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opportunity for rapprochement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An opportunity for rapprochement

North Korea has accepted our offer for aid to the flood-stricken country one week after our government proposed it through an unofficial channel. Given the precedents in which our aid couldn’t go through due to delicate disagreements over the size and contents of aid packages, it’s still too early to tell if our aid can be successfully delivered to the people who need it. But we hope Pyongyang accepts our humanitarian aid through amicable working-level talks to break the current deadlock in South-North relations.

Our bilateral relations have been at an impasse since the launch of the hardlin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more than four years ago - except for the somewhat miraculous operation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in the North. The primary responsibility for the egregious situation is with Pyongyang. Without a stunning spate of provocations - shooting a South Korean tourist to death, sinking our Cheonan warship on a patrol mission near the tense maritime border and the shelling of the peaceful Yeonpyeong Island in the Yellow Sea - relations probably would not have worsened to this extent.

Yet our government is not free from accountability for the ongoing stalemate. After the Lee administration put a top priority on a tangible resolution of the North’s nuclear weapons issue - and linking all dialogues and negotiations to the issue despite it being an international conundrum beyond the realm of a single administration - it has ended up with a situation in which even an easy matter like humanitarian aid cannot be addressed.

At the JoongAng Global Forum sponsored by the JoongAng Ilbo early this week, the presidential candidate for the ruling Saenuri Party, Park Geun-hye, vowed to push ahead with an “evolving policy” toward North Korea as a gesture to depart from the Lee administration’s hawkish stance and embrace elastic and flexible approaches toward the North. Not only Park but also Ahn Cheol-soo, a still undeclared dark horse in the presidential race, and the opposition Democratic United Party’s presidential candidates all point out fatal loopholes in the government’s high-handed position toward Pyongyang, not to mention a number of scholars and journalists at home and abroad who hope for a change in North Korea policy to substantially improve South-North relations no matter who is elected in December.

It is too rash to interpret Pyongyang’s acceptance of our aid as a sign of change in the recalcitrant regime; North Korea might have accepted our offer for practical reasons after it suffered colossal damage from Typhoon Bolaven last month. In other words, Pyongyang may reject our aid unless we provide it in a “massive quantity,” as it demanded earlier.

Given the precedent in which we successfully delivered 5,000 tons of rice and 3,000 tons of cement in 2010 when the North was hit by a typhoon, we hope our government takes a flexible approach.

If the aid should lead to reunions of separated families and other altruistic gestures, it could relieve the next administration of a burden down the road.



2%대로 추락한 올해 경제성장 전망
임기 말 정부의 단기부양책으론 한계
구조적 저성장 극복할 비전 보여야

정부가 또다시 경기부양책을 꺼내 들었다. 지난 6월에 이어 두 번째로 경기를 살리기 위한 재정지원 강화대책을 내놓았다. 하반기에 8조5000억원의 재정자금을 투입하겠다던 1차 대책만으로는 가라앉기만 하는 경기를 되살리기 어렵다고 보고, 추가로 4조6000억원을 더 쓰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같은 재정지원대책으로 연내에 경기가 살아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오히려 경기가 더 주저앉을 수도 있다는 관측이 많다.
우선 이번에 정부가 내놓은 부양책은 그 자체로 경기부양 효과가 의심스럽다. 재정지원이라는 것이 새로운 돈을 투입한다기보다 내년에 쓸 돈을 미리 당겨 쓰겠다는 것이어서 어차피 부양효과는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근로소득세 원천징수를 덜해서 봉급생활자들의 소비를 부추기겠다는 것도 윗돌을 빼서 아랫돌을 고이는 것이나 다를 바 없다. 자동차와 가전제품에 대한 개별소비세를 연말까지 한시적으로 내리는 조치는 해당제품의 부분적인 판매확대 효과는 있겠지만 전반적인 소비 위축을 되돌리기에는 역부족이다.
결국 이번 2차 부양책은 임기 말 정부가 본격적으로 경기를 살리겠다는 의지보다는 더 이상 경기가 악화하지 않는 선에서 막아보겠다는 방어적인 성격이 강하다. 무엇보다 이번 대책에도 경기회복의 관건인 기업들의 투자를 늘릴 대책이 거의 없다는 사실이 그러한 한계를 여실히 보여준다. 임기 말을 맞은 정부의 입장에서 획기적이고 대대적인 경기대책을 내놓기 어렵다는 사정을 감안하면 그럴 법도 하다.
문제는 최근의 경기 침체가 단순히 일시적으로 지나가는 경기순환의 한 국면이 아닐 지도 모른다는 우려다. 올해 우리 경제는 정부가 당초 목표로 삼았던 3.3% 성장은 물 건너 간 지 오래고, 이제는 성장률이 3%에도 못 미칠 것이란 전망이 기정사실이 됐다. 일부 예측기관에서는 하반기 성장률이 1%대로 추락할 것이란 암울한 전망마저 내놓고 있다. 7월말 2.9%였던 10대 투자은행들의 올해 한국경제 성장률 평균 전망치는 한달 만에 2.6%까지 떨어졌다. 이제는 내년에 3%대 성장을 장담하기도 어려워졌다. 이 같은 장기침체가 경기순환 과정이 아니라면 한국경제의 구조적 한계가 세계경제의 침체와 맞물리면서 일어났을 가능성이 크다. 그렇다면 단순히 금리 인하나 재정지출 확대와 같은 대증적인 경기대책만으로는 성장률을 끌어올릴 수 없다.
더 심각한 문제는 경기 부진이 대선정국과 겹치면서 경제상황을 더 악화시킬 우려가 크다는 점이다. 경제체질의 개선과 같은 근본적인 대책은 강구하지 못하면서 대선주자들이 내세우는 복지 확대와 경제민주화 요구에 경제정책이 휘둘릴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차기 대권을 꿈꾸는 후보들은 장밋빛 공약을 내놓기에 앞서 한국경제가 직면하고 있는 구조적인 저성장의 가능성을 직시하기 바란다.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비전이 없다면 누가 대통령이 되든 한국경제의 장래는 어두울 수 밖에 없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