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ough of being a town mouse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Enough of being a town mouse

테스트


The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the global edition of The New York Times, reported last week that people are leaving cities for the countryside in Spain, which has become the next critical patient for the euro zone.

With the Spanish unemployment rate at 25 percent,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find a job. The youth unemployment rate is more than 40 percent. So more and more city folks are packing up and moving in search of a second career in the countryside. Their choice is notable since they are not relocating as a temporary solution to go through the economic crisis; they are moving to rural villages to change their lives. The rural lifestyle is emerging as an alternative for young Spaniards. The reverse migration from city to country has been dubbed “Rurbanismo.”

Some sociologists point out that the movement was not inspired by the economic crisis, though Spain’s crippled economy has certainly accelerated the trend. Instead, it began because the development of Internet made it possible to work from anywhere. It may be as natural a phenomenon as industrialization spurring people to move to cities, that the people are returning to the country in post-industrial society. Koreans also are increasingly moving back to the countryside, although we have different motivations. According to the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the number of households moving from cities to rural areas has been growing over the past decade. In 2001, 880 households migrated to the country, 1,240 households in 2005 and 4,067 households in 2010. Last year, the number drastically increased to 10,503 households. In the first half of this year, 8,706 families relocated to rural villages. More than half of the reverse-migrants are of age 50 and older, a sign that as baby boomers retire, many of them choose to spend their twilight years in rural villages.

Those who know from experience say country living is not as easy as one may think. It is far from a romantic pastoral life. Without thorough preparation and firm determination, people often struggle and fail. The government should more actively offer plans to assist people moving to country to encourage better distribution and create new jobs. Individuals interested in rural life need to make an effort to increase their chance of success by testing the lifestyle through the farming internship system.

When I get together with friends, retirement is always one of the main topics. When I hear news that someone has bought a parcel of land or someone spends weekends in the country, I get nervous. Some friends argue that city life is better for the elderly, but more seem to believe that rural living is the answer. The baby boomers who had moved to the cities during the era of industrialization may have an instinct to return to the countryside.

Maybe we have had enough of being a town mouse and now want to live as a country mouse.

* The autho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Bae Myung-bok

















   외국 신문에서 읽은 기사다. ‘유럽의 병자(病者)’로 전락해 중환자실 신세를 지고 있는 스페인에서 시골로 삶의 터전을 옮기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고 한다. 뉴욕타임스의 글로벌판(版)인 인터내셔널 해럴드 트리뷴(9월13일자)에 실린 기사다.
   실업률이 25%까지 치솟은 스페인에서 일자리 구하기는 하늘의 별따기다. 청년 실업률은 40%를 넘는다. 그래서인지 도시 생활을 청산하고 농촌에서 제2의 인생을 도모하는 사람들이 크게 늘고 있다고 한다. 경제위기를 회피하기 위한 일시적 방편이 아니라 새로운 삶의 방식으로 농촌 생활을 택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란 점이 눈에 띤다. 특히 젊은이들 사이에 농촌 생활이 라이프 스타일의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한다. 시골로의 회귀 현상을 가리키는 ‘루르바니스모(rurbanismo)’란 신조어까지 등장했다.
   스페인의 귀촌(歸村)·귀농(歸農) 현상이 새로운 건 아니란 지적도 있다. 인터넷의 발달로 어디서나 일을 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면서 이미 나타나기 시작한 현상이란 것이다. 경제위기로 이런 추세가 가속화했을 뿐이란 것이다. 산업화 시대에 농촌에서 도시로 이동했던 인구가 탈(脫)산업화 시대를 맞아 다시 농촌으로 회귀하는 것은 어찌 보면 자연스런 현상일 수 있다.
   이유는 다르지만 우리나라에서도 귀농·귀촌 인구가 매년 크게 늘고 있다. 농림수산식품부에 따르면 2001년 880가구에 불과했던 귀농·귀촌 가구가 2005년 1240가구, 2010년 4067가구로 늘어난 데 이어 지난해에는 1만503가구로 급증했다. 올해는 상반기에만 8706가구가 농촌으로 내려갔다. 귀농·귀촌 인구의 절반 이상이 50대 이상이다. 정년을 맞은 베이비붐 세대가 노후를 시골에서 보내기 위해 귀농과 귀촌을 택하는 경우가 그만큼 많다는 뜻이다.
   시골 생활이 생각처럼 쉬운 건 아니라고 경험자들은 한결같은 말한다. 낭만적 전원 생활과는 거리가 멀다는 것이다. 철저한 준비와 단단한 각오 없이 내려갔다가 낭패를 본 사례가 부지기수라고 한다. 인구 재배치와 새로운 일자리 창출 차원에서 정부가 귀농·귀촌인 지원책을 적극 마련할 필요가 있다. 영농인턴제 등을 활용해 일정 기간 농촌 생활을 미리 경험해봄으로써 시행착오를 줄이는 개인적 노력도 필요하다.
   친구끼리 모이면 노후 대비가 주된 화제 중 하나다. 누구는 시골 어디에 땅을 샀느니, 누구는 주말마다 전원주택에 내려간다느니 하는 얘기를 들으면 마음이 급해진다. 나이가 들수록 도시 생활이 낫다고 주장하는 친구들도 있지만 시골행을 당연한 것처럼 말하는 친구들이 더 많다. 산업화 시대에 도시로 올라온 베이비부머들의 회귀 본능일까. 아니면 팍팍한 서울쥐 생활은 할 만큼 했으니 이제 한적한 시골쥐 생활도 좀 해보자는 욕심일까.
배명복 논설위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