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venting the spread of the PF insolvency (KOR)
Published: 11 Jul. 2023, 15:19
Those who withdrew from the cooperatives earlier this month returned upon the promise that they would be guaranteed the rate terms of initial contracts and a tax deduction if they place their deposits back by July 14. The event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fast and persistent communicative efforts from the authorities to ease customer anxiety.
But the crisis is hardly over as the KFCC’s troubles remain. The delinquency rate against total loans with KFCC hit 6.18 percent, more than doubling the 2.4 percent average of its credit union peers. As many as 100 outlets fall under special supervision by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due to a dangerously high delinquency ratio. Authorities plan to carry out restructuring of ailing outlets.
The bond market is still volatile. The credit finance sector, which includes the KFCC and the National Credit Union Federation, have dumped a net 3.2 trillion won worth of bonds from July 5 to 7. The KFCC is believed to have led the sale to raise capital. Bond yields have been rising at an alarming pace.
Soured project financing (PF) loans that troubled the KFCC could have a negative impact on other institutions. The delinquency rate in property-backed PF loans at mutual savings banks reached 4.07 percent in March, doubling from 2.05 percent in December. The credit rating of mutual savings banks is being slashed due to their exposure to PF loans. Korea Ratings has lowered its credit rating outlook on four major mutual savings banks to “negative,” citing their risk to exposures to property-backed PF loans.
The delinquency rate of property-backed PF loans in the non-banking financial sector soared to 2.01 percent by the end of the first quarter from 1.19 percent three months earlier. The fact that loan obligations cannot be met highlights the extent of the liquidity woes at construction sites. Many small and mid-sized builders are struggling with the liquidity crunch.
The KFCC crisis has boiled over from the lengthy slump of the Korean economy. The government has been incompetent in its oversight duty. It must do its utmost to prevent the insolvency of PF loans from spreading across the financial sector.
부동산 PF부실 관리, 경각심 늦추지 말아야
새마을금고 자금이탈 사태 이번 주가 고비
부동산PF 연체 많은 저축은행도 주시해야
새마을금고 자금 이탈사태가 진정 기미를 보인다. 정부당국에 따르면 지난 목요일 오후부터 자금인출 증가세가 둔화했다고 한다. 금요일인 지난 7일 하루에만 중도 해지자의 재예치 건수가 3000건이 넘는 것으로 파악됐다. 5000만원 이하에 대한 예금보장은 물론이고, 부실금고의 자산/부채를 우량금고로 100% 이전함으로써 5000만원 초과예금도 전액보호된다는 당국의 지속적 설명이 고객 불안심리를 안정시키는 데 주효했다고 볼 수 있다.
또 1~6일 중도해지한 새마을금고 고객 중 오는 14일까지 재예치하는 경우 애초 약정이자와 비과세 혜택을 유지하겠다는 ‘비상대책’도 먹혀든 것으로 보인다. 고객 불안감을 잠재우는 데는 당국의 진정성 있는 설명과 소통노력이 중요하다는 것을 새삼 확인하게 된다.
그러나 금융시장이 안정을 되찾았다고 안심하기엔 이르다. 이번 사태의 발단이 된 새마을 금고 대출부실 문제가 남아있기 때문이다. 새마을금고의 6월 말 기준 대출 연체율은 6.18%로 상호금융권(신협ㆍ농협ㆍ수협 등) 전체 평균(약 2.4%)의 2.5배에 달한다. 연체율이 높아 행정안전부의 특별관리 대상인 금고가 100곳에 달할 정도다. 당국은 이번 사태가 안정되는 대로 부실금고 구조조정에 착수할 방침이다.
채권시장엔 긴장감이 여전하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새마을금고ㆍ신협중앙회 등을 포함하는 종합ㆍ상호금융은 5~7일 사흘간 약 3조2000억원의 채권을 순매도했다. 새마을금고가 자금 확보를 위해 선제적으로 채권매도에 나선 것이라고 한다. 채권금리가 빠르게 오름세를 타고 있는 것도 심상치 않다.
특히 새마을금고 사태의 발단이 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은 이미 다른 금융업권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저축은행의 부동산 PF 연체율은 지난 3월 말 4.07%로 지난해 말(2.05%)보다 2%포인트 넘게 뛰었다. 최근 주요 저축은행의 신용도가 줄줄이 내려간 것도 부동산 PF와 무관치 않다. 금융권에 따르면 한국기업평가는 대형 저축은행 4곳의 신용등급 전망을 ‘부정적’으로 낮추면서 부동산 PF로 인한 리스크 노출이 크다는 것을 이유로 들었다. 제2금융권 전체로도 부동산 PF 연체율은 1분기 말 2.01%로 작년 말(1.19%)보다 크게 뛰었다. 부동산 PF 연체가 늘고 있다는 건 건설현장에서 자금이 돌고 있지 않다는 의미다. 자금사정이 녹록지 않은 중소ㆍ중견건설사들은 이미 위기 상황을 겪고 있다는 얘기다.
새마을금고 사태는 한국경제가 장기간 어려움을 겪는 과정에서 약한 고리가 터진 것이다. 그 과정에서 정부는 제대로 관리ㆍ감독을 하지 못했다. 이제 부동산 PF 부실이 금융권 전반으로 확산하지 않도록 위기관리에 경각심을 늦추지 말아야 한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