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 don’t need an ad hoc relocation plan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We don’t need an ad hoc relocation plan (KOR)

People Power Party (PPP) interim leader Han Dong-hoon on Wednesday announced a plan to move the National Assembly to Sejong City to “complete the transformation of the city into a genuine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capital of the country,” just like Washington, D.C. in the United States. Han cited three reasons: reducing administrative inefficiency, facilitating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and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His explanation makes sense. Since the relocation of most government ministries to the city starting 2012, the National Assembly has remained in Seoul, which caused an enormous administrative cost of up to 4 trillion won ($2.96 billion) per year. The relocation will also help ease the excessive population concentration in Seoul and Gyeonggi.

But the PPP leader’s abrupt announcement with just two weeks left before the April 10 parliamentary elections has some problems. In 2003, former President Roh Moo-hyun passed a special bill aimed at creating “a new administrative capital” to embody his campaign promise of moving the administration, the Blue House and the National Assembly to the city. But the decision was ruled “unconstitutional” by the Constitutional Court the following year, because their relocation went against our “conventional constitution,” which defines Seoul as the capital of the country. Since then, the name of the city — the administrative capital — changed into a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That’s why a National Assembly building to be completed in the city by 2031 is still called a “branch” of the legislature in Seoul.

According to the Sejong Legislative Branch Construction Act that passed the legislature last October, 11 standing committees and the Special Committee on Budget and Account are supposed to move to Sejong City while six other standing committees will remain in Seoul together with the main hall and the office of the speaker. Given the context, however, Han’s remarks suggest the relocation of all government ministries and standing committees in the legislature to Sejong. That will surely spike a heated debate over a constitutional amendment.

Han’s sudden announcement of the relocation without building social consensus on the tricky issue is not appropriate. Some pundits linked it to the need for the PPP to draw more votes from the five districts along the Han River, where the party faces uphill battles against the DP, by removing regulations on their development for security concerns. Even if the relocation is well-intended, he must not seek a nearsighted goal. Once the Assembly moves to the city, it cannot return to Seoul even if the need arises, as seen in the past relocation of government ministries.
 
 
 
국회의 세종 이전, 총선 2주 전 불쑥 내놓을 사안인가
 
행정 비효율 해소 등 긍정 요인 많은 것 인정하나
백년대계 사업을 '선거용' 논란 속 추진은 곤란해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어제 국회를 세종시로 완전히 이전하겠다는 공약을 발표했다. 세종시를 미국의 워싱턴 DC처럼 진정한 정치행정의 수도로 완성할 것이라고도 했다. 한 위원장의 세 가지 명분은 ^행정 비효율의 해소 ^국가 균형발전 촉진 ^지역경제 활성화다. 일리가 있다. 특히 2012년을 기점으로 정부 부처 대다수가 세종으로 옮겨간 반면, 입법부인 국회는 서울에 있어 행정적 낭비가 심했다. 비효율 비용이 연간 최소 2조원에서 최대 4조원으로 추정된다는 조사도 있었다. 세종과 서울을 오가며 길 위에 뿌려지는 금전적·시간적 비용이 대폭 절감되는 건 분명하다. 또 오랜 기간 해소되지 않고 있는 수도권 과밀화를 해결할 방안이기도 하다.  
 
다만 총선을 불과 2주 남기고 나온 국회 세종 완전 이전 공약은 몇 가지 문제점을 내포한다. 먼저 법률적 측면이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2002년 추진했던 행정부·청와대·국회 이전 공약을 실현하기 위해 2003년 '신행정수도 건설을 위한 특별조치법'을 국회에서 통과시켰다. 하지만 이듬해 헌법재판소는 이를 '대한민국의 수도는 서울'이라는 관습 헌법 법리에 따라 수도 이전 및 국회 이전은 위헌이라고 결정했다. 이후 '행정수도'가 '행정중심복합도시'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 국회가 2031년 완공을 목표로 국회 본원이 아닌 분원의 성격으로 세종의사당을 두기로 한 것도 이런 한계를 감안한 때문이다. 지난해 10월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세종의사당 설치' 규칙에 따르면 세종시로는 정무위, 기획재정위, 교육위, 문화체육관광위 등 11개 국회 상임위와 예산결산특별위원회가 이전할 예정이었다. 반면에 운영위, 법사위, 국방위, 외교통일위 등 6개 상임위는 서울에 남고 본회의장과 국회의장실도 서울에 남게 돼 있다. 그런데 한 위원장의 '완전 이전' 발언은 맥락상 모든 시설을 전부 다 세종으로 옮기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그렇게 되면 당장 개헌 논쟁이 재연될 가능성이 크다. 또 외교부, 국방부 등 서울에 남아 있는 게 마땅한 행정부처의 경우 거꾸로 비효율이 커지는 측면도 있다.  
 
무엇보다 총선 직전에 사회적 합의가 미흡한 상태에서 이런 중대 국정 사안을 불쑥 발표한 건 적절치 못했다. 당장 충청권과 고도제한 해제의 수혜를 볼 여의도 일대 및 용산·성동·마포·동작 등 이른바 '한강벨트'의 표심을 겨냥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이전의 의도가 아무리 좋다 할지라도 '선거용' '정략적 접근'이란 비판을 받으면서까지 추진할 사안은 아니다. 나라의 중장기 발전을 위해 백년대계 차원에서 검토해야 할 국가적 대사업일수록 더 그렇다. 세종으로 옮긴 정부 부처가 그랬듯, 국회 또한 한번 옮기면 문제점이 드러나도 다시 서울로 이전하기 힘든 법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