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tting new heights in private education costs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Hitting new heights in private education costs (KOR)

South Korea’s pricy spending on private education has hit new heights. According to a joint survey by the Education Ministry and Statistics Korea of 74,000 students of 3,00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cross the country, education outside schools cost 27.1 trillion won ($20.5 billion) last year, a 4.5 percent increase from 2022 despite the decrease of 1.3 percent in the student count to 5.21 million.

The government campaign to fight the notorious clout of private education derailed from the moment President Yoon Suk Yeol last June ordered education authorities to carve out so-called killer questions from the state-administered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as students were not taught such difficult questions at school. Although his instruction was aimed at alleviating the burden of private education, experts worried about greater reliance on private academies after a sudden change in the test guideline just months before the CSAT in November.

A sudden shift in guidelines can aggravate the burden on students and their parents. Last year’s test ended up being the toughest one with efforts to mitigate concerns about a lack of differentiation due to the removal of overly tricky questions. There was only one student who got a perfect score — and the two with the highest standardized scores were test re-takers who studied in a popular cram school in Gangnam, southern Seoul. Students flocked to the school due to its emboldened credentials from last year’s feat.

President Yoon worried that private tuition costs could be a critical social issue for the country in a slow-moving economy coupled with low births and fast aging. Data clearly back the gloomy forecast. Private education spending per student grew 5.8 percent to average 434,000 won a month last year, much faster than the 3.6 percent consumer price growth rate. Spending by families earning a minimum of 8 million won a month averaged 671,000 won, sharply more than 183,000 won for households earning less than 3 million won a month. That shows a widening private education gap between the haves and have-nots.

College entrance is at the heart of Korea’s unconquerable private education dependency. Ensuring predictable difficulty of the CSAT should be the key to education policy. Authorities must be more attentive this year given multiple factors, including the proposed enrollment quota hike for medical schools, which can fuel additional private education spending.

Breaking up the collusiv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and private educators is also imperative, as implied by the sticky cartel cases recently revealed by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Most of all, the education authorities must learn from their last year’s mishap in which a sudden change in CSAT guidelines ended up sending more students to cram schools.
 
 
 
또 최고치 경신한 한국 사교육비…대입 안정성 확보해야
 
학생 수 7만 명 줄었으나 1조2000억원 증가
지난해 ‘킬러 문항’ 혼란으로 학생 부담 커져
 
 
우리나라의 사교육비가 또 최고치를 경신했다. 지난해 교육부와 통계청이 전국 초·중·고 약 3000개교 학생 7만4000명 정도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전년보다 학생수는 528만명에서 521만명으로 7만명(1.3%) 줄었는데도 사교육비는 1조2000억원이 증가해 27조1000억원에 이르렀다. 사교육비를 24조2000억원으로 줄이려던 교육부 계획은 실패했다.
 
지난해 6월 윤석열 대통령이 대입 수학능력시험에서 출제되는 ‘킬러문항’(초고난도 문항)에 대해 “학생들에게 장난치는 것”이라고 질타할 때부터 사교육비에 대한 우려가 나왔다. 윤 대통령이 킬러문항 배제를 주문한 이유는 사교육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였다. 그러나 수능시험을 불과 5개월 앞둔 시점에서 출제기조를 바꾸면 수험생들이 사교육에 더 의존하게 된다는 전문가 지적이 나왔었다. 이번 조사 결과가 킬러문항 배제 조치 때문이라고 단언하기 어려우나 사교육비 증가세를 고등학생(8.2% 증가)이 주도했다는 점에서 연관성이 주목된다.  
 
교육현장에선 급격한 입시정책 변화가 학생과 학부모의 부담을 가중하는 결과로 이어진다고 분석한다. 킬러문항 배제에 따른 변별력 약화 가능성이 제기되자 2024학년도 수능은 ‘역대급불수능’으로 출제됐다. 전과목 만점자가 단 한명이었고 표준점수 최고 득점자까지 두명 모두 서울 강남의 유명 입시학원 출신 재수생으로 드러났다. 수능 이후 학원에 등록한 학생이 크게 늘었다 하니 올해 사교육비는 더 걱정스럽다.  
 
지난해 윤 대통령은 사교육 부담과 관련해 “저성장 시기엔 저출산·고령화와 맞물려 치명적 사회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정확한 진단이다. 지난해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5.8% 증가해 43만4000원이 됐다. 교육부가 목표로 했던 소비자 물가상승률(3.6%)을 넘어섰다. 월평균 소득이 ‘800만원 이상’ 구간인 가구의 사교육비가 67만1000원인데 비해 ‘300만원 미만’ 가구는 18만3000원에 그쳐 빈부에 따른 차이가 컸다. 교육부 관계자는 “전체적인 사교육비 증가율 자체가 많이 꺾였다”며 특히 중학교 사교육 참여율이 0.8%포인트 하락한 것에 의미를 부여했다. 그나마 다행스러운 부분이다.  
 
사교육비 추세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학입시다. 지난해 겪은 혼란의 여파가 최소화하도록 수능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정책이 필수다. 의과대학 정원 변화를 비롯해 사교육비 상승을 압박하는 요인이 많아 교육당국의 면밀한 관리가 필요하다. 최근 감사원 감사로 드러난 현직교사와 사교육업체간 카르텔을 깨는 작업도 만만치 않다. 무엇보다 급격한 입시제도 변화가 학생과 학부모의 사교육비 부담을 가중한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