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etitiveness outweighs certification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Competitiveness outweighs certification (KOR)

The government has withdrawn its plan to mandate the Korea Certification (KC) for certain popular items purchased directly from overseas due to safety concerns. It canceled the plan in just three days in the face of a strong public backlash over the efficacy of the move and possible infringement on consumers’ rights. The half-baked policy aimed at protecting Korean consumers from the onslaught of Chinese e-commerce platforms only exposed the government’s backward policymaking in the age of borderless consumption.

The government last week announced a list of 80 items, including children’s goods and electronic gadgets, which will require a KC mark to become available to Korean consumers through foreign e-commerce platforms. The government took the action to deal with increasing complaints from consumers about hazardous merchandise they purchased from Chinese platforms.

But the policy drew a strong backlash, as Koreans would have to pay much heavier prices for the same product. Agents also could exploit the KC authorization mark for profiteering. However, it is nearly impossible for consumers to check the authenticity of the certification mark for thousands of online purchases.

After the outbursts of complaints, the government hurriedly held a briefing and explained that it didn’t mean to ban online purchases of such foreign items, only to restrict purchase of hazardous items. President Yoon Suk Yeol personally apologized for the situation, and ordered his aides to find a solution.

The government has a responsibility for addressing safety issues with online purchases amid the popularity of Chinese e-commerce platforms. But resorting to the certification mark was a makeshift action. “Such a shortsighted approach cannot protect the industry from the sales offensive of Chinese players,” said former lawmaker Yoon Hee-suk.

Online direct purchases by Koreans reached a whopping 1.65 trillion won ($1.2 billion) in the first quarter alone. Such a trend cannot be controlled. Instead, the government must come up with a fundamental and comprehensive road map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Korean retailers and their products.

The government must first lift various types of restrictions on deliveries and business hours of big Korean marts to enhance their competitiveness against Chinese rivals who are free from Korea’s local regulations. The government must present effective measures to protect our distributors and small manufacturers who stand helplessly against the strong offensive from China’s online players who can freely sell their cheap products here. Safety examinations on Chinese products should also be strengthened. All these require a thorough review to survive all the challenges from the retail revolution.
 
 
 
소비 국경 없는 시대…KC 인증보다 경쟁력 확보가 우선
 
중국 공습 막으려 직구 차단…비판 여론 속 철회
유통 산업 규제 완화, 국내업체 역차별 해소 시급
 
 
해외 직구 KC(국가통합인증마크) 의무화 조치가 3일천하로 끝났다. 알리익스프레스·테무·쉬인 등 국내 시장을 잠식하는 ‘C 커머스(중국 e커머스) 공습’을 겨냥한 규제 조치가 소비자 선택권의 제한과 규제 실효성 논란에 휩싸이자 정부가 사흘 만에 정책을 철회했다. 소비 국경이 없는 시대에 ‘현대판 쇄국주의’를 자처하며 현실과 동떨어진 정책의 난맥상을 그대로 드러냈다.  
 
정부는 지난 16일 유모차와 완구 등 어린이용품과 전기·생활용품, 생활화학제품 등 80개 품목에 대해 KC 인증이 있어야 세관을 통과시키겠다고 밝혔다. 중국 온라인 쇼핑 플랫폼을 통한 유해 제품 반입이 늘자 이를 막겠다며 내놓은 돌발적 대책이다. 여론은 끓어올랐다. 같은 물건을 몇 배 비싸게 사야 하고, 선진국 인증 제품도 살 수 없다는 불만이 터져 나왔다. 중간 유통상이 안전인증 마크만 붙여 폭리를 취할 우려까지 이어졌다. 하루 수십만건 해외 직구에서 인증 여부를 걸러내기는 불가능하다는 지적까지 나왔다.  
 
역풍이 거세지자 정부는 지난 19일 예정에 없던 브리핑을 열고 사과와 해명에 나섰다. 해당 품목의 직구를 전면 금지하겠다는 게 아니고 검토한 적도 없다며 보도자료에 명시했던 내용까지 부인했다. 위해성이 확인된 제품에 한해 반입을 제한한다는 취지라고 물러섰다. 윤석열 대통령도 20일 졸속 추진에 대해 사과하며 정책 사전검토 강화 등 재발방지책을 지시했다.  
 
‘C 커머스의 공습’과 유해 제품의 안전성 문제는 물론 정부가 풀어야 하는 일이다. 다만 이를 위해 꺼내 든 해외 직구 KC 의무화 조치가 논란과 비판에 직면한 건 문제를 해결할 미봉책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자유무역으로 성장하고 그 시스템 속에 살아가는 우리가 KC 인증과 같은 얕은 수로 ‘차이나 침공’이라는 거대한 파도를 막기에는 역부족”이라며 “본질적인 것은 제품과 유통의 경쟁력을 어떻게 끌어올리느냐다”(윤희숙 전 의원)라는 지적대로다.  
 
올해 1분기 온라인 해외 직접 구매액은 1조6476억원에 이른다.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다. 필요한 것은 얕은 수나 미봉책이 아닌 국내 유통 산업과 제품의 경쟁력을 강화할 근본적이며 종합적인 대응 전략이다. 이를 위해 대형마트의 새벽 배송 금지와 오프라인 매장 영업시간 규제와 의무 휴업 등 각종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 규제의 사각지대에 놓인 C 커머스에도 국내 업체와 동일한 잣대를 적용해 ‘기울어진 운동장’을 평평하게 해야 한다. 초저가를 앞세운 C 커머스의 무차별 공세에서 국내 유통업체와 중소 제조업체를 보호할 육성 정책도 마련해야 한다. 각종 유해 물질이 검출된 저가 중국산 제품에 대한 안전 규제에도 손 놓아서는 안 된다. 시간이 걸려도 이를 제대로 해내야만 거대한 유통 혁명의 파고에 맞설 수 있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