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n nuclear armament really cut the knot?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Can nuclear armament really cut the knot? (KOR)

KIM HYOUNG-GU
The author is the Washington bureau chief of the JoongAng Ilbo.

Perhaps the redeployment of nuclear weapons on the Korean Peninsula is not a matter of a distant future.

This idea hovered in my mind as I recently interviewed top foreign affairs and security strategists in the United States, including former Deputy Undersecretary of Defense for Asian and Pacific Security Affairs Richard Lawless, former National Security Adviser John Bolton and former Deputy Assistant Secretary of Defense for Strategy and Force Development Elbridge A. Colby.

They started by acknowledging the reality that North Korea is a de facto nuclear power and has the capability to attack the U.S. mainland. They understand the concerns and questions in Korea about relying solely on the extended deterrence, or nuclear umbrella, provided by the United States. Former National Security Advisor Bolton said that the U.S. needs to assure that extended deterrence capabilities are not hypothetical, while former Deputy Undersecretary Lawless suggested a “NATO-style nuclear sharing.”

Former Deputy Assistant Secretary Colby, who is considered to become the National Security Advisor if former President Donald Trump is re-elected, gave a more dramatic warning. He said that in a situation where the United States loses military advantage against China, more nuclear weapons should be made to offset the lagging nuclear balance. He addressed the limits of the Washington Declaration on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U.S. Nuclear Consultative Group (NCG) in April 2023. I was rather convinced by his honest comment that Uncle Sam cannot promise to defend Korea’s security at the cost of sacrificing an American city to North Korea’s nuclear attack.

In fact, he said in an interview with Voice of America in 2019 that he opposed South Korea’s own nuclear armament. However, due to a series of the North’s provocations, he insists that Korea should consider its nuclear armament by lowering expectations for America’s conventional military support and defend the Korean Peninsula firsthand.

The official stance of the U.S. government is still focused on the denuclearization of the peninsula. In a telephone conversation with Chinese President Xi Jinping earlier this month, U.S. President Joe Biden reaffirmed the consistent commitment to the complet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re are still concerns that if South Korea is nuclear-armed, it will be the beginning of nuclear proliferation in East Asia. But it is certainly unusual that the South’s nuclear armament, which had been a taboo, is openly discussed within the premise of “checking on China.”

It is true that the path to denuclearization is difficult. But at times like this, the Korea-U.S. military alliance should be advanced, and self-defense capabilities should be drastically strengthened to address questions about the extended deterrence.

At the same time, South Korea must continue to engage in behind-the-scenes dialogue with North Korea to prevent an accidental military clash.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has become a conundrum that should be solved with our hands tied.
 
 
 
워싱턴에서 조금씩 커지는 ‘한국 핵무장론’  
김형구 워싱턴 총국장
 
어쩌면 핵무기의 한반도 재배치가 먼 미래의 일이 아닐지 모른다.’  
 
리처드 롤리스 전 국방부 부차관, 존 볼턴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엘브리지 콜비 전 국방부 전략ㆍ전력개발담당 부차관보 등 미국 내 손꼽히는 외교안보 전략통을 최근 인터뷰하면서 머릿속을 맴도는 생각이다.  
 
이들은 북한이 사실상 핵보유국이며 미 본토 공격 능력을 갖췄다는 현실을 인정하는 데서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미국이 제공하는 확장억제(핵우산)에만 의존하는 데 대한 한국 내 우려와 의문을 이해한다는 전제도 같다. 볼턴 전 보좌관은 “확장억제 능력이 가상이 아니라 바로 한국에 있다는 확신을 보여줘야 한다”고 했고, 롤리스 전 부차관은 ‘나토식 핵 공유’라는 해법을 제시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재집권 시 유력한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으로 거론되는 콜비 전 부차관보의 경고는 더욱 극적이다. 미국이 대(對)중국 군사적 우위를 잃은 상황에서 “뒤처진 핵 균형을 위해 핵무기를 더 많이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지난해 4월 한ㆍ미 핵협의그룹(NCG) 신설을 골자로 한 ‘워싱턴선언’의 한계를 지적하며 미국이 자국의 도시를 북한의 핵공격에 희생하면서까지 한국 안보를 지켜줄 거라고 약속할 수는 없다고 한 대목은 오히려 솔직해서 고개를 끄덕이게 했다.  
 
사실 그는 5년 전만 해도 “한국의 핵무장에 반대한다”(2019년 VOAㆍ미국의소리 인터뷰)고 했던 인물이다. 하지만 그간 북한의 거듭된 폭주에 지금은 “미국의 재래식 전력 지원에 대한 기대를 줄이고 직접 한반도를 방어해야 한다”며 한국의 자체 핵무장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설파한다.  
 
미국 정부의 공식 기조는 여전히 ‘한반도 비핵화’에 맞춰 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이달 초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통화에서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미국의 지속적인 공약’을 재확인했다. 한국 핵무장시 동아시아 핵확산의 시발점이 될 거란 우려도 미 조야(朝野)에 여전하다. 다만 금기시해 오던 한국 핵무장론이 ‘중국 견제’라는 대전제 속에 공개적으로 쏟아져 나오는 상황은 분명 심상치 않아 보인다.  
 
비핵화의 길이 난망한 건 사실이다. 하지만 이런 때일수록 한ㆍ미 군사동맹을 고도화하고 자주국방 역량 또한 획기적으로 강화해 확장억제 역량에 대한 의문을 불식할 수 있어야 한다. 동시에 남북 물밑대화에도 계속 힘써 우발적 충돌을 미연에 막아야 한다. 북핵 문제는 손이 묶인 상황에서 손을 써야 하는 난제 중 난제가 됐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