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lving the job conundrum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Solving the job conundrum

The hiring season is back. Applications flooded into large companies to meet the deadline over the weekend and overwhelmed computer systems. Large companies expect the highest-ever competition as they consider an application pool that has grown by 10,000 since last year. We are back to the same dilemma. The number of college graduates grows every year, but companies muddling along in “jobless growth” can no longer accommodate them.

The unemployment rate is a piece of retrospective data on the economy. Last year’s job numbers improved because the economy accelerated at a solid 6.2 percent on-year in 2010. The economic growth slowed to 3.6 percent last year and is expected to stop at around 2.5 percent this year. Due to a slump in domestic demand, the construction and financial sectors account for much of the slowdown in hiring. And companies offering more opportunities to job-seekers without college degrees means fewer positions are available for college graduates. The job market is likely to be challenging for new graduates for some time to come.

We simply cannot overemphasize the importance of jobs. Stable jobs are the best form of social welfare. They can help restore the middle class and place society back on the cycle of growth. We have repeatedly called for actions to boost growth, widen the services market through deregulation, create a corporate-friendly environment and enhance flexibility in union operations.

All the rosy promises of job-sharing and increases in public sector jobs are stop-gap measures. To solve the problem, companies must regain vitality and earn enough to offer decent jobs. Foreign companies should be invited to start or enlarge their Korean business to provide jobs here.

At the same time, we must prevent job opportunities from going elsewhere. Samsung Electronics hired 16,000 people over the last five years at home compared to 67,000 abroad. Hyundai Motor also hired four times more employees overseas than at home. Large companies inevitably have to increase overseas facilities to outsource and keep ahead of global competition. But we may have to re-examine whether or not we are losing our share of jobs because of excessive pay and benefit demands.

Exporters and manufacturers should be encouraged to seek more business at home. Unions should concede to more automation in automobile factories to help raise productivity. Anti-chaebol sentiment also needs to change.

Politicians demand that large companies increase hiring while slapping them with heavy taxes and rules on irregular workers. If companies cut hiring, the economy will sag further. But without their help, we cannot expect to solve the job issue.


사상 최고의 대기업 입사 경쟁률
“한국서 기업하고 싶다”는 분위기
만들지 않으면 취업난 해결 못해

대기업의 신입사원 공개채용 시즌이 돌아왔다. 지난 주말 원서 접수를 마감한 창구에는 전산장애가 빚어질 만큼 지원이 폭주했다고 한다. 지난해보다 지원자가 1만명 이상 늘어난 대기업들이 적지 않아 입사 경쟁률은 사상 최고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다시 취업 빙하기(氷河期)가 도래한 것이다. 대졸자들은 해마다 늘어나는 반면, ‘고용 없는 성장’을 이어가는 기업들은 인력 흡수에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일반적으로 실업률은 경기변동의 후행성 지표다. 지난해 고용 사정이 다소 나았던 것은 2010년 우리 경제가 6.2%의 비교적 고성장을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난해 성장률이 3.6%로 주저앉았고, 올해는 2.5%의 저성장이 예상되고 있다. 여기에다 내수 불황으로 상대적으로 인력 수요가 많았던 건설·금융업계가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기업들이 고졸자 취업 문호를 넓히면서 대졸자들이 설 자리는 더욱 좁아졌다. 앞으로 최악의 취업전쟁은 상당기간 지속될 게 분명해 보인다.
거듭 말하지만 일자리만큼 중요한 것은 없다. 일자리 창출은 최고의 복지다. 중산층 복원의 지름길이자 건강한 사회를 만드는 선순환의 출발점이기도 하다. 중앙일보가 지속적으로 성장동력 확충과 서비스업 규제완화, 기업하기 좋은 환경, 경직된 정규직 노조의 발상 전환 등을 주문해온 것도 이 때문이다. 대선을 앞두고 정치권에서 나오는 일자리 나누기나 공공분야의 임시직 확충은 일시적인 방편(方便)에 지나지 않는다. 취업난을 풀려면 기업들이 활력을 되찾고 양질의 일자리를 꾸준히 공급하는 게 핵심이다. 외국기업을 적극 유치해 새로운 일자리를 만드는 것도 중요하다.
우리가 간과하지 말아야 할 대목은 해외로 빠져나가는 일자리를 지키는 일이다. 삼성전자의 경우 2006년 이후 5년간 국내 인력은 1만6000여명 증가한 반면 해외 고용 인력은 6만7000여명이나 늘어났다. 현대자동차도 같은 기간 국내에서 1명을 고용할 때 해외에서 4명을 채용할 정도로 해외 비중을 늘였다. 대기업들이 글로벌 경쟁을 위해 해외 현지 공장을 증설하는 것은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하지만 국내의 고임금과 노사갈등으로 굳이 바깥으로 빠져나가지 않아도 될 일자리마저 해외로 사라지는 것은 아닌지 짚어봐야 한다.
수출 대기업들이 국내에서 기업을 더 키우고 싶어 하도록 여건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자동화와 전환 배치를 통해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경직된 노동운동부터 바로잡는 것이 우선이다. 또한 지금처럼 대기업 때리기가 만연한 속에서 이들이 국제경쟁력 강화에 매진하기는 불가능하다. 정치권이 대기업들에게 법인세 중과(重課)에다 비정규직 해소 비용까지 떠넘기면서 “국내 일자리를 늘리라”고 윽박지르는 것은 이율배반적(二律背反的)이다. 기업들이 국내 고용을 줄이면 사회 갈등을 야기하고 경제 전체에도 큰 부담이 된다. 다시 취업 빙하기를 맞으며 우리 사회가 어떻게 해외로 사라지는 일자리를 지켜낼지, 어떻게 해외 공장들을 U턴시킬 수 있을 지 고민해야 한다. “한국에서 기업을 해보고 싶다”는 쪽으로 분위기를 바꾸지 않는 한 취업난을 풀기 어렵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