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ward an information society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oward an information society

We welcome the government’s decision to make administrative information public. Take this situation: There are approximately 50,000 registered residents in Nonhyun-dong, Gangnam District in southern Seoul. But if you look at the numbers for tap water and electricity use by the Office of Waterworks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the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a population double the number could be presumed to live in the posh neighborhood. When more information is available to the public, policies can be better tailored for the welfare of citizens, not to mention for the benefit of businesses.

The administrative information provided earlier by Seoul government can be used in many different ways. For example, businessmen interested in opening shops for senior citizens can easily find an appropriate spot by taking into account the number of free subway riders at a particular exit of a subway station. Though the data may look like trivial statistics to the city government itself, they can be a valuable asset for a businessman trying to avoid unnecessary risks.

President Park Geun-hye vowed to make public as many as 100 million pieces of information a year yesterday when declaring her vision of Government 3.0 based on opening up, sharing,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That marks an amazing rise from 310,000 pieces of public information made public last year. The president also pledged to provide tailor-made services for citizens by making government information available to them.

If the government can continue to follow this trend, it can lead to a remarkable shift of administrative paradigms as well as more jobs. Gartner, the world’s leading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and advisory company, has defined data as “the oil of the 21st century.” In other words, a nation’s competitiveness is determined by the ability to analyze and capitalize on information.

Our government has been reluctant to make administrative information available to the public. But advanced countries like the United States and Japan make it obligatory for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to build databases on particular issues and force them to make the information public. The idea is that quality information is a prerequisite to the blossoming of an era of unimpeded information.

We hope the government drastically cuts red tape and makes crucial information public. Only then can the move serve as a catalyst for a real information-oriented society. At the same time, it must ensure individual privacy is fully protected in the process.


행정 정보는 개인정보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최대한 공개하는 게 맞다. 이를테면 서울 논현동에 주민등록한 공식 인구는 5만여 명이다. 하지만 서울시 상수도본부가 집계한 수돗물 사용량이나 한전의 전기 사용량을 보면 실제 거주 인구는 그 두 배가 넘는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 인구수를 알아야 맞춤형 행정이 가능하고, 기업들의 비즈니스에도 도움이 된다. 한발 앞서 서울시가 공개한 행정 정보를 보면 매우 유용한 게 많다. 예를 들어 지하철 역 몇 번 출구를 통해 무료 승차한 승객이 많은지를 따져 노인용품 가게의 적지를 파악할 수 있다. 정부로선 하찮은 통계일지 몰라도 개인과 기업의 입장에선 실패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소중한 정보다.
 박근혜 대통령이 ‘개방·공유·소통·협력’을 골자로 한 ‘정부3.0’을 선포하며 1억 건의 공공 정보를 공개하겠다고 약속했다. 현재 공개된 31만 건과 비교하면 엄청난 수치다. 박 대통령은 “공공 정보를 개방해 부처 간 칸막이를 없애고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다짐했다. 올바른 방향이다. 이런 흐름을 잘 살려 가면 행정 패러다임의 대전환과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제 시장조사 기업인 가트너는 “데이터는 21세기의 원유”라고 정의했다. 누가 정보를 잘 처리·분석·활용하느냐에 따라 국가 경쟁력이 판가름 난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행정 정보들은 공무원들이 오랫동안 꽉 쥐고 공개하지 않았다. 이에 비해 미국·일본 등은 특정 사안에 대해 공공 부문과 민간 부문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강제하고, 정보 공개를 의무화하고 있다. 정보화 사회가 꽃피우려면 질 좋은 정보가 많이 생산되고, 막힘 없이 흘러야 한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우리의 ‘정부3.0’도 무늬만 정보 공개에 머물러선 안 된다. 핵심 정보까지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삼아 과감하게 개방할 필요가 있다. 그래야 새로운 정보화 사회로 도약하는 촉매제가 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개인정보 보호는 최대한 신경을 써야 할 것이다. 자칫 개인정보 유출에 따른 부작용으로 정보화 사회로 가는 도도한 흐름에 차질을 빚어선 안 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