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stitutional Court turns 25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Constitutional Court turns 25

The Constitutional Court, a by-product of the nationwide democratization movement in 1987 that led to constitutional amendments to today’s government structure, has turned 25 years old. It has served as the last resort to defend civilian rights and constitutional values. Having reached full adult age, it must look back on its trajectory and also set a future direction.

In a commemoration ceremony Monday, Park Han-chul, chief justice of the court, said the Constitutional Court will have to serve as the center of the most substantial debates of our nation. He said justices should endeavor not only to resolve conflicts in our society, but also contribute to shaping its future values and direction. At the same time, the highest court should study changes in inter-Korean ties and prepare for post-unification constitutional problems so that it will be fully ready when such decisions are needed.

As the chief justice has said, the Constitutional Court exists to “unite the nation and society.” Over the years, the court has made landmark rulings, paving the way for confiscation of the wealth by Japanese collaborators during colonial days, declaring the emergency arrests and military actions of the Park Chung Hee regime unconstitutional, and vetoing a legislative motion to impeach former President Roh Moo-hyun.

The Constitutional Court now has to make bigger strides. The National Assembly has been passing excessive populist laws one after another. Thanks to sagacious decisions from the bench, most of the unjust laws made under authoritarian regimes have been fixed. The court must continue to review the constitutionality of questionable legislation strictly and fairly to help enhance legal stability and credibility. The public will not be able to accept and trust the Constitutional Court if it suddenly overthrows a decision that it repeatedly upheld in the past. A new justice on the bench should not influence the overall direction of the court’s rulings.

The court also needs to end the conflict it has with another high court: the Supreme Court. It will only trouble the people if the rulings and views vary widely in the nation’s two highest courts. Some law experts and judges demand a right to file a constitutional appeal on court rulings, while others suggest the two institutions be united in order to resolve the conflict once and for all. We hope the two institutions find a solution to the issue so that they can defend civilian rights and save costs.




교육부 집계에 따르면, 지난해 학교 부적응, 장기결석, 학교폭력 등으로 학업을 중단한 학생은 3만3500여 명에 달했다. 전체 학업중단 학생(6만8188명)의 절반 가까운 숫자다. 재적학생 중 학업중단율은 1.01%로 미국(2010년 7.4%), 독일(2010년 6.5%), 일본(2011년 1.3%) 등에 비해 낮다고는 하지만 숫자로는 결코 무시할 수 없는 규모다. 특히 최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출생신고 기준으로 취학대상 713만 명 중 28만 명이 학교·유학·직업훈련기관·병원 등 어떤 통계에도 잡히지 않는 ‘학교 밖 아이들’로 방치돼 있는 걸로 나타났다.
최근 학교를 떠나는 청소년 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떠오르며, 각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에 교육부도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학업중단 숙려제 개선, 대안교육 확대, 학교 밖 청소년 자립 지원 대책 등이 포함된 ‘학업중단 청소년 종합대책’을 다음달 중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실제로 최근 학교 밖 청소년 문제가 불거지며, 청소년들이 학교를 떠나게 하는 상황에 대한 논의가 진행됐다. 교실 붕괴와 고교 서열화, 교육의 양극화, 몰개성적인 경쟁 구도, 폭력적인 인터넷과 또래 문화, 교사들의 무관심과 책임 방기 등 다양한 문제가 지적됐다. 또 한국교총 등 교육 유관단체들이 학업중단 숙려제, 대안교육 확대 등 다양한 방안을 서둘러 제시하기도 했다.
이번 교육부가 발표한 실태조사와 대책마련도 이 연장선상에 있으며,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는 점에서 환영한다. 그러나 신속한 대책발표보다 중요한 것은 현상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학교를 포기하는 아이들에 대한 ‘공감’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아이들을 소외시키는 교육현장에 대한 검토와 교육계 인사들의 각성이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또 학교 밖 아이들에게 교육이 필요한지 치유가 필요한지 개별적인 접근을 통해 적절한 처방을 내주는 노력도 필요하다. 기왕에 마련하는 종합대책이 시류에 밀린 일회성 대책이 되지 않고, 학교 밖 아이들을 최대한 구제하는 실질적인 대책이 되기 바란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