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qual rights for smokers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Equal rights for smokers

The incremental extension of a smoking ban has gone into effect nationwide, leaving fewer public places for people to light up. The increased smoke-free zone inside buildings is a necessary step toward the goal of protecting public health and lives. At the same time, however, it is also not right to push smokers out onto the street just because they cannot kick their habit.

From the beginning of July, the government banned smoking in restaurants, bars and Internet cafes that occupy more than 150 square meters (1,615 square feet). The law would stretch to bars and restaurants of more than 100 square meters from January next year to lead to a complete ban in bars, restaurants and cafes from the beginning of 2015. Smoking in such places will cost individuals 100,000 won ($88) and owners of shops and private establishments up to 5 million won if they do not abide the no-smoking rule that includes posting non-smoking signs.

The smoking ban could help reduce health hazards from tobacco that can cause various types of cancers, including lung cancer. Few now disagree on the dangers of second-hand smoke. Everyone is entitled to smoke-free air. Resistance and complaints are inevitable, but in the long run an extensive smoking ban could help bring down smoking rates.

But the implementation of a smoking ban also has its downsides. Smokers are forced to go outside while dining and drinking to have a puff. As a result, streets in bar areas are filled with smokers after dark.

To prevent the streets from turning into smoker zones, private and public establishments alike should increase smoking lounges of adequate size and affordable environment to ensure the rights of smokers. Japan has been successful in enforcing smoking bans in workplaces and public spaces by segregating smoking quarters in parks, train stations and other non-smoking areas.

The government has gained the momentum to ban smoking inside buildings following a Constitutional Court ruling in 2004. At the time, the court ruled that the right to smoke belongs to the realm of individual rights to free choice and the pursuit of happiness, but could harm public health and non-smokers’ rights at the same time.

The right to light a cigarette should be as respected as the right to be protected from hazardous smoke. Authorities must come up with measures to respect both rights.



단계적 금연구역 확대에 따라 이제 전면 실내금연은 거스를 수 없는 대세로 자리 잡고 있다. 가장 소중한 가치인 생명과 건강을 지키는 차원에서 바람직하다고 본다. 다만 대책 없이 흡연자를 거리로 내모는 것만이 능사인지는 생각해봐야 할 대목이다.
정부는 지난 1일부터 150㎡ 이상 음식점과 주점, PC방 등에 대해 전면 금연을 시행키로 하고 단속에 들어갔다. 내년 1월 100㎡ 이상 음식점 등이, 2015년 1월에는 모든 음식점 등이 금연구역으로 지정된다. 적발 시 흡연자에 대해선 10만원의 과태료가, 금연을 제대로 고지하지 않은 점주에게는 최대 50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이 같은 금연 정책은 폐암 등의 원인이 되는 흡연을 줄이기 위한 것이란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나아가 간접흡연의 위해성(危害性)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다. 다른 사람에게 해로운 담배 연기를 강요할 권리는 아무에게도 없다. 일부 마찰이 있겠지만 흡연이 불편해지면 담배를 끊는 이도 늘어날 것이다.
그러나 실내금연에 따른 부작용도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식당 등에서 담배를 피우지 못하게 된 이들이 거리로 쏟아져 나와 흡연을 한다. 저녁시간대 식당가 부근을 걸을 때면 자욱한 담배 연기에 무방비로 노출된다. 한 쪽을 누르면 다른 쪽이 불거지는 일종의 ‘풍선효과’다. 거리를 ‘지저분한 흡연실’로 만들 게 아니라 일정한 장소에 실외 흡연 구역을 확대 설치하는 것이 옳은 방향이다. 그것이 혐연권(嫌煙權) 보장에도 맞다. 실제 일본 등에서는 공원·전철역 주변·금연거리 등에 흡연 가능한 공간을 마련하는 ‘분리형 금연’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실내금연 정책의 법적 근거가 된 것은 2004년 헌법재판소 결정이다. 당시 헌재는 “흡연권은 사생활의 자유·행복추구권 등에 의해 뒷받침되지만 국민 건강과 혐연권 보장을 위해 제한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혐연권과 충돌하지 않는다는 전제 아래 흡연권도 보호받아야 할 권리인 것이다. 혐연권을 철저히 보장하면서도 흡연권과의 조화를 모색하는 지혜가 필요한 때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