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praise of Kim Ki-duk’s dream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In praise of Kim Ki-duk’s dream

Korean director Kim Ki-duk’s “Pieta,” with its brutal plot of a loan shark who cripples those who can’t pay up and then seeks salvation through a woman claiming to be his mother, scooped up the Golden Lion for best film at the 69th Venice Film Festival over the weekend. This year is the first time that a Korean motion picture has collected a top prize from the major international film competitions in Venice, Cannes and Berlin.

This achievement is honorable not just for Kim and his colleagues, but for the Korean cinema industry as a whole. It has reached a peak in its 100-year history.

Kim’s personal history combined with his uncompromising pursuit of his goals both add drama to his feat in Venice. The 51-year-old’s schooling ended in middle school due to poverty. His teenage days were instead spent on factory assembly lines crammed in industrial slums. After military service, he landed in Paris and made a living by sketching portraits. After he mastered drawing, he discovered films in his 30s. He likes to describe himself as “a monster that fed and grew on an inferiority complex.”

He writes, directs, produces and finances his films to explore human psychology, cruelties and contradictions and to consider questions and answers about life. While snubbed as an eccentric outsider by the local industry, Kim’s startling films have been recognized on the international stage and he is regularly invited to awards ceremonies. He won the best director award in 2004 for “Bin-jip” in Venice, while another film, “Samaritan Girl,” snatched up the same honor in Berlin the same year.

Kim’s success is a pleasant surprise for filmmakers who fall outside of the mainstream. “Pieta,” the Italian word for pity, takes artistic inspiration from Michelangelo’s masterpiece portraying Mary cradling the dead Christ. In its coarse and disturbingly violent scenes, the film unabashedly bares the truth behind greedy capitalism and asks fundamental questions about humanity.

Winning the top prize with such a grisly story suggests that the international film community has come to truly accept Korean film as an art form of its own. As the viral sensation of “Gangnam Style” by Psy demonstrates, Korean young people have infinite talents that can appeal to the broader global audience - not necessarily through heavy marketing - but simply by showcasing promising work. We applaud Kim for succeeding in his stubborn quest to pursue his dream, even if it wasn’t always the easiest path to take.


김기덕 감독의 작품인 ‘피에타’가 어제 제69회 베니스 국제영화제에서 최고상인 황금사자상을 받았다. 한국 영화가 베니스, 칸, 베를린 등 세계 3대 영화제에서 최고상을 받은 것은 처음이다. 김 감독 개인의 영광이면서 한국 영화 100년사(史)의 쾌거다. 1961년 강대진 감독의 ‘마부’가 베를린 영화제에서 특별은곰상을 받은 이래 50년 넘게 이어져온 한국 영화의 세계 3대 영화제 도전사가 김 감독의 이번 수상으로 마침내 정점(頂點)을 찍었다.
김 감독의 베니스 영화제 정복이 무엇보다 돋보이는 것은 그의 굴곡진 삶과 집요한 작가주의 정신 때문이다. 어려운 가정에서 태어난 김 감독의 최종학력은 중졸이다. 생계를 위해 청계천과 구로공단에서 공장 노동자 생활을 하며 어린 시절을 보냈고, 영화도 독학으로 깨우쳤다. 스스로 자신을 ‘열등감을 먹고 자란 괴물’이라고 표현했을 정도다. 그럼에도 그는 흥행성보다 인간과 사회의 본질을 파고드는 자기만의 작품에 매달렸다. 그 바람에 충무로에선 마이너리티이자 비주류 아웃사이더로 통했다. 그는 국내보다 해외에서 먼저 인정을 받았다. ‘사마리아’로 2004년 베를린 영화제 감독상을 받았고, 같은 해 베니스에선 ‘빈집’으로 감독상을 받았다.
한국의 비주류 영화 감독이 만든 개성 강한 작가주의 작품이 세계에 통했다는 점은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이번 수상작인 ‘피에타’는 자본주의의 잔혹성을 적나라하게 고발하면서도 그 안에서 인간 존재의 구원 가능성을 묻는 영화다. 이런 ‘불편한’ 영화가 베니스에서 최고 작품으로 인정받았다는 것은 그만큼 우리 영화의 다양성과 지평이 넓어졌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한류의 지속적인 발전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던졌다고 본다. 싸이의 ‘강남 스타일’이 전세계적으로 폭발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는 데서도 알 수 있듯이 깎아놓은 밤처럼 세련미가 돋보이는 콘텐트만이 아니라 강력한 개성을 갖춘 비주류적 콘텐트도 세계에 통할 수 있다는 것을 김 감독은 보여줬다. 자신과의 고독한 싸움 끝에 세계 영화계의 정상에 우뚝 선 김 감독에게 뜨거운 박수를 보낸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