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ality the North must confront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he reality the North must confront

North Korea’s constitution begins,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is a socialist motherland of Juche that realizes the philosophy and guidance of great leader Kim Il Sung and dear leader Kim Jong-il.” The first line of the Workers Party bylaw, which has higher authority than the constitution reads, “The Workers Party of Korea is a party of great leader Kim Il Sung.” Among the 29 sentences of the bylaw, nearly all except for four emphasizes that the party belongs to Kim Il Sung and Kim Jong-il.

The flow of the public opinion is unusual. As Pyongyang has revealed its intention not to give up its nuclear program in any case, there are voices that we should acknowledge the failure of nuclear negotiation of the last 20 years and change the approach fundamentally. Politicians are discussing rearrangement of U.S. strategic nuclear armament in the South and independent nuclear program. They argue that Korea’s security is not guaranteed as long as North Korea has nuclear weapons.

There are different interpretations on the inclusion of nuclear possession in the constitution. It may be an action to strengthen domestic foundation for Kim Jong-un, and since the constitution is subordinate to the party bylaw, the constitutional revision may not be a significant change. Rather, Kim Jong-un’s intention and remarks are more important.

This view certainly has a point, but considering the negotiations in the past, things are quite different. The United States and Korea turned a blind eye when North Korea’s nuclear development practically ended the non-proliferation declaration of 1992. As long as Pyongyang attended the negotiation, Washington and Seoul considered it a “progress” even when North Korean conducted two nuclear experiments.

After North Korea expressly stated its nuclear possession, a reader sent me a lengthy email. He pointed out that the easy-going negotiation style should be changed. He also criticized the remarks of the former president that North Korea has no intention or ability to make nuclear weapons and North Korea would give up nuclear program if the South provides economic assistance.

These opinions are reflected in real actions. A noticeable development is that a movement to change North Korea’s system to democracy as a means to resolve the nuclear tension is being openly discussed. On June 1, the idea was proposed at the Jeju Forum of Korea, China and Japan.

While North Korea follows the models of India, Pakistan, and Israel, these countries are different from North Korea. They are open societies. As long as North Korea adheres to nuclear possession, international pressure for nuclear abandonment and democratization will only grow. In North Korea, there are 20 million people who may explode when applied external energy. North Korea’s new leader must look straight at the reality that its nuclear strategy may bring down its system instead of strengthening the power.

The author is a political news reporter at the JoongAng Ilbo.

by Kim Su-jeong


북한의 헌법 서문은 이렇게 시작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위대한 수령 김일성 동지와 위대한 영도자 김정일 동지의 사상과 영도를 구현한 주체의 사회주의 조국이다."
헌법보다 상위개념이라는 노동당 규약 전문 첫 줄도 이렇다. "조선노동당은 위대한 수령 김일성 동지의 당이다." 29개 문장으로 이뤄진 전문 중 3~4문장만 빼곤 '김일성•김정일의 당'에 방점이 있다.
역설적이지만 '인민공화국' 북한에서 신성불가침의 영역은 인민이 아니다. 그 자리는 김일성과 김정일이 차지하고 있다. 북한이 개정 헌법에 "핵 보유"를 명기하고 이를 "김정일의 업적"으로 못박은 조치의 의미와 반향이 큰 이유다.
여론의 흐름도 심상치 않다. '어떤 경우에도 핵무기를 포기하지 않는다'는 북한의 속내가 분명히 드러난 만큼 북핵 협상 20년의 실패를 인정하고 근본적으로 대북 접근법을 바꿔야 한다는 주장들이 제기된다. 정치권에선 남한 내 미 전술핵 재배치는 물론 독자적 핵무장론까지 나오고 있다. 북한 핵을 머리에 이고는 우리의 안보를 담보할 수 없다는 논리다. 북한의 핵 보유 헌법 명기를 두고 다른 해석도 있다. 김정은의 국내 기반 강화를 위해 대내적으로 취한 조치이고, 헌법은 당규약 하위개념이어서 큰 의미를 두지 않아도 된다는 주장이다. 김정은의 향후 '의지'와 '말'이 더 중요하다는 것이다.
일리가 없진 않으나 과거 북핵 협상을 돌이켜 보면 얘기는 달라진다. 미국과 한국은 1992년의 남북 비핵화 선언이 북한의 핵 개발로 사실상 사문화됐는데도 눈을 감았다. 북한이 협상에만 나오면 '진전'이라고 평가했다. 그사이 북한이 핵실험을 두 차례나 했는데도 말이다.
핵 보유 명기 이후 한 독자가 긴 e-메일을 보냈다. '좋은 게 좋다'는 식으로 이어져온 대북 협상방식을 바꿔야 한다는 지적이었다. "북한은 핵을 만들 의지도 능력도 없다" "남한이 경제적 지원을 하면 북한은 반드시 핵을 포기한다"는 등 전직 대통령의 언급도 비판했다.
이런 의견들이 현실적인 움직임에도 반영되고 있다. 특히 북한의 민주화 즉 '체제전환' 운동으로 북핵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공론화되기 시작했다는 게 주목할 대목이다. 1일 열린 한•중•일 '제주포럼'에서도 나온 주장이다.
북한이 모델로 삼는 핵 보유국 인도•파키스탄•이스라엘은 북한과 다르다. 개방된 사회다. 폐쇄사회인 북한이 핵 보유를 고집할수록 국제사회의 대북 압박과 북한 민주화 운동은 더 커질 것이다. 북한엔 외부의 에너지를 받으면 폭발할 수 있는 주민 2000만 명이 있다고 하지 않나. 정권안보를 위해 선택한 핵 보유 전략이 정반대의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 북한의 새 지도부가 직시해야 할 현실이다. 김수정 정치 부문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