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ep students off the streets and in class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Keep students off the streets and in class



For students, the strongest method of expressing group decisions is a mass walkout. It has the effect of a workers’ strike or market closure by merchants. The effect of a walkout is the same, whether past or present, East or West. The students at Sungkyunkwan, the highest public academic institute of the Joseon Dynasty, staged a walkout. It was one of the weapons the students used to make demands of the king and the government, along with hunger strikes and mass departures from the dormitory. Walkouts were organized to impeach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s or criticize unjust political decisions. The king usually responded by accepting their demands, but in some cases, the ringleader was expelled from the academy.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students used walkouts to resist colonial rule. It was a key activity initiated by the student leaders of the March 1st Movement. During the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most high school students in the Gwangju region participated in closing their schools. Individual schools organized walkouts to demand the use of Korean language and to oppose educational discrimination by the Japanese. In 1925, 281 students at Dongrae High School in South Gyeongsang organized a walkout. Of them, 234 were suspended and some were expelled.

After the liberation of the country, the student movement in universities was key in initiating social change. Student walkouts were motivated by various issues, including punishment of those responsible for the violent suppression of the Gwangju Student Movement.

Walkouts are common in other countries as well.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May Fourth Movement in China in 1919 was a strike of three groups ? students, workers and merchants. In Imperial Russia, a series of strikes by university students challenged the absolute monarchy after 1899 and inspired the revolutionary spirit. In the late 1960s, anti-war protests by American students were fueled by walkouts. Students at over 40 colleges and universities around the world are about to participate in a walkout to demand cuts in college tuition.

For students, education is a valuable right. It is truly regrettable that students would give up this right and protest out of desperation. Nevertheless, the group walkout should not be repeated again for such a cause. And it will be up to politicians, the government and universities to keep the students in the classroom.

*The write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Kim Nam-joong

동맹휴업

학생들의 가장 강력한 집단의사 표시 수단이 동맹휴업이다. 노동자의 파업, 상인의 철시(撤市) 에 해당한다. 이는 동서고금이 다르지 않다. 조선시대 공교육 최고기관인 성균관의 유생들도 동맹휴업을 했다. 바로 공관(空館)이다. 공재(空齋·기숙사에서 나감), 권당(捲堂·단식동맹)과 더불어 임금과 조정을 상대로 자신들의 주장을 관철시킬 때 동원한 무기다. 주로 중앙 고위 관료를 탄핵하거나 잘못된 정치를 비판하는 수단이었다. 임금은 대체로 무마 위주로 대처했지만 여의치 않으면 주모자를 퇴교시켰다.

일제 때 학생들의 동맹휴업은 식민지 지배에 대한 저항의 수단이었다. 3·1운동 당시 시위에 앞장 선 학생들이 주로 벌인 활동이 동맹휴업이다. 광주학생독립운동 때도 광주 지역 대부분 고교들이 동맹휴업을 했다. 우리말 사용과 식민지 차별교육 철폐 등을 요구하는 개별 학교 단위의 동맹휴업도 많았다. 1925년 경남 동래고보 학생들의 동맹휴업 감행이 대표적 예다. 동맹휴업으로 전교생 281명 중 234명이 정학처분을 받았고, 일부는 퇴학 당했다.

해방후 대학생 운동이 사회 변화를 이끄는 한 주체가 되면서 다양한 주장을 담은 동맹휴업이 이어졌다. 한·일협정 비준 반대, 우루과이라운드(UR) 비준 반대, 5·18 관련자 처벌과 특별법 제정 촉구 등 역사의 굴곡과 함께 했다. 2000년 의약분업 사태 당시의 41개 의과대학 학생들과 2009년 교육대 학생들의 동맹휴업처럼 특정 분야 목소리도 나왔다. 그런가 하면 취업난 호소를 위한 동맹휴업도 있었다.

외국에서도 역사적 고비마다 대학생들이 동맹휴업으로 단결의 힘을 보여준 사례는 숱하다. 1919년 중국 5·4운동을 이끈 게 삼파투쟁(三罷鬪爭)이다. 학생·노동자·상인이 일으킨 동맹파업이다. 이때 가장 먼저 나선 건 베이징 대학생들로 동맹휴업으로 정부 탄압에 맞섰다. 제정 러시아의 전제 권력에 도전해 혁명의 기운을 북돋은 것도 1899년 이후 이어진 대학생 동맹휴업이다. 1960년대 말 미국의 대학생 반전 시위의 동력 또한 동맹휴업이었다.

전국 40여개 대학 학생들이 오늘 반값 등록금 실현을 촉구하는 동맹휴업을 한다고 한다. 수업은 학생들의 소중한 권리다. 오죽하면 그런 권리를 유보한 채 거리로 나올까 싶어 안타까울 따름이다. 그만큼 등록금 문제가 절박해서일 게다. 그럼에도 이런 일로 동맹휴업이 되풀이 돼선 곤란하다. 이제 정치권·정부·대학 하기에 달렸다.

김남중 논설위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