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lity, efficient day care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Quality, efficient day care

The quickly cobbled together universal free day care system for toddlers is raising concerns for its efficacy due to many loopholes. The budget is already leaking due to a mechanical and rigid financing system. About 390,000 children who use day care centers for an average of seven hours are subsidized with funds for a full 12 hours, according to an investigative report by the JoongAng Ilbo.

According to the report, the leaks cost 350 billion won ($329 million) from national coffers and another 350 billion won from local governments. That is 10 percent going down the drain out of a total 7 trillion won in this year’s budget to finance a free day care service for all toddlers under five.

The government raised the problem when the system went on trial last year and tried to fix it by providing for half-day instead of full-day care. But the National Assembly ignored the government proposal and went on rubber-stamping the original bill.

The extension of free day care also has not been accompanied by a better service standard. Child day care jobs in private centers or nursery schools pay about 1.14 million won a month, compared with a 1.53 million won average wage at state-run or other public facilities. Parents naturally prefer public facilities because of better service and care. The government subsidization program can worsen the imbalance in the day care service market.

The system should be revised and reformed if the receiving end is not satisfied despite the immense cost. The main problem is that the government subsidizes day care for children without consideration for the income and working condition of their family. Social welfare benefits should be enhanced, but need not be equally shared regardless of their needs and demand. Social welfare and security should be given first to the people who need them in order to prevent budgetary waste and moral hazard.

The government could benchmark the Australian support program where it subsidizes day care for 24 hours per week for stay-at-home mothers and 50 hours for working mothers. The government said it will carry out the program in March as planned and make revisions afterward. But obvious problems should be fixed first to make the system work and prevent waste.


   올해부터 전면 확대 실시하는 무상보육 정책은 급하게 만들어서인지 허점이 한둘이 아니다. 특히 지원방식이 지나치게 기계적이어서 여기저기에서 예산이 줄줄 새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가장 큰 문제가 어린이집 반일(하루 평균 7시간 이용) 이용자 약 39만 명에게도 종일 기준(하루 12시간)의 보육료를 지원한다는 점이다. 중앙일보는 7~8일 ‘무상보육 제대로 하자’ 시리즈를 통해 문제점을 고발하고 해결을 촉구했다.    보도에 따르면 여기에 들어가는 ‘허튼 돈’이 국비 3500억원, 지방비 3500억원으로 모두 7000억원에 이른다. 전체 무상보육 예산 약 7조원(지방비 포함)의 10%가 낭비되는 셈이다. 지난해 무상보육을 시행하면서 이런 문제가 제기되자 정부는 종일제의 60~70%만 지원하는 반일(半日)제를 시행하려 했지만 국회가 지난 연말 무상보육안을 밀어붙이면서 기회를 놓쳤다.    아울러 무상보육을 확대하면서 질도 개선돼야 하는데 현실은 그렇지 않다. 특히 민간 어린이집은 보육교사 월급이 114만원선으로 국·공립 어린이집 월급 153만원보다 떨어진다. 따라서 서비스의 질도 당연히 차이가 날 것이므로 학부모의 선호도도 달라지게 마련이다. 이에 따라 민간과 국·공립 어린이집의 수급 불균형이 더욱 악화할 수밖에 없다.    이처럼 거액의 예산을 쓰고도 수혜자를 불편하게 한다면 당연히 제도를 개혁·개선해야 한다. 문제의 근원은 소득이나 맞벌이 여부 등 형편과 관계없이 누구에게나 무상보육을 하는 데 있다. 복지는 필요하지만 수요와 무관하게 모든 국민에게 나눠주는 방식은 곤란하다. 복지의 대원칙은 필요한 국민에게 선별적으로 지원하는 것이다. 그래야만 예산낭비나 도덕적 해이를 막으면서 합리적·효율적으로 제도를 운용할 수 있다.    전업주부는 주당 24시간, 맞벌이는 50시간으로 구분해 지원하는 호주 방식의 도입을 검토해볼 만하다. 정부는 3월부터 일단 시행해보고 개선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한다. 하지만 얼마나 많은 예산이 드는 사업인데 무작정 돈부터 넣고 보자고 한단 말인가. 정책에 문제가 있다고 파악했다면 가능한 한 빨리 고치는 게 순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