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dangerous way to create jobs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A dangerous way to create jobs

Seoul Mayor Park Won-soon has announced that he plans to establish a 300 billion won ($268 million) “social investment fund” by 2014 through contributions of 100 billion won each year, half from the city coffers and half from private companies. He said the funds will be used for job creation measures for young people, the unemployed and people in the low-income bracket.

Park seems to be confident that he will be able to set up the fund, given his unrivaled reputation for seeking donations from private enterprises. Critics, however, have mocked the idea that his career has been built on donations from others, and it is disappointing to see that the job creation measures he fervently championed during his campaign will be based primarily on handouts from private companies.

Park is convinced that private businesses will voluntarily contribute money to the fund. In Korea, we are familiar with the situation in which the mayors of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nd the heads of county offices wield a great deal of power and influence over the private companies that are within their boundaries. Not many will reject such requests from local governments, which have the power to authorize business and which control the budget.

As a result, if they want to avoid potential disadvantages with large-scale construction projects, for example, they cannot dismiss the Seoul mayor’s request. It is likely that companies regard donations as a form of insurance protecting their interests. The mayor’s plan, therefore, can be compared to a form of taxation.

It is also unclear how many jobs Park will be able to create through the fund, particularly given the apparent limitations of government-led campaigns. That’s why this will likely end up as an exhibitionist project to polish his achievements as mayor.

It is up to companies to create jobs. Jobs can be created when local governments try to help companies do business more effectively through administrative support, for instance. Even if private enterprises are willing to pay a total of 150 billion won, their contributions are still not free as they must make up the financial loss by other means and the cost will eventually have to be borne by taxpayers.

Park is trying to push ahead with a wide array of reformist pledges - including expansion of the free school lunch program and reducing college tuition. But we are worried that he is mistaking himself for a kind of Santa Claus who extends a helping hand to the weak no matter the price.


박원순 서울시장이 매년 1000억원씩 2014년까지 3년간 모두 3000억 규모의 ‘사회투자기금’을 조성할 계획이라고 그제 발표했다. 재원은 서울시 예산과 민간 기업의 ‘사회공헌 기부’로 절반씩 충당한다. 이 돈을 청년·실직자·저소득층의 일자리 창출에 쓰겠다는 구상이다. 당장 내년에 필요한 1000억원 중 서울시의 500억원 외에 나머지 500억원을 민간 기업이 출연하도록 독려(督勵)할 계획이다. 박 시장은 시민운동 시절 경험이 있어 기금 마련에 자신 있다고 한다. 기부라는 표현을 썼지만 사실상 협찬이다. 일자리 만들기가 중요한 과제이지만 기업 협찬으로 이를 추진하는 것은 또 다른 문제다.
박 시장 측은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기금 출연에 참여할 것”이라고 장담한다. 그럴 것이다. 중소도시 시장과 군수가 막강한 권한과 영향력을 마구 휘두르는 모습은 우리 사회에서 아주 친숙하다. 하물며 서울시장이라면 어떻겠는가. 각종 사업 인·허가권과 예산집행권을 쥐고 있는 박 시장이 협찬을 요청하는데 외면할 간 큰 기업은 많지 않다. 서울시가 발주하는 대형 관급공사를 따려면, 또는 행정절차에 불이익을 당하지 않으려면 박 시장의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다. 자기 보호를 위한 보험금이라고 생각하고 낼 것이다. 이런 기업 팔 비틀기는 권위주의 정부 시절 흔히 보던 ‘준조세(準組稅)’다.
서울시가 3000억원을 쏟아 부어 얼마나 일자리를 만들어낼 지도 의문이다. 관(官) 주도는 한계가 있기 마련이다. 자신의 임기만 고려한 전시성 사업으로 그칠 공산이 크다. 일자리 창출은 기업 몫이다. 관공서가 기업 운영의 행정적 뒷받침을 잘 해줘도 일자리는 저절로 생긴다. 설혹 기업이 1500억원을 낸다 해도 절대 공짜가 아니다. 가격 인상 등 어떤 형태로든 벌충하려는 게 기업 생리다. 결국 시민 부담으로 되돌아온다.
박 시장은 무상급식 확대, 반값 등록금,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등 ‘광폭(廣幅) 행정’을 밀어붙이고 있다. 사회적 약자를 보살피겠다는 자세는 좋지만 산타클로스라도 된 듯한 환상에 젖어서는 곤란하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