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at stance should Korean diplomacy take?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What stance should Korean diplomacy take? (KOR)

KIM HYOUNG-GU
The author is the Washington bureau chief of the JoongAng Ilbo.

After U.S. President Joe Biden mentioned “a dictator,” targeting Chinese President Xi Jinping, China responded quickly and sharply. A spokesman for China’s foreign ministry lashed out that the U.S. president seriously violated China’s political dignity. “It is an open political provocation,” he said.

The remarks came as Biden explained the invasion of U.S. airspace by a Chinese spy balloon in February. Biden said, “The reason Xi Jinping was very angry when I shot down that balloon with two spy teams was that he didn’t know they were there. That’s a great shame for dictators, when they don’t know something has happened.” He meant to say that Xi must not have known about the infiltration of the balloon.

But Biden’s use of the word “dictator,” which shows his perspective of the world as “democracy versus authoritarianism,” caused a stir. Relations between the U.S. and China appeared to take the first step toward improvement after U.S. State Secretary Tony Blinken’s trip to Beijing. But the ties have been put on hold again by Biden’s unintentionally revealed view of China.

While China is upset, the U.S. is calm in contrast. Many seem to think, “Did Biden say anything wrong?” Vedant Patel, the Principal Deputy Spokesperson for the U.S. Department of State, said in a briefing on June 21 that the U.S. won’t be hesitant to speak frankly about some differences and that he didn’t think the comment needed to be clarified or interpreted further. As there is no issue with the comment by the U.S. president, Washington didn’t feel any need for explanation.

What attracted the media attention in the U.S. is the “timing” rather than the content of the remarks. On the outcomes of Blinken’s visit to China, Biden praised that he did a great job and made progress in the U.S.-China relations. The next day, Biden made the dictator comment. Security experts said that it could damage the efforts of the two countries which have agreed to stabilize their relations and resume high-level talk channels.

Nevertheless, many believe that the remark will not drive U.S.-China relations to collapse. The Chinese foreign ministry had been angry but suddenly removed the question and answer related to the “dictator” comment in the full text of the spokesman’s briefing on the website that evening. This could be a move to “manage the situation to prevent an accidental military clash” the two countries had agreed to earlier.

The question is what stance Korean diplomacy should take in international situations rapidly changing each day. The reality of the two superpowers seeking dialogue and communication for national interests in the face of fierce competition poses a serious dilemma to Korea. The more complicated and chaotic the world becomes, the more sophisticated — and flexible — diplomatic strategy we must draw up. The times demand multi-layered and multi-dimensional diplomacy from Korea.
 
 
 
바이든의 ‘진심’…하루가 다른 정세가 던지는 숙제
김형구 워싱턴 총국장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입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겨냥한 ‘독재자’ 발언이 나오자 중국의 반응은 신속했고 잔뜩 날이 서 있었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중국의 정치적 존엄을 엄중하게 침범한 것으로 공개적인 정치적 도발”이라고 맹비난했다.  
 
해당 발언은 바이든 대통령이 지난 2월 중국 정찰 풍선의 미 영공 침범 사건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나왔다. “무엇이 벌어졌는지 모르는 것은 독재자들에게는 큰 창피”라고 했는데, 시 주석이 정찰 풍선 건을 잘 몰랐을 거라는 뜻으로 한 말이었다. 시 주석을 두둔하려는 뜻으로 들리는 얘기였다.  
 
하지만 세계를 ‘민주주의 대 권위주의의 대결’로 보는 바이든 대통령의 ‘독재자’ 발언은 파문을 일으켰다. 은연중 드러난 바이든의 ‘진심’에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 방중을 계기로 관계 개선의 첫발을 떼는 듯했던 미ㆍ중 관계는 다시 급제동이 걸렸다.  
 
발끈한 중국과는 대조적으로 미국 내 반응은 무덤덤하다. 오히려 “바이든이 틀린 말이라도 했느냐”는 분위기다. 미 국무부의 베단트 파텔 수석부대변인은 21일(현지시각) 브리핑에서 “우리는 일부 차이에 대해 솔직하게 말하는 데 주저하지 않을 것”이라며 “그 발언이 더 이상 해명되거나 해석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했다. 별문제가 없으니 더 해명할 필요도 느끼지 않는다는 얘기다.  
 
미 언론의 이목을 끈 건 발언 내용보다 ‘타이밍’이다. 블링컨 장관의 방중 성과를 놓고 “그가 대단한 일을 했다”고 평가하며 “미ㆍ중 관계에 진전이 있었다”고 말한 바이든 대통령이 바로 다음 날 독재자 발언을 했다는 점에서다. 관계 안정화에 뜻을 같이하고 고위급 대화 채널을 재개하기로 한 양국의 노력에 역행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그럼에도 이번 발언이 미ㆍ중 관계를 파국으로 몰고 가지는 않을 거라는 시각이 다수다. 발끈했던 중국 외교부가 당일 저녁 홈페이지의 대변인 브리핑 전문에서 ‘독재자’ 관련 질문과 답변을 갑자기 뺀 것도 묘한 느낌을 준다. 양국이 며칠 전 공감대를 이룬 ‘충돌 방지를 위한 상황 관리’ 차원의 조치로 읽힐 수 있어서다.  
 
문제는 이렇듯 하루가 다르게 급변하는 국제 정세 속에 대한민국 외교가 취해야 할 스탠스다. 치열한 경쟁 와중에도 국익 앞에 대화와 소통을 모색하는 현실은 우리에게 묵직한 고민을 던진다. 국제 정세가 복잡하고 어지럽게 전개될수록 치밀하고도 유연한 외교 전략을 짜야 한다. 다층적이고 입체적인 외교가 필요한 때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