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lerance is what the liberals need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olerance is what the liberals need

Ten years ago during the 16th presidential election, voters in their 40s accounted for 2.87 million of Roh Moo-hyun’s popular vote. The turnout for the age group was 76.3 percent, and Roh earned 48.1 percent. Roh’s rival, Lee Hoi-chang, earned 2.86 million votes, or 47.9 percent. Voters in their 40s in 2002 were equally divided and supported both two candidates.

Now they are in their 50s. In the 18th presidential election, their political inclinations changed dramatically. The turnout was a whopping 89.9 percent with 6.99 million votes. Only 37.4 percent, or 2.61 million voters, supported opposition party candidate Moon Jae-in. The exit polls indicated that ruling party candidate Park Geun-hye earned 62.5 percent, or 4.37 million votes, from the age group.

Analyzing elections is like analyzing a football match. The interpretations are based on the game that’s already been played, so some views can be especially convincing. But they are not always right. We all admit that the concentrated support of the voters in their 50s led to Park’s victory. But we need to pay closer attention to one thing in particular.

Over the last decade the support for the progressive camp has been quite consistent. As noted before, 2.87 million voters in their 40s supported the liberal candidate in 2002 and 2.61 million voters in their 50s made the same choice in 2012. That means the voters with liberal tendencies voted for progressive candidates both elections. However, the support for the conservative candidate increased by 1.51 million over the last 10 years.

The numbers tell us that the progressive faction has not collapsed but has certainly failed to expand its territory. In this presidential election, KakaoTalk, Facebook and Twitter were expecte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voters, and the prediction was right. Social networking services were utilized throughout the campaign. Online warriors were in full force to support the progressive candidate. However, in reality they were communicating with one another. They were unified, but they did not tolerate different voices. Anyone with a different view was harshly attacked online.

There are speculations that the conservative camp hired people to stir up the cyberspace atmosphere. But the hegemony of the progressive camp was solid. They did not embrace other views. After the election, they cited statistics based on income and education and argued that Park Geun-hye appealed to low-income, low-educated voters. The exclusivity and elitism spread throughout the progressive camp. That’s why the moderate, floating votes quietly, yet firmly turned away from them.

“When I attend a progressive seminar or meeting, I am the only one who was not an activist and did not graduate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one voter expressed on Twitter. “None of the attendees were born after the 1970s.” The liberals may feel frustrated and disappointed, but the seed of hope remains in the 14.69 million votes they earned. If they want to grow, they should break away from the old habit of turning people with different ideas into enemies.

The author is new media editor of the JoongAng Ilbo.

Kim Jong-yoon




287만 표-. 10년 전인 2002년 16대 대통령 선거에서 40대 유권자들은 노무현 후보에게 이만큼의 표를 주었다. 투표한 40대 유권자 598만 명(투표율 76.3%) 중 48.1%였다. 이회창 후보는 286만 표(47.9%)를 얻었다. 당시 40대 유권자들은 두 후보를 공평하게 지지했다.
이들 40대가 이번 18대 대선에서는 50대가 됐다. 강산이 한 번 바뀌자 이들의 표심이 확연히 달라졌다. 투표율부터 89.9%(699만 명 투표)로 뛰었다. 이 중 문재인 후보 지지는 37.4%인 261만 표에 그쳤다. (출구조사 결과). 박근혜 후보에 간 표는 62.5%(437만 표)나 됐다.
선거결과에 대한 분석은 축구 경기가 끝난 뒤 하는 관전평 같다. 이미 드러난 승패를 놓고 해석하는지라 그럴싸하지만, 그렇다고 다 맞지도 않는다. 다만 모두 인정하는 건 박 후보에게 간 50대의 몰표가 승리의 원동력이 됐다는 점이다. 여기서 눈 여겨 봐야 할 대목이 있다. 10년 사이 진보진영에 간 표는 큰 차이가 없다는 점이다. 287만 표(2002년, 40대)와 261만 표(2012년, 50대). 진보 후보를 찍을 만한 사람들은 10년 전이나 지금이나 거의 비슷하게 표를 던졌다. 보수후보 쪽은 달랐다. 10년 사이 지지자가 151만 명이나 더 생겼다.
숫자만 놓고 보더라도 진보 진영이 무너진 건 아니다. 그동안 외연을 확대하는데 실패했을 뿐이다. 왜? 이번 선거에서는 카(카카오톡)·페(페이스북)·트(트위터)가 표심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했다. 적중했다. SNS(Social Network Service)는 뜨거웠다. 진보후보를 지원하기 위한 온라인 전사들이 총 출동했다. 하지만 닫혔다. 그들만의 리그가 됐다. ‘우리끼리’만 소통했다. 뜻도 합치됐다. 거기까지였다. 나와 다른 말을 하는 사람을 용인하지 않았다. SNS 공간에서 다른 목소리를 내면 무참히 공격했다. 보수 진영에서는 알바단이 날뛰었다는 의혹이 있지만, 설사 그렇다 하더라도 진보 진영의 패권이 훨씬 강했다. 그들은 남을 포용하려 들지 않았다. 심지어 선거 후에는 소득별·학력별 득표율을 논하면서 저소득·저학력자들이 박근혜 후보에게 표를 더 많이 주었다며 비아냥대기까지 했다. 선민의식으로 무장한 진보. 이게 독버섯처럼 퍼졌다. 중도 층이 조용히 그러나 단호하게 등을 돌린 건 이런 이유 때문이다.
한 파워트위터리안은 트위터에 ‘진보 학회나 모임에 가면 비운동권, 비서울대 출신은 나밖에 없구나. 70년대 이후 태어난 참석자는 아무도 없구나’라며 미래가 보이지 않는 진보 진영을 걱정했다. 진보는 지금 흐느끼고 있다. 좌절감에 세상이 무너진 듯하지만 1469만 표라는 희망의 홀씨는 또렷이 남아 있다. 이 홀씨를 키워 가려면 나와 생각이 다르다고 그들을 ‘적’으로 돌리는 구태에서 벗어야 한다. 지금 진보에 필요한 건 포용이다. SNS는 서로 감싸는 한마당이 돼야 한다.


김종윤 뉴미디어 에디터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