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at’s happening to the AI class in China?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What’s happening to the AI class in China? (KOR)

HAN WOO-DUK
The author is a senior reporter of the China Lab.

“Disgrace,” “catastrophe,” and “shock.” Korean media outlets chose such words for the headlines of reports that the country’s science and technology level has been overtaken by China. Disappointment, regret, and anger are mixed. What on earth happened in the two countries’ science and technology fields?

In May 2023, a publishing party was held in Beijing, attended by major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figures in China. It was a celebration of the publication of the “China Science and Technology 2035 Development Strategy Series,” promoted by government organizations, the Chinese Academy of Sciences, and the National Natural Science Foundation of China for three years. The series consists of 38 books, including 18 on basic science such as physics and mathematics, and 19 on future technologies such as AI and quantum physics.

It was a project to summarize the current and future development strategies of China’s science and technology. More than 400 top scientists led the project, and more than 3,000 researchers participated. Baek Seo-in, a professor of Chinese studies at Hanyang University, clicked his tongue and said, “I am overwhelmed by the depth and width of the research. It shows how thoroughly China’s science and technology advancement is being carried out.”

Nurturing talent is also noteworthy. Tsinghua University, the top science and engineering college in China, has a department called “AI Class.” It is not a regular department. The class is newly formed by selecting the best talent among freshmen in mathematics, physics, and electronic engineering. Students who won prizes in high school in national math and computer competitions are also eligible for selection. They are opening the future of China’s AI technology.

Tsinghua University also has a class specializing in computer science and a QI class studying quantum mechanics. The selection and teaching methods are not different from the AI Class. They invite top domestic and foreign professors for classes and support overseas study. This shows how aggressively and flexibly universities are responding to nurture science and technology talent.

Behind it is the government. China selects key strategic technologies according to the “national intensive R&D plan” and concentrates resources thusly. Target technologies will expand to aerospace, supercomputers, AI, and new energy like a living organism. The government, companies,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are working together to develop science and technology.

What about Korea? The government is facing backlash from the scientific community as the Yoon Suk Yeol administration cut R&D budgets. A tight “research network” cannot be formed between the government, companies and academia. Science and engineering talent has long shunned the field.

With the administration announcing a plan to increase the number of new medical students by 2,000, they are eager to quit their jobs and try college admissions again. Then, the government is making a fuss over the “catastrophe” of Korea falling behind China. That is “catastrophe.” What goes around comes around. The government has already sealed the fate of the country.
 
 
 
칭화대학의 'AI반'
한우덕 차이나랩 선임기자
 
'굴욕', '대참사', '충격'…. 한국의 과학기술 수준이 중국에 추월당했다는 뉴스에 붙은 제목이다. 실망과 아쉬움, 분노가 섞여 있다. 대체 한국과 중국 과학기술 분야에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지난해 5월 베이징에서 중국의 주요 과학기술 인사가 참여하는 출판 발표회가 열렸다. 정부 기관인 중국과학원과 중국자연과학기금회가 3년여 진행해 온 '중국 과학기술 2035 발전 전략 총서' 출판 기념행사였다. 책은 물리·수학 등 기초 과학 분야 18권, AI·양자역학 등 미래 기술 19권을 포함해 모두 38권으로 구성됐다.
 
중국 과학기술의 현재와 미래 발전 전략을 총정리하는 프로젝트였다. 국가 최고 과학자(원사) 400여 명이 주도했고, 3000여 명의 학계 연구원들이 달려들었다. 백서인 한양대 중국학과 교수는 "연구의 넓이와 깊이에 질렸다"며 "중국의 과학기술 선진화 작업이 얼마나 주도면밀하게 진행되고 있는지를 잘 보여준다"고 혀를 찼다.  
 
인재 양성도 주목할 만하다. 중국 최고의 이공계 대학인 칭화(淸華)대에는 'AI반(班)'이라는 학과가 있다. 정규 학과가 아니다. 수학·물리·전자공학 등의 학과 신입생 중에서 최고 인재를 다시 뽑아 반을 구성한다. 고등학교 때 전국 수학경시대회, 컴퓨터 경진대회 등에서 입상한 학생들도 선발 대상이다. 그들이 중국 AI 기술의 미래를 열어가고 있다.  
 
칭화대에는 이 밖에도 컴퓨터 공학을 연구하는 야오반(姚班), 양자역학을 연구하는 '량신반(量信班)도 있다. 학생 선발, 교육 방법 등은 AI반과 크게 다르지 않다. 국내외 최고 교수들을 초빙해 수업하고, 해외 유학을 지원하기도 한다. 대학이 과학기술 인재 양성에 얼마나 적극적이고 유연하게 대응하는지 알 수 있다.
 
뒤에는 정부가 있다. 중국은 ‘국가 중점 연구개발 계획’에 따라 핵심 전략 기술을 선정하고, 자원을 몰아준다. 대상 기술은 항공우주·슈퍼컴퓨터·AI·신에너지 등으로 생물처럼 확대된다. 정부와 기업, 대학, 연구소가 똘똘 뭉쳐 과학기술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우리는 어떤가. 정부는 R&D 예산 삭감으로 과학계의 반발을 사고 있다. 정부와 기업, 학계 사이에 끈끈한 '연구 네트워크'가 형성될 리 없다. 이공계 인재들은 과학기술을 외면한 지 오래다. 의대 신입생 2000명 확대 방침에 다니던 회사도 그만두고 재수에 뛰어들 판이다. 그러고도 중국에 뒤졌다며 '대참사'라고 호들갑이다. 사필귀정(事必歸定), 일은 이미 정해져 있었는데도 말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