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ep vigilance at sea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Keep vigilance at sea

Three years ago, North Korea fired hundreds of artillery shells and rockets at the inhabited frontline island of Yeonpyeong, killing four South Koreans. It was the first full-scale and blatant attack against South Korean territory since the 1950-53 Korean War, an escalation from the deadly skirmishes in the Yellow Sea in 1999 and 2009 and the Cheonan warship-sinking that claimed the lives of 46 sailors in 2010.

North Korea fired around 170 artillery shells, of which 80 hit the island, killing four and injuring 19, devastating residential and military facilities. The South Korean navy retaliated and killed about 10 North Korean soldiers. The sea border line in the Yellow Sea remains on high alert even today.

The South Korean military established defense command headquarters to protect the Yellow Sea and beefed up its military presence around the sea and coastal region with more K-9 howitzers, missile-equipped attack helicopters and new radar. Troops were also increased by 1,000. North Korean leader Kim Jong-un has also kept up his vigilance, visiting and encouraging frontline army bases on the North Korean side across Yeonpyeong Island. North Korea added multiple rocket launchers, surface-to-ship missiles, attack choppers, air-cushioned landing craft and special-purpose submarines around the coastal border areas.

Tensions have escalated due to the heightened military presence and confrontations between the two Koreas. North Korea has even threatened to target and turn South Korea’s presidential office into a “sea of fire” after the South Korean military held a joint army, navy, air force and marine drill around the island to demonstrate assertiveness and defense capabilities in commemoration of the attack three years ago. A military clash may be inevitable if tensions lead to skirmishes.

In order to tone down the military tensions on the sea, it is best to minimize the possibilities of a confrontation and gradually reduce military presence. But North Korea has only heightened its provocations and belligerence over the last two decades. South Korea can only respond by reinforcing deterrence readiness until the North gives up on its provocations and arms race. It’s an inevitable security dilemma. Residents of Yeonpyeong Island still live in fear of bombardment. Our military must keep up its vigilance and at the same time we must continue diplomatic efforts to ease sea tensions.



오늘은 3년 전 북한이 서해 연평도에 포격을 가한 날이다. 1, 2차 연평해전과 대청해전, 천안함 폭침 사건에 이어 북한이 처음으로 대한민국 영토를 대규모로 직접 공격했다. 무려 170여 발의 포탄을 쏘았으며 80여 발이 연평도 일대에 떨어져 민간인과 군인 4명이 숨지고 수십 명이 부상하는 한편 많은 민가와 군 시설이 파괴됐다. 당시 우리 해병도 즉시 응전해 북한군도 10여 명이 숨지는 등의 피해를 보았다. 그 뒤 3년 동안 남북한은 서해북방한계선을 두고 전력 증강 경쟁을 치열하게 벌여 왔다.
 우리 군은 서해도서방위사령부를 신설하고 자주포와 미사일 공격헬기, 신형 레이더 등 전력을 5~6배 늘렸으며 병력도 1000여 명을 증강했다. 북한 역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연평도와 맞닿은 장재도·무도 등 최전방 부대를 몇 차례 방문하며 전력 강화를 독려했다. 해변 인접 지역에 사거리가 긴 122mm 방사포와 지대함 미사일을 늘리고 헬기 공격부대와 부양정 상륙부대, 잠수정 등도 늘리거나 신규 배치했다.
 이처럼 서해 지역에서 남북 대치가 격화하면서 그만큼 긴장도 높아지고 있다. 우리 군은 어제 북한의 대규모 포격 도발 상황을 대비한 육·해·공 합동의 입체적 반격 훈련을 실시했고 이를 두고 북한군은 ‘서해 5도만이 아니라 청와대마저 불바다로 만들겠다’고 위협하기도 했다. 이 지역에서 만에 하나 충돌이 발생하면 지금까지 보지 못한 대규모 충돌로 확전할 위험성이 커진 것이다.


 기본적으로 서해 지역에서 군사적 긴장을 늦추려면 충돌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군비를 줄여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최근 20년 가까이 북한의 호전적 태도는 오히려 더 심해지고 있다. 결국 우리에게 남은 선택은 북한이 도발과 군비 경쟁을 포기할 때까지 강력한 응징태세를 강화하는 방법뿐이다. 안타깝지만 어쩔 수 없다. 그러나 연평도 지역 주민들이 3년이 지난 오늘도 여전히 공포심을 느끼는 것처럼 충돌의 상흔은 깊고 길다. 강력한 억지태세와 함께 긴장을 늦추기 위한 노력도 포기해선 안 되는 이유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