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s all about survival instinct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It’s all about survival instinct (KOR)

PARK HYUNG-SOO
The author is an international news reporter of the JoongAng Ilbo.

The most powerful instincts of a gene are survival and reproduction. Survival instinct refers to the nature to preserve self and remain alive in life-threatening situations. When survival instinct is stimulated, attention becomes sharper while short-term memory is enhanced.

Valuing one’s reputation is also the manifestation of survival instinct because your chance of survival is higher when you are not kicked out of the group you belong to. Paying more attention to criticism than compliments — and negative news than positive news — also constitutes a survival instinct to help decide when to fight or run away.

Reproduction instinct is a mode of behavior to establish a reliable pack to hunt together with and jointly respond to enemy threats — with the aim of maintaining a race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other words, descendants are the most reliable allies — and the more offspring you have, the stronger your community becomes.

Therefore, evolutionary biologists explain that reproductive instinct is also a concept for survival and that life forms prioritize their own survival over that of the next generation. Once the threat to survival exceeds a certain level, reproductive instinct is pushed back.

When does survival instinct take over reproductive instinct? In his book “The Selfish Gene,” British evolutionary biologist Richard Dawkins says that in the case of red grouses, “securing the territory” is the standard for reproduction.

In the breeding season, the birds engage in territorial disputes, and the winners take over an area larger than needed for reproduction.

Korea is an ultralow birthrate country with a total fertility rate of 0.78. The term “population cliff” or “national extinction crisis” has become a realistic warning. In some surveys, “childcare burden” and “job uncertainty” were ranked first and second as reasons for not having children.

That’s why the government is pouring out various child allowances and ways to resolve career interruption as a countermeasure against low birthrates. But according to Dawkins, rising housing prices and overcrowd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could be the causes.

Cho Young-tae, a professo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who is an authority on demography, also stressed that “the fundamental measure to tackle low birthrate may be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생존본능과 저출산
박형수 국제부 기자
 
유전자의 가장 강력한 본능은 생존과 번식이다. 생존본능은 생명을 위협받는 악조건이나 위협 속에서 자신을 보존하고 살아남으려는 본성이다. 생존본능이 자극되면 주의집중력이 활성화하고 장·단기 기억력이 높아진다. 사람이 평판을 중요시하는 것도 생존본능의 발로다. 소속된 무리에서 내쫓기지 않아야 생존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칭찬보다 비난에, 좋은 뉴스보다 부정적 뉴스에 더 눈길이 가는 것 역시 어느 순간에 맞서 싸우거나 도망갈지를 판단하기 위한 생존본능에 따른 반응이다.  
 
번식본능은 대를 이어 종족을 유지한다는 대의명분과 함께, 사냥을 함께 하고 적의 위협에 공동대응할 믿을만한 무리를 구축하려는 행동양식이다. 후손은 가장 믿을만한 자신의 아군이며, 이들이 많을수록 내가 속한 공동체가 강해지고 결과적으로 생존력이 강한 집단을 만들 수 있게 된다는 얘기다. 그래서 진화생물학자들은 번식본능 역시 생존을 위한 개념이며, 생명체는 다음 세대보다 자신의 생존을 우선시하는 존재라고 설명한다. 일단 생존위협이 일정 수준을 넘으면 번식 본능은 뒷전으로 밀려난다고 한다.  
 
생존본능이 번식본능을 압도하는 순간은 언제일까. 리처드 도킨스는 『이기적 유전자』에서 홍뇌조라는 새를 예로 들어 ‘영역 확보’ 여부가 번식의 기준이라고 말한다. 홍뇌조는 번식기에 들어서면 영역 다툼을 벌이는데, 승자는 필요한 것보다 더 많은 영역을 차지한 뒤 번식한다. 반면 영역 차지에 실패한 패자는 번식경쟁에서 도태된 뒤 굶어죽는 극단적 모습을 보인다. 비단 홍뇌조뿐 아니라 바다표범이나 레밍도 번식에 앞서 ‘밀도가 낮은 자신만의 공간’을 미리 확보한다.  
 
한국은 합계출산율 0.78의 초저출산 국가다. 인구절벽, 국가소멸 위기라는 말이 현실적 경고가 됐다. 일부 설문조사에선 아이를 낳지 않는 이유로 ‘육아부담’이나 ‘직장불안’ 등이 1, 2위로 꼽혔다. 정부가 저출산 대책으로 각종 아동수당과 경력 단절 해소방안을 쏟아내는 이유다. 하지만 도킨스의 지적대로라면 집값 상승, 수도권 과밀화 등이 원인일 수 있다. 인구학 권위자인 조영태 서울대 교수도 “저출산의 근본대책은 지역균형 발전일 수 있다”라고 강조한 바 있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