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ngneung makes coffee its own asset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Gangneung makes coffee its own asset

테스트

I could not ask for anything more delicious than a bowl of rice mixed with spicy soybean paste and dried radish greens, complete with a glass of scorched rice water, at a diner in Jumunjin Harbor, Gangwon. But my friends from Gangneung nearby insisted that we have coffee. And I followed them through narrow alleys to a deserted field. There was Cafe Bohemian, run by one of the first-generation baristas. After having a 6,000-won ($5.37) meal, we drank 5,000-won coffee - Indian Arabica drip coffee. A local said, “Gangneung style is to pay 5,000 won for a meal and 7,000 won for coffee.”

People of Gangneung city are passionate about coffee. Their love for coffee goes beyond the famous cafe street in Anmok Beach. You can find more coffee shops than seafood restaurants. And most of these cafes roast their own beans. In Gangneung, you cannot easily boast your coffee-making skill. They are all masters in roasting, grinding, dripping, brewing and drinking.

The beans are not just roasted at cafes. Merchants, civil servants and homemakers have their own know-how to roast coffee beans in their apartment balconies or gardens to make coffee just as they like. Even monks roast beans and drink coffee instead of tea. “If Buddha were alive today, he would have drunk coffee.” People invent their own roasting devices, and there are countless classes teaching roasting and brewing.

The coffee battle began as the first-generation baristas settled in Gangneung, and mega-chains like Starbucks and Coffee Bean & Tea Leaf cannot compete. As hidden masters and sages present their secret skills, the city became more of a holy land of coffee than a battlefield. And outsiders began making pilgrimages there in search of a good cup of coffee. The deserted old downtown in Nammun-dong began to regain vitality, with a number of cafes and a theater opening. A municipal official said that coffee is bringing energy to the city’s economy.

I asked a local why the people of the conservative town are so fond of coffee, a foreign import. He said, “Beans may be imported, but we make unique Gangneung coffee you cannot find anywhere else in the world. Coffee is an integral part of our living culture as much as the soybean paste.” To the people of Gangneung, the various origins of coffee beans are not foreign, but enrich their coffee.

In fact, it may be unsophisticated to distinguish local from foreign in the era of globalization. No matter where it originates from, you can gain competitiveness in the global age if you can make a cultural product out of it. By truly enjoying coffee, people of Gangneung made coffee their own asset. If Koreans are inspired and excited, we can create a new culture without anyone asking for it.

*The autho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Yang Sunny













주문진항 앞 허름한 식당에서 시래기 나물과 칼칼한 강릉식 강된장 ‘빡작장’으로 밥 한 뚝배기 비벼먹고, 숭늉 한 그릇 얻어먹으니 이 서울 사람은 더 바랄 게 없었다. 한데 강릉토박이 친구들은 “어서 커피 마시러 가자”고 재촉했다. 그러곤 허허벌판 좁은 길을 따라 생뚱맞은 곳으로 데려갔다. 볼 거라곤 없는 벌판 위엔 국내 초창기 4대 바리스타로 꼽히는 박이추씨의 카페 ‘보헤미안’이 있었다. 6000원짜리 된장 먹고, 5000원짜리 커피를 마셨다. 말이 필요없다는 인디아 아라비카 드립 커피. 강릉 사람이 말했다. “5000원짜리 밥 먹고 6000~7000원짜리 커피 마시는 게 강릉스타일”이라고.
강릉의 커피 사랑은 격했다. 그 유명한 안목 카페거리만이 아니었다. 어딜 가나 횟집보다 카페가 많았다. 거의 모든 카페들은 자체 로스팅 간판을 내걸었다. 강릉에선 커피 잘 뽑는 기술은 자랑거리도 못 된다. 생두를 직접 볶고, 갈고, 뽑고, 마실 줄 아는 게 기본이다. 콩은 카페에서만 볶는 게 아니었다. 상인·공무원·주부 할 것 없이 시민들이 아파트 베란다에서, 집 뜰에서 뚝배기에 냄비에 자기 방식대로 커피콩을 볶는다. 절에서 차 대신 커피를 볶는 스님들도 있단다. “부처님이 요즘 사셨다면 커피를 드셨을 것”이라며. 보통시민들이 로스터기를 자기 스타일대로 만들어 쓰고, 콩 볶는 방법부터 가르치는 커피 아카데미는 셀 수 없을 정도다.
박이추씨 등 강호의 고수들이 터를 잡으면서 시작된 강릉의 ‘커피무림’엔 외지에선 힘깨나 쓰는 별다방·콩다방도 명함을 못 내민다. 무림의 고수와 협사들이 자신만의 비기(秘技)를 연마하면서 외지인들부터 이곳을 무림이 아닌 ‘성지(聖地)’로 인정하기 시작했다. 이에 순례객들이 관광차로 승용차로 몰려든다. 퇴락하던 남문동 구도심도 카페 몇 개와 소극장이 문을 열면서 다시 활기를 찾기 시작했다. 시 관계자는 “커피가 강릉의 경제를 살리는 활력소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강릉사람에게 물었다. 보수적인 예향 강릉에 웬 외래문물 커피냐고. 그가 말했다. “원산지는 원두를 생산하고, 강릉은 세계 어디에도 없는 강릉 커피를 만들었다. 커피는 빡작장만큼이나 토속 생활문화다.” 강릉 사람들에게 다양한 원두의 원산지는 외국 문물이 아니라 강릉의 커피를 더욱 풍부하게 하는 소재다. 하긴 지구촌 시대에 네 것 내 것 따지는 게 더 촌스럽다. 원적이 어디든 먼저 내 상품과 내 문화로 만들면 그게 내 것인 게 글로벌 시대 경쟁력인 것을. 이렇게 강릉의 개방적이고 즐길 줄 아는 시민들은 커피를 자신들의 자산으로 만들었다. 한국인은 신명만 나면 누가 시키지 않아도 창의적인 새 문화를 만든다는 게 바로 이를 두고 한 말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양선희 논설위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