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ep closer to cooperation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A step closer to cooperation

Korea, China and Japan are three major pillars of a culture where Chinese characters are widely used. Even when people from the three countries cannot speak one another’s language, they still can communicate when they write down their thoughts in Chinese characters.

Just like one needs to learn the Latin language to understand classic European literature, citizens of the three Asian nations need to know how to read and write Chinese characters as they are a crucial medium which allows intellectual and cultural exchange among the three countries.

That’s why a committee comprised of 30 famous people representing Korea, China and Japan recently came up with the 800 most commonly used Chinese characters.

The bigwigs at the 8th annual conference on “Future-oriented cooperation among Korea, China and Japan” in Hokkaido, Japan earlier this week compared Korea’s 900 basic Chinese characters with China’s 2,500 commonly-used characters and Japan’s elementary-level 1,006 characters before settling on the 800. If the younger generation of the three countries learns them, it will lay the foundation for a further understanding of each other’s language and culture. We hope the decision will facilitate exchanges on intellectual and humanities issues in the future.

While the 800 characters are commonly used in the three countries, they are often different in form. While Koreans use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s, both the Japanese and Chinese use their own versions of simplified forms. Therefore, the meaning of the same Chinese character is sometimes different.

That said, the three countries need to review and discuss the tricky issue of sharing the 800 characters in real life. We hope the secretariat of the trilateral conference rolls up its sleeves to find effective ways for the three governments to take advantage of the same 800 characters. It could be of help if they mandate it that all elementary school graduates should be able to read and write the 800 characters.

In the middle of the simmering conflict over historical and territorial issues, a government-level dialogue among the three countries has yet to take place. The trilateral summit meeting among Korea, China and Japan, which was supposed to be held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year, couldn’t go ahead, not to mention the scheduled Seoul-Tokyo and Beijing-Tokyo summits.

The civilian-level conference, which presented a new paradigm for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carries a great meaning for a better future in the area. No doubt exchanges in the civilian sector are a stepping-stone for mature cooperation among the three countries.




한국과 중국, 일본은 한자문화권의 세 축이다. 말을 못해도 한자만 쓸 줄 알면 3국 국민 간에는 웬만큼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유럽의 고전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라틴어를 알아야 하듯이 한·중·일 3국의 동양문화를 이해하려면 한자를 몰라서는 안 된다. 한자는 한·중·일의 지적, 문화적 소통을 가능케 하는 매개체이자 연결고리다. 3국의 각계 저명인사로 구성된 한·중·일 30인회가 공통의 상용한자 800자를 선정해 발표한 것에 큰 의미를 부여하는 이유다.
‘미래를 지향하는 한·중·일 협력’을 주제로 8일 일본 홋카이도(北海道) 도야(洞爺)시에서 열린 8차 연례회의에서 한·중·일 30인회는 일본의 교육용 기초한자 1006자와 중국의 상용한자 2500자, 한국의 기본한자 900자를 토대로 공용한자 800자를 도출했다. 30인회의 평가대로 3국의 젊은이들이 이 800자를 익히면 어느 정도 상대방의 언어를 이해할 수 있는 지적 기반이 마련된 셈이다. 공용한자 선정이 한·중·일 미래세대의 인문 교류와 문화적 소통을 강화하고 촉진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공용한자라 하더라도 3국이 쓰는 한자체에는 차이가 있다. 한국은 정자(正字)를 쓰는 반면 일본은 약자(略字), 중국은 간자(簡字)를 쓰고 있다. 글자는 같지만 뜻이 다른 경우도 있다. 공용한자를 실제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이런 부분에 대한 검토와 논의도 필요할 것이다. 30인회의 공용한자 선정을 계기로 한·중·일 협력사무국이 발벗고 나서서 3국 정부 차원의 활용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초등학교만 졸업해도 상용한자 800자를 알 수 있도록 학교 교육과정과 연계시키는 것도 한 방법이 될 것이다.
역사와 영토 문제를 둘러싼 갈등으로 한·중·일 3국 정부 차원의 대화가 사실상 막혀 있는 상태다. 상반기에 열릴 예정이던 한·중·일 정상회담이 무산됐고, 한·일, 중·일 정상회담도 열리지 못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한·중·일 30인회가 차질 없이 개최돼 새로운 협력 아젠다를 제시한 것은 그 자체로 의미가 크다. 민간교류가 한·중·일 협력의 토대임을 새삼 확인하게 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