allowed when the national team made the round of 16, and in the case of the World Baseball Classic Games in 2006, the waiver came when they made the semi-finals.

When the exemption provision was made in 1973, awareness of athletes and artists was low. Their contribution to the national dignity was also rare. There were also excess able men for conscription in the 1970s and 1980s. The only son over three generations was even exempted from conscription until 1993.

The rules must change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times. Conscription resources have been thinning due to the low birthrate, which led to the disbanding of the prized 27th Infantry Division. Exemptions as in the past are no longer possible. The reality where the winner of an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 is exempted from military duty while a K-pop star topping Billboard Music Charts cannot is disputable as there are no convincing grounds. Exemption itself could seem unfair to general conscripts.

The government must address the issue with responsibility. Politicians must come up with reasonable outlines, not popular ones. Additional exemptions are not needed for the sacred military duty.
 
 
 
신성한 병역 의무 돌아보게 한 BTS 군입대
 
정치권, BTS 이용만 하고 논란 키워
병역자원 감소…특례 남발해선 안 돼
 
 
수년간 계속된 병역특례 논란에 방탄소년단(BTS) 스스로 마침표를 찍었다. 그제 BTS 맏형 진(본명 김석진)이 연말 입대를 확정하면서다. 다른 멤버들도 순차적으로 병역을 이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떠밀리기 식 입대가 아니라 자진 입대라는 점에서 BTS다운 떳떳한 결정이라는 응원이 잇따랐다.  
 
BTS는 그동안 “병역은 당연한 의무”라고 밝혀왔다. ‘어떻게 생각해’란 노래 가사에서는 ‘군대는 때 되면 알아서 가겠다' '우리 이름 팔아먹으면서 숟가락을 얹으려고 한다’ 등의 속마음을 내비쳤다.  
 
오히려 특례 논란을 부추긴 건 BTS의 명성과 인기에 편승한 정치권이었다. 특히 지난 정부에서 BTS는 문재인 전 대통령과 유엔 총회에 동행하는 등 국가적 행사에 많이 참석했다. 보답이라도 하듯 당시 여권은 병역특례를 주장하는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나 지난 정부는 말의 성찬만 늘어놓고 문제를 매듭짓지 않은 채 임기를 마쳤다.  
 
윤석열 정부도 BTS에 편승하긴 마찬가지다. 지난 15일 BTS가 부산엑스포 유치 기원 콘서트를 열고, 박형준 부산시장과 국민의힘 지도부가 수차례 병역특례를 주장했다. 그러나 지난 8월 국방부 장관이 여론조사 참고 방침을 밝혔다가 철회할 만큼 뚜렷한 해결책 없이 우왕좌왕했다.  
 
논란을 끝낸 것은 당사자들이다. 뛰어난 음악적 성취만큼 입대 결정도 의연하고 성숙했다. BTS 자진입대 결정의 의미는 포상처럼 주어지는 병역특례를 개선하는 데 있다. 현행법상 체육인은 올림픽·아시안게임에서, 예술인은 국내외 42개 대회 입상 시 특례를 받는데 기준이 그때그때 고무줄이다. 2002년 월드컵에선 16강 이상, 2006년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 때는 4강 진출 시 병역특례를 줬다.  
 
1973년 병역특례가 처음 생겼을 당시엔 체육·예술인에 대한 인식이 낮았고, 이들의 국가적 기여가 지금처럼 크지 않았다. 병역자원도 풍부해 1970~80년대 교대생들은 재학 중 군사훈련만 받으면 졸업과 동시에 하사로 예편했다. 1993년까지 3대 이상 독자는 군 면제 처분을 받았다.  
 
시대가 변하면 제도 역시 바뀌어야 한다. 최근 ‘이기자 부대’로 불리는 27사단의 해체 결정이 나올 만큼 병역자원 감소는 심각하다. 지금처럼 광범위한 특례 제도 운영은 불가능하단 이야기다. 클래식 콩쿠르 수상자는 병역특례가 되고, 빌보드 1위는 불가하다는 기준도 원칙이 없어 보인다. 청년들은 특례 자체가 불공정이라는 인식도 크다.  
 
정부는 책임 있는 자세로 이 문제를 풀어야 한다. 여야 정치권도 말만 무성한 공치사를 늘어놓을 게 아니라, 특례 제도의 존폐 여부를 포함해 시대 변화에 발맞춘 합리적인 제도 개선안을 내놔야 한다. 기본적으로 신성한 병역 의무에 자꾸 예외를 덧붙여선 안 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