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pan media blamed, with good reason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Japan media blamed, with good reason

테스트

“The government of Japan has already expressed its feelings of deep remorse and heartfelt apology, and it has expressed feelings of sincere mourning for all World War II victims, at home and abroad,” wrote Japanese Ambassador to the United States Kenichiro Sasae in a Letter to the Editor for the Washington Post. It was a response to the April 27 editorial, “Shinzo Abe’s Inability to Face History,” which solemnly criticized the Japanese government’s historical perspective.

Sasae’s claim is partly right and partly wrong. The Japanese government has been making apologies whenever opportunities arose or, more precisely, whenever necessary. If I am not mistaken, the eight prime ministers in the last 10 years have all expressed regrets on various occasions. The Japanese emperor, symbol of the nation, expressed his “thoughts of painful regrets.” Japan has made apologies, indeed. So, some Japanese reporters with whom I am close would ask me over drinks, “Do we really need to apologize more?” Then, I always say half-jokingly yet very seriously, “Yes, until you mean it.”

The most critically wrong remarks in Sasae’s writing are the modifiers “heartfelt” and “sincere.” He would remember March 2007, when he was the Foreign Ministry’s Asia-Pacific section chief. Abe, prime minister at the time, made an absurd argument to the Diet: “The material discovered by the government contained no documentation that directly indicated the so-called coercive recruitment by the military or the authorities.” While he did not budge on Korea’s protest, pressure from the United States made him change that stance 21 days later. He said he would abide by the Kono statement and apologized. Last week’s controversy over his remark denying aggression unfolded similarly to the incident six years ago. He ignored Seoul’s protest, then backed down when America got involved. Such an attitude can hardly be described as “heartfelt” or “sincere.”

Personally, I was more interested in the letter from another reader, published next to Sasae’s view. Japanese-American reader Yuki Henninger wrote, “As a Japanese native in her late 60s who was schooled in Japan, I was reminded that we were taught that our country was a victim of atomic bombs but not that it also was a major perpetrator of the war that led to them. .?.?. Unfortunately, my contemporaries in Japan, as well as the Japanese media, seem reluctant to reflect on this issue.”

I don’t mean to put blame on fellow journalists, but I agree with Yuki. Japanese media no longer has a check and criticism function.

While Japan Conference, a right-wing group coordinating and controlling the militaristic line, is thriving, I have seen no in-depth report about it. Columbia University professor and prestigious Japan expert Gerald Curtis condemned Abe’s historical perspective in the name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But I haven’t seen any reports seriously investigating the historical circumstances and consequences of Japan’s aggression and wha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addressing. The Japanese press is not willing to face the issue, and they are mistaken if they think feigning ignorance is for the good of Japan.

The eight million right-wing members of the conference do not represent all of Japan. I believe the majority have a conscience like Yuki. Korea and Japan need to make efforts to let people learn of the truth and make their own judgments until both countries can approve modifiers like “heartfelt” and “sincere.”

*The author is the chief of the Tokyo bureau of the JoongAng Ilbo.

by Kim Hyun-ki










"일본 정부는 깊은 후회와 진정한(heartfelt) 사과의 뜻을 이미 국내외에 밝혔고, 2차 세계대전 희생자에 대한 진실한(sincere) 애도를 표명했다." 사사에 겐이치로 주미 일본대사가 1일자 워싱턴포스트에 쓴 기고문이다. 일본 정부의 역사인식을 준엄하게 꾸짖은 이 신문의 사설에 대한 반론이다. 사사에의 지적은 일부는 맞고 일부는 틀리다. 일본 정부는 기회 있을 때(정확히는 필요할 때)마다 사과를 해 왔다. 맞는 말이다. 내 기억으론 최근 10년간 재임한 8명의 총리 모두 이런저런 자리에서 사과를 표명했다. 국가를 상징하는 일왕(일본에선 천황) 또한 '통석의 염'을 표한 바 있다. 인정한다. 그래서인지 친한 일본 기자들은 나에게 술 한잔 들어가면 "도대체 얼마나 더 사과하면 돼?"라고 따지곤 한다. 그때마다 농반진반으로 응수하는 말이 있다. "잘할 때까지!" 사사에 기고문의 결정적인 오기(誤記)는 '진정한' '진실한'이란 형용사다. 그도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시절이던 2007년 3월을 기억할 것이다. 당시 아베 신조 총리는 국회에 나와 "위안부에 '광의의 강제성'은 있었지만 '협의의 강제성'을 뒷받침할 증언은 없었다"는 궤변을 토했다. 한국의 반발에 아랑곳없던 그는 미국이 발끈하자 망언 21일 만에 "난 (위안부 강제연행을 인정한) '고노담화'를 승계하는 사람" "총리로서 사과한다"고 말을 바꿨다. 지난주 아베의 '침략 불인정' 발언을 둘러싼 소동도 6년 전과 판박이다. 한국 반발은 무시하다 미국이 한 소리 하자 돌연 꼬리를 내렸다. '진정한' '진실한'이란 형용사는 그럴 때 쓰는 표현이 아니다. 개인적으론 사사에의 기고문 옆 독자투고에 더 눈길이 갔다. 유키 헤닌저라는 재미 일본인의 글이었다. 그는 "우리는 일본이 원폭 희생자라고만 배웠지 전쟁 가해자란 걸 배우지 못했다. 일본 언론이나 일본인들은 이런 이슈에 대해 반성하길 꺼리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동종 업계 동료를 탓하는 것 같아 뭐하지만 내 생각도 유키와 똑같다. 일본 언론의 견제와 비판 기능은 멈춰선 느낌이다. 군국주의 노선을 기획하고 조종하는 우익사령탑 '일본회의'(Japan Conference)가 활개를 치지만 그에 대한 심층 기사를 본 적이 없다. 세계적 권위의 지일파인 제럴드 커티스 컬럼비아대 교수가 국제사회의 이름으로 아베의 역사관을 지적해도 자신들이 저질렀던 침략의 역사적 경위, 국제사회가 문제삼는 포인트를 깊이있게 파헤친 기사를 찾아볼 수 없다. 못하는 게 아니라 안한다. 하지만 그게 일본을 위한 길이라고 생각한다면 큰 착각이다. 일본회의 소속 800만 우익회원들만이 일본인은 아니다. 난 유키와 같은 양심적인 일본인이 다수라 믿는다. 그들이 제대로 된 실상을 알고 판단할 수 있도록 한국도 일본도 노력해야 한다. '진정한' '진실한'이란 형용사에 한국 국민, 일본 국민 모두 고개를 끄덕일 수 있을 때까지 말이다.
김현기 도쿄 총국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