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ountain] A blessed land in distress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he Fountain] A blessed land in distress (KOR)

SHIM SAE-ROM
The author is a communications team reporter of the JoongAng Holdings.

Syria was originally a blessed land. The area near the Euphrates River, which runs across the country, has been abundant since prehistoric times. In 1916, American archaeologist James Henry Breasted named the origin of the Mesopotamian civilization “the Fertile Crescent.”

Throughout its long history, Syria has been coveted and ruled by Egypt, Assyria, Babylon, Greece, the Byzantine Empire and France.

Since then, the modern history of Syria has been marked by tragedies. In a country 1.8 times the size of Korea, internal strife from coups and long-term dictatorship continued after a socialist regime was established.

To make matters worse, a prolonged drought hit the rich soil in 2006 as a result of climate change. The Syrian people have been suffering from a civil war over the past years since 2011, an offshoot of the formation of the militant group IS.

A UN refugee report published in June 2022 said that the number of Syrian refugees was 6.8 million, the most in the world and far greater than Venezuelan refugees at 4.6 million and Afghan refugees at 2.7 million.

Three out of 10 Syrians are wandering in foreign countries. More than half of the people totaling 23 million who stayed have unknown residences.

Their already harsh life was battered by one of the worst earthquakes in the 21st century on Feb. 6.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publicly expressing concerns about the “exclusion” of Syria in relief after the earthquake hit Turkey and Syria.

At a board meeting in Geneva on Feb. 7, WHO Senior Emergency Officer Adelheid Marschang said that Turkey had a strong capacity to respond to the crisis but Syria is in need of greater humanitarian assistance.

The human and material assistance from foreign countries seem to be concentrated on Turkey, a NATO member. But the earthquake has destroyed the roads around Syria’s northern border, which is the only supply route for civilian relief.

In the meantime, the dictatorial government of Syria insists on approving only the relief endorsed by the government. The decision only aggravates the pain. As disasters and compassion do not distinguish between nationalities or between rich and poor, we urge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respond to the needs of Syrians more quickly and wisely.
 
 
 
시리아의 슬픔
심새롬 중앙홀딩스 커뮤니케이션팀 기자
 
시리아는 원래 축복받은 땅이었다. 나라를 가로지르는 유프라테스강 인근은 선사시대부터 풍요로웠다. 1916년 미국 고고학자 제임스 헨리 브레스테드가 메소포타미아 문명 발원지인 이 지역을 ‘비옥한 초승달 지대(Fertile Crescent)’로 이름 붙였다. 긴 역사 동안 이집트, 아시리아, 바빌로니아, 그리스, 비잔틴 제국, 프랑스 등이 시리아를 차례로 탐하고 통치했다.
 
이후 시리아의 현대사는 비극으로 점철됐다. 한국의 1.8배 크기 나라에서 사회주의 정권이 수립·운영되는 와중에 쿠데타, 장기 독재 등 내정 혼란이 끊이지 않았다. 설상가상으로 2006년 기후변화에 따른 장기 가뭄이 옥토를 덮쳤다. 이슬람 무장단체(IS) 결성 등의 영향으로 2011년 내전이 터졌고, 국민은 14년째 전쟁에 시달리고 있다.  
 
유엔은 지난해 6월 발간한 난민보고서에서 시리아 난민 규모가 680만 명으로 세계 1위라고 집계했다. 2위 베네수엘라(460만 명), 3위 아프가니스탄(270만 명) 등 다른 난민국보다 월등히 많다. 시리아인(2300만 명) 열 명 중 세 명이 타국을 떠돌고, 그나마 고향에 남은 사람들은 절반 이상이 거주지 불명 상태로 살아간다.
 
이 참혹한 삶에 지난 6일(이하 현지시간) 금세기 최악 수준의 연쇄 강진이 찾아왔다. 국경을 맞댄 튀르키예·시리아 두 나라의 지진 피해를 두고 국제사회가 벌써 공개적으로 ‘구호 소외’ 우려를 보내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 아델하이트 마르샹 비상대책관은 7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이사회 회의에서 “튀르키예의 경우 위기에 대응할 역량을 갖추고 있지만 시리아에서는 인도주의적 지원 필요성이 큰 상황”이라고 말했다.
 
세계 각국의 인적·물적 지원이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 회원국인 튀르키예에 집중된다는 소식이다. 시리아는 유일한 민간 구호물자 공급로였던 북부 국경 일대 도로마저 이번 지진으로 다 잃은 상태다. 이 와중에 “정부를 통한 구호 승인”만을 고집 중인 시리아 독재정부의 태도가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다. 재난도 온정도 국적과 빈부를 가리지 않기에, 국제사회의 빠르고 지혜로운 대처를 재촉해본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