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ware side effects of weak yen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Beware side effects of weak yen

The value of the Japanese yen has fallen over 15 percent in just four months, sinking below the 90-mark against the U.S. dollar amid calls from new Japanese Prime Minister Shinzo Abe to cure Japan’s maladies through ultra-loose monetary and fiscal policies. He has even vowed to make the Bank of Japan conform to his will to fix the deflationary and sluggish economic trend through “unlimited money-printing” - or quantitative easing to depreciate the yen, ignite inflation and revive Japan as an export powerhouse.

His new cabinet approved an emergency stimulus package to increase government spending and projects and set a specific inflation target of 2 percent to “free” the economy from its chains of deflation and a strong yen. As the message has been sent loud and clear across global markets, the yen is likely to keep depreciating. A weaker yen benefits Japanese exporters and spurs spending at home. But many are skeptical about whether this artificial prescription will have lasting effects.

The foreign exchange rate is best left up to the market. The yen has remained strong since 2008 despite it having under-performed, largely due to external factors. Investors saw it as a safe haven due to questions about the security of the greenback following the meltdown on Wall Street and the fact that the euro has become weighed down with credit risks. The Abe government is creating more trouble on the highly fragile global financial market by interfering too much with the foreign exchange rate.

Christine Lagarde, managing director of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warned against Abe’s beggar-thy-neighbor policy, which employs currency devaluations or other protective barriers to ease economic difficulties at the expense of other countries. Such protective actions can trigger chain reactions from other countries, which could spell a disaster for the global economy and trade.

Foreign exchange interference often does more harm than good in the long run, unless a grand consensus is reached (as was the case in 1985 when representatives of five major economies met in New York and decided to realign the exchange rate system to foster growth). But Japan will soon lose its ammunition and resources to act alone. It could even stoke a currency war, which would be disastrous for it.

Korea is most sensitive to Japanese currency movements as it competes fiercely with Japanese products on the global market. Exporters now find themselves squeezed between the strengthening won and weakening yen. As such, authorities must consider a “smoothing operation” to fend off speculative capital and ease volatility. Exporters have had it easy so far thanks to the weak won, but they now have to face up to the harsh reality.


주변국 괴롭히고 갈등만 초래할 뿐
일본은 어떻게 초(超)엔고에 버텨냈나
우리도 그 지혜 배워 이중고 헤쳐가야

엔화 가치가 불과 4개월 만에 15% 이상 절하돼 달러당 90엔 아래로 떨어졌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윤전기를 돌려서라도 돈을 찍어내겠다”는 무제한 양적완화에 자극받은 것이다. 일본은 공공투자를 크게 늘이고 물가상승률 목표치도 2%로 올릴 기세여서 엔 약세는 당분간 지속될 분위기다. 이에 힘입어 일본 수출기업들은 기력을 회복하고, 일본 경기도 반짝 되살아나는 조짐이다. 하지만 일본 정부의 인위적인 엔 약세가 언제까지 지속될지는 의문이다.
환율은 기본적으로 시장에서 결정되는 것이다. 돌아보면 2008년 이후 기형적인 엔 강세는 돌출변수 때문이었다. 리먼 브러더스 사태 이후 기축통화인 달러가 죽을 쑤고, 유럽 재정위기로 유로화마저 맥을 못 추면서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일본 엔화 가치가 급등한 것이다. 최근 미국 경제가 회복 기미를 보이고 유로존 위기도 큰 고비를 넘기면서 엔화가 약세로 돌아선 것은 자연스런 현상으로 볼 수 있다. 문제는 아베 내각이 인위적인 엔 약세를 부추겨 세계 경제에 파란을 일으키고 있다는 점이다.
당장 국제적 반발이 터져 나오고 있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는 일본의 근린궁핍화(近隣窮乏化·beggar-thy-neighbor) 정책을 비난하고 나섰다. 자국의 경기회복과 수출을 위해 다른 나라를 궁핍하게 만들면, 상대국들도 똑같은 전략을 펼쳐 결국 둘 다 손해를 본다는 의미다. 미국 자동차업계도 발끈했다. 전미 자동차정책위원회(AAPC)는 “일본의 엔 약세로 미국 자동차 시장이 위협받고 있다”며 “오바마 행정부는 보복 조치를 취할 수 있음을 분명히 하라”고 요구했다. 일본이 엔 약세를 밀어붙이면 더 큰 마찰과 갈등을 각오해야 할 것이다.
역사적으로 인위적인 환율 조작이 성공한 사례는 찾아보기 힘들다. 길게 보면 별반 효과도 없고 부작용만 낳았다. 1985년 플라자 합의 직후처럼 주요 선진국들이 공동으로 환율 흐름을 돌려놓는 ‘협조개입’이라면 모른다. 지금처럼 일본 혼자 기를 쓰고 엔 약세를 밀어붙이는 ‘독자 개입’은 머지 않아 한계에 부딪힐 게 뻔하다. 자칫하면 세계적인 환율전쟁을 촉발할 수도 있다. 이런 비극은 여전히 수출비중이 높은 일본에게도 악몽이다.
일본과 세계시장에서 경합하는 한국엔 적신호가 켜졌다. 어느 새 원-엔 환율은 100엔당 1174.93원까지 내려앉았다. 원화 강세에다 엔 약세까지 겹치면서 수출 기업들 사이에는 비명이 터져 나온다. 당연히 정책당국은 국제 핫머니의 준동을 막고, 환율 변동을 억제하는 ‘스무드 오퍼레이팅(smooth operating)’에 나서야 한다. 하지만 그 동안 우리 수출기업들은 환율 훈풍을 타고 땅 짚고 헤엄치기 식의 장사를 해온 것도 사실이다. 오히려 지금의 환율이 정상궤도에 복귀한 것이라고 봐야 한다. 이제 우리 수출기업들이 제 실력을 발휘해야 할 때다. 연구 개발(R&D)에 매진해 기술·품질 등 비(非)가격경쟁력을 끌어올리고, 다시 한번 경영합리화에 팔을 걷어붙여야 한다. 일본 기업들이 달러당 110엔대에서 70엔대 중반까지 환율이 떨어졌는데도 어떻게 생존을 도모했는지 그 지혜를 배워야 할 것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