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opaque a bilateral relationship can be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How opaque a bilateral relationship can be (KOR)

YOU SANG-CHUL
The author is the head of the China Institute of the JoongAng Ilbo and CEO of China Lab.

The description that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re allies, while Korea and China are partners” was popular for a while. But the current situation suggests the term “partner” is no longer used, though the alliance is still strong. The meeting between President Yoon Suk Yeol and Chinese Premier Li Qiang was held during the recent Korea-Japan-China trilateral summit. Li Qiang mentioned “partnership” once, but Yoon refrained from using the word. Has the term “partnership” — a symbol of Korea-China relations — disappeared as a relic of history?

In Chinese, a partner refers to the family that shares a meal. The concept of “partner” has been routinely used in Chinese diplomacy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China adopted a new security perspective in 1996, based on building partnerships with other countries after dismissing the word “alliance” as an outdated concept from the Cold War. According to China, partnership has three meanings.

First, it means ending conflicts between countries and pursuing common interests, as implied by China’s old axiom, “Seeking common ground while putting differences aside.” Second, partnership means “not showing hostility to the other.” Third, it means “not targeting a third country,” which is very different from “alliance” that sets an imaginary enemy. While an alliance is legally binding, a partnership is more of a declaration. After developing its relations with Korea according to the principle, China struck its first cooperative partnership with Korea when President Kim Dae-jung visited Beijing in 1998.

Since then, the relationship has been upgraded by every new president in Korea. Under President Roh Moo-hyun in 2003, it became a comprehensive cooperative partnership, and under President Lee Myung-bak in 2008, it was upgraded to a strategic cooperative partnership. The term “strategic” has three implications. It includes not only bilateral but also regional issues; not only economic issues but also security; and not only short-term issues but also long-term discussions. But that was all.

Korea strongly complained about China’s disappointing attitude toward the Cheonan sinking and the Yeonpyeong shelling in 2010. Korea wondered, “Is this really partnership?” During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voices to enhance substance rather than elevating the diplomatic level gained traction. As a result, the two countries stopped at agreeing on a “mature strategic cooperative partnership” in 2014 when Chinese President Xi Jinping visited Korea. In the following Moon Jae-in administration, the term “partnership” was often used nevertheless, but it is rarely used in the conservative Yoon Seok Yeol administration.

The government instead uses phrases like “mutual respect,” “reciprocity” and “common interest.” China finds Korea’s rhetoric questionable. Korea didn’t abandon the partnership, but doesn’t mention it. It is a truly ambiguous relationship. But unfortunately, this is the current state of the Korea-China relations.
 
 
 
참으로 애매한 한중관계
유상철 중국연구소 소장/차이나랩 대표
 
한동안 “한·미는 동맹, 한·중은 동반자”란 말이 유행했다. 한데 최근 상황을 보면 동맹은 굳건한데 동반자란 말은 잘 쓰이지 않는다. 얼마 전 한·일·중 3국 정상회의를 계기로 열린 윤석열 대통령과 리창 중국 총리 간 회담을 봐도 그렇다. 리창이 한 차례 동반자를 언급했을 뿐 윤 대통령 발언에선 그 표현을 찾기 어렵다. 한·중 관계의 상징과도 같았던 동반자 단어가 이젠 역사의 유물로 사라진 걸까?  
 
동반자는 중국어로 한솥밥을 먹는 식구 훠반(伙伴)을 가리킨다. 이 동반자가 중국 외교에 본격 활용되기 시작한 건 냉전이 해체된 이후다. 중국은 1996년 새로운 안보관을 채택했는데 그 핵심은 동맹을 냉전 시기의 낡은 개념이라 치부하고 대신 세계 각국과 동반자 관계를 구축한다는 것이다. 중국에 따르면 동반자 관계엔 크게 세 가지 뜻이 있다.  
 
첫 번째는 국제무대에서 국가 간 갈등을 덮어두고 공동의 이익을 추구한다. 이와 관련 잘 알려진 성어가 구동존이(求同存異)다. 두 번째는 상대방을 적대시하지 않는다. 세 번째는 제3국을 겨냥하지 않는다는 것으로 가상의 적을 설정하는 동맹과 큰 차이가 있다. 동맹이 법적 구속력을 갖는 데 반해 동반자는 선언에 가깝다. 중국은 이에 따라 한·중 관계를 발전시켜 1998년 김대중 대통령 방중 때 양국은 처음으로 협력동반자 관계를 맺었다.  
 
이후 우리 대통령이 새로 취임할 때마다 격이 높아져 2003년 노무현 대통령 때는 전면적협력동반자 관계가 됐고, 2008년 이명박 대통령 당시엔 전략적협력동반자 관계로 올라섰다. 전략적이란 말에는 세 가지 함의가 있다. 양자뿐 아니라 지역 문제도, 경제뿐 아니라 안보도, 단기뿐 아니라 장기 문제도 논의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여기까지였다.  
 
2010년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 사건 때 중국이 보여준 실망스러운 태도에 우리 측에선 “이게 동반자 관계냐”라는 불만이 터졌다. 결국 박근혜 대통령 때는 격을 높이는 대신 내실화에 힘쓰자는 주장이 힘을 얻었고, 2014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한 당시 ·중은 ‘성숙한 전략적협력동반자 관계’에 합의하는 데 그쳤다. 그래도 문재인 정부 때는 동반자 관계라는 말을 많이 썼는데 윤석열 정부 들어 거의 보이지 않는다.  
 
현 정부는 상호존중과 호혜, 공동이익이라는 말로 대신한다. 중국은 이런 한국의 언사에 고개를 갸우뚱하고 있다. 동반자 관계를 버린 건 아니지만, 말은 하지 않는다. 참으로 애매하다. 이게 바로 한·중 관계의 현주소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