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newing the fight against tuberculosis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Renewing the fight against tuberculosis



On the evening of March 24, 1882, physician and microbiologist Robert Koch stood before some 100 scientists and scholars at the Physiological Society of Berlin and gave a presentation that included a detailed description of mankind’s most vicious enemy: Mycobacterium tuberculosis. It was the first the world had seen of the bacterium that causes tuberculosis. Today, Koch is the most celebrated and significant scientist in the history of the fight against tuberculosis. In celebration of his achievements, March 24 is designated as World Tuberculosis Day.

Tuberculosis is one of the oldest diseases in the history of humanity. Signs of tuberculosis can be found in the Stone Age skulls from 5,000 B.C. discovered in Heidelberg, Germany. Tuberculosis decay was also found in Egyptian mummies from 3,000 B.C. Ancient Koreans also suffered from the deadly disease as shown by records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uberculosis spread all over Europe from the 18th to 19th century, killing 25 percent of the population. Tuberculosis patients typically had pale complexions, so the disease was called the “white plague.” In medieval Europe, the pestilence left the skin of the sufferer black, and people called the disease the “black death.”

Numerous writers and artists described the painful disease in their works. D.H. Lawrence, a tuberculosis victim, wrote in his novel “Ship of Death”: “Piecemeal the body dies, and the timid soul has her footing washed away, as the dark flood rises.” Edvard Munch’s “The Scream” may be an expression of the anguish he felt after his mother died of tuberculosis when he was five and his favorite sister when he was 14. The patients depicted in the stories of Lee Gwang-su, who died of tuberculosis, almost always suffer from the disease. To Lee, tuberculosis was a symbol of anxiety, loneliness and lack of love.

Tuberculosis is considered a disease of the past and is often associated with poverty and malnutrition. But the number of tuberculosis cases has increased recently. Around 35,000 people have been newly diagnosed with tuberculosis. Absurdly enough, Korea has the highest tuberculosis outbreak and death rate among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ne of the causes is the compromised immunity of young people, who are stressed about college admissions, and their diet. Although we regard it as an anachronism, tuberculosis remains a threat, and we must renew our determination to fight it.

*The write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Kim Nam-joong

백색 페스트

1882년 3월 24일 독일 베를린 생리학회 저녁 강연회에 100여 명의 학자들이 모였다. 의사이자 세균학자인 로버트 코흐가 두 시간에 걸쳐 ‘인류의 가장 고약한 적(敵)’을 상세히 묘사했다. 결핵을 일으키는 미생물, 바로 결핵균이 세계 최초로 실체를 드러낸 순간이었다. 코흐는 결핵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세계적 인사가 됐다. 매년 3월 24일이 ‘세계 결핵의 날’로 정해진 것도 결핵균을 발견한 그를 기려서다.

결핵은 인류 역사상 가장 오래된 질병이다. 독일 하이델베르크에서 발견된 기원전 5000년 석기시대의 인골(人骨)에 결핵 흔적이 남아 있을 정도다. 기원전 3000년의 이집트 미라에서도 결핵 흔적이 발견된다. 우리 조상들도 오래 전부터 결핵에 시달렸던 모양이다. 삼국시대에 ‘노(癆 )’ ‘노채(癆瘵)’로 결핵을 지칭한 기록이 보인다.

코흐의 표현대로 결핵은 ‘인류를 위협하는 무시무시한 죽음의 병’이었다. 18세기부터 19세기까지 유럽을 휩쓸면서 유럽 인구 25%를 죽음으로 내몰았다. 천연두를 밀어낸 사망률 1위의 질병이었다. 결핵 환자의 전형적 모습은 창백(蒼白)하다는 거다. 그래서 결핵의 별명이 ‘백색(白色) 페스트’인가. 중세기 수많은 생명을 앗아간 페스트가 시신을 검푸르게 만들어 흑사병(黑死病)이라고 불린 것에 빗댄 것이기도 할 터다.

결핵을 피해 가지 못한 수많은 작가·예술가들은 작품 속에 결핵을 표현했다. 결핵에 걸려 죽음을 앞둔 D.H.로렌스는 『죽음의 배』에서 “육체는 야금야금 죽어가고 겁에 질린 영혼은 차오르는 검은 물에 디딤대를 떠내려 보냈다”고 묘사했다. 뭉크의 ‘절규’는 다섯 살 때 어머니를, 열네 살 때 누이를 결핵으로 떠나 보낸 절망감의 표현이지 싶다. 결핵으로 사망한 춘원 이광수의 소설 속 환자는 대부분 결핵 환자였다. 그에게 결핵은 애정결핍·불안·고독의 상징이었다.

흔히 ‘못 먹어서 생긴 병’ ‘과거의 병’으로 치부됐던 결핵이 다시 증가 추세라는 소식이다. 한 해 3만5000명 안팎의 결핵 환자가 새로 생겨나고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 결핵 발생률과 사망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1위라니 기막힐 노릇이다. 입시 스트레스와 다이어트로 젊은이의 면역력이 떨어진 것도 한 이유란다. 결핵은 사라진 병이라는 안일한 생각이 부른 역습이다. 결핵과의 사투를 위해 마음을 다잡아야 할 판이다.

김남중 논설위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