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verhaul the restriction guideline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Overhaul the restriction guideline

The government has the lifted age censorship on about 300 Korean pop songs, including “Right Now” by Psy, who recently gained international stardom and dominated musical charts around the world with his latest hit song “Gangnam Style.”

The Youth Protection Board under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reviewed the songs that are restricted to listeners who are 19 years old or older because of lyrics considered inappropriate and harmful to minors before October of last year.

Anyone can now listen and access the music and their videos through YouTube and other online platforms without providing verification of age.

The ministry’s move, suspected of being influenced by Psy’s newfound fame, is being criticized for lacking consistency and principle. The ministry explained that the re-examination was based on new guidelines on musical lyrics and video files.

The two-year-term board members were replaced in August and they made a fresh review of the R-rated music. Whatever the reason, the ministry has undeniably lost face.

It is inarguable that we need an administrative fence to protect children and teenagers from the cascade of violent, lewd and hazardous material.

But the government censors are pitiful in their so-called protective actions. They ban music with a single mention of alcohol and cigarettes.

The ministry lost four administrative lawsuit cases from petitioners who demanded lifting the censorship last year. The ministry ridiculously obliged with the court ruling and lifted the sanction without explaining the reasons for the decision. Its action is self-explanatory how rash and groundless its censorship guideline has been.

The ministry assures that with its new set of screening guidelines, there won’t be questionable censoring actions in the future.

But it cannot avoid controversy because censorship is largely based on the subjective perspectives of the board members, which guarantees that another spate of controversy and legal fighting will continue.

If that’s the case, the ministry needs to come up with an objective and effective set of restrictive measures to protect the minors from hazardous material. To achieve the goal, it could work with the music industry to draw up the guideline.

Indiscriminate - and authoritative - censorship no longer works today. The government must stay abreast of the cultural trend to meet the cultural challenges of the times.


가수 싸이의 5집 앨범 수록곡 ‘라잇 나우’를 비롯한 가요 300여 곡이 어제 무더기로 청소년 유해매체란 딱지를 떼게 됐다. 여성가족부 산하 청소년보호위원회가 지난해 10월 이전에 청소년 유해물 판정을 받았던 곡을 재심의해 취소 여부를 확정했다. 이로써 청소년들은 성인 인증 없이 유튜브 등에서 뮤직비디오를 볼 수 있게 됐다.
 이를 두고 ‘국제 스타’ 싸이가 뜨니 여론에 밀려 판정도 바뀌는 게 아니냐는 조롱 섞인 비판도 여기저기서 나온다. 여성부는 이에 대해 음반 및 음악파일 심의세칙이 새로 제정되면서 청소년 유해 여부를 다시 판정한 결과라고 해명하고 있다. 임기 2년의 청소년보호위원회 위원들이 지난 8월 교체돼 새로운 위원들이 국민의 눈높이에 맞게 새롭게 심의한 결과라는 설명도 덧붙였다. 경위가 어찌됐든 여성부가 얻은 건 안티(anti)요, 잃은 건 신뢰일 뿐이다.
 음란물 홍수 시대에서 청소년을 지켜주는 규제는 필요하다. 하지만 규제의 칼을 휘두르는 정부 기관의 한심스러운 마인드가 더 문제다. 가사에 술·담배가 들어갔으니 유해하다는 판정을 내린 게 위원회이고, 이를 받아 고시한 게 여성부다. 여성부가 지난해 유해매체물 결정을 취소해 달라고 제기된 행정소송 4건에서 완패한 것만 보더라도 그간 얼마나 시대착오적인 규제 행태를 보여왔는지 알 수 있다. 더욱 어이없는 건 여성부가 법원 판결을 받아 유해매체 결정 취소 고시를 하면서도 무슨 이유로 취소하는지 아무런 사유도 밝히지 않는다는 점이다.

 여성부는 심의 세칙이 생겼으니 과거와 같은 비상식적인 판정은 없을 것이라고 자신하고 있다. 하지만 아무리 세밀한 규칙이 있더라도 판정엔 위원들의 주관이 개입되기 때문에 판정 시비는 끊이지 않을 것이다. 그렇다면 청소년 보호라는 대의를 살리면서도 실효성 있는 규제방안을 찾는 게 바람직하다. 음악업계와 함께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이를 준수하게 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무작정 규제만 하는 시대는 지났다. 문화적 감각이란 찾아볼 수 없는 여성부는 반성해야 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