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nting on reunions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Punting on reunions



Our government appears to be negative about the idea of having a family reunion around the Chuseok for families separated during the Korean War (1950-53). An official at the Ministry of Unification said yesterday that the government “has no plan to hold the reunion meeting before or after the holiday this year,” adding that it was not appropriate for the South to be the party to propose such a reunion in the current situation.

The unification ministry was responding to remarks by the ruling Grand National Party Chairman Hong Joon-pyo, who urged South and North Korean authorities to cooperate on the humanitarian issue in a radio address yesterday.

The Ministry of Unification says that it could consider the idea more positively if North Korea proposed it first, and that it cannot make such a proposal ahead of the North. Simply put, the ministry would accept a proposal by the North rather than take any initiative on the issue, which can be seen as a dereliction of duty. The ministry cannot avoid the pertinent criticism that it is basically abdicating its prime responsibilities using the excuse of tense relations between Seoul and Pyongyang. It seems to have forgotten its very raison d’etre.

The government’s statistics say that 128,585 citizens have applied to attend reunions with their lost families. Among them, 47,907 - 37.2 percent of the total - are dead, and 43.6 percent of the remaining 80,678 are over the age of 80. Not much time is left for them to enjoy seeing their relatives. Dismissing such desperate desires to see their families on political grounds is tantamount to an insult to humanity.

Even the United States is pursuing the idea of reunions for separated families living in the U.S. It doesn’t make sense for us to remain bystanders in such a situation. Our humanitarian aid to flood-hit North Korea led to reunion events in Pyongyang during the Chuseok holidays last year despite the Cheonan incident. The government has already secured the budget for flood relief for North this year too, even though it falls significantly short of the North’s expectation of “large-scale” aid.

Reunions of separated families are humanitarian events.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should not approach this issue from a political perspective or deal with reunions as part of an ongoing quid pro quo. The government must voluntarily propose the reunions instead of waiting for Pyongyang’s offer. Less than a month is left until Chuseok. The clock is ticking.

이산가족 추석 상봉, 우리가 먼저 제안하라

추석을 전후한 남북 이산가족 상봉에 정부가 소극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통일부 당국자는 어제 “올해 추석을 계기로 상봉을 구체적으로 검토하거나 추진하는 것은 없다”며 “현재 남북관계 상황이 우리가 먼저 북측에 상봉을 제의할 분위기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어제 오전 홍준표 한나라당 대표가 정당대표 라디오 연설에서 “올 추석에 이산가족 상봉을 할 수 있도록 남북 당국간 협력을 촉구한다”고 밝힌 데 대한 통일부측 반응이다.

이산가족 상봉을 먼저 제의할 상황은 아니지만 북한이 제의해 오면 긍정적으로 검토해 볼 수 있다는 것이 통일부 입장이라고 한다. 능동적으로 나설 생각은 없지만 북한이 먼저 제안해 오면 따라가기는 하겠다는 것이다. 그 때까진 손 놓고 있겠다는 얘기나 마찬가지다. 경색된 남북관계를 핑계로 최소한의 인도적 책무조차 방기(放棄)하고 있으니 통일부의 존재이유를 잘 모르겠다는 소리가 나올만하다.

정부의 이산가족정보통합시스템에 등록돼 있는 상봉 신청자 수는 지난달 말 현재 12만8585명이다. 그 중 37.2%인 4만7907명이 이미 사망했다. 생존해 있는 8만678명 중에서도 80세 이상 고령자가 43.6%에 달한다. 남은 시간이 별로 없는 분들이다. 헤어진 혈육을 찾고자 하는 이들의 간절한 소망을 남북관계 분위기 운운하며 외면하는 것은 인도주의에 대한 모독이다.

재미동포를 대상으로 북·미 이산가족 상봉마저 추진되고 있는 마당에 우리가 손 놓고 있다는 건 말이 안 된다. 수해를 입은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이 계기가 되긴 했지만 천안함 폭침 사건이 있었던 지난해에도 추석 맞이 이산가족 상봉이 이루어졌다. 북한이 바라는 ‘통 큰 지원’에는 못 미치지만 올해도 대북 수해 지원이 예정돼 있다. 이산가족 상봉은 정치와 무관한 인도주의 문제다. 남북관계와 분리해 별개로 다룰 사안이지 정략적으로 접근하거나 주고받기식 협상의 대상이 될 수 없는 문제다. 북한이 제안할 때까지 기다릴 게 아니다. 우리가 먼저 적극 제안해야 한다. 내달 12일이면 추석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