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ll the plug on price controls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Pull the plug on price controls

The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is considering whether to scrap state control of telecommunications fees to help bring down mobile service charges. Since 1991, the government has required dominant market players - SK Telecom in mobile service and KT in fixed-line service - to get government approval of their service charges, mainly to help latecomers compete. In the mobile field, market leader SK Telecom is the sole operator that comes under such scrutiny. Once SK gets approval for a new price level, the two other mobile carriers - KT and LG U+ - set their fees accordingly.

The mechanism has prevented a competitive range of service charges among mobile carriers. Since they cannot compete on prices, mobile carriers instead subsidize the purchase of mobile phones to attract customers, which eventually led to market chaos.

The carriers earlier this week vied in wasteful deals by giving away the Samsung Electronics’ latest mobile device, the Galaxy Note 3, for free in addition to a cash voucher of 200,000 won ($189).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plans to recommend punitive actions against the collaborative act, but fines are not likely to make the subsidy competition go away. Fines amount to hundreds of billions of won at most, while revenue from drawing new clients reaches up to trillions of won.

Mobile phone service carriers have to compete with better services and cheaper fees. They must not rely on winning clients by offering more and larger subsidies for phone purchases. Young people change phones easily when new models arrive, thanks to subsidies that end up burdening parents who pay for their phone bills. A family pays 150,000 won on average in telecommunication service fees each month, which eats up 7 percent of household income, sharply higher than the 2 percent average of households in OECD member countries. The three mobile carriers are estimated to have spent 8 trillion won combined to subsidize phone purchases. If they had spent the money to lower service charges, the heavy burden of mobile phone costs would have been substantially eased.

If the government abolishes the outmoded price control system, it could generate competition among the players. The three operators must compete by offering better services at affordable rates, instead of wasteful subsidy spending.



미래창조과학부가 통신요금 인가제 폐지를 검토 중이라고 한다. 요금 인가제는 후발 사업자 보호를 위해 1991년 도입됐다. 하지만 30여 년이 흐르면서 이동통신 3사간 가격 경쟁을 가로막는 대표 규제란 지적을 받고 있다. 현재 요금 인가제 적용을 받는 곳은 SK텔레콤이다. SK텔레콤이 정부에 새 요금제를 인가받으면 KT와 LG유플러스가 그대로 따라가게 된다. 통신 3사간 요금 인하 경쟁이 원천 차단돼 있는 것이다. 요금 경쟁이 막힌 통신사들이 대신 단말기 보조금 경쟁에만 매달리면서 통신 시장의 혼란과 무질서는 극에 달하고 있다. 며칠 전엔 갤럭시노트 3 같은 최신 단말기를 공짜로 주고 현금 20만 원까지 얹어주는 '마이너스폰' 경쟁까지 벌어졌다. 한 밤 중에 군사작전을 방불케 한 이 출혈 경쟁을 두고 '2·11 보조금 대란'이란 이름까지 붙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어제 해당 통신사들에 대한 강력 제재를 미래창조과학부에 건의하기로 했다. 하지만 제재 효과는 미지수다. 벌금은 많아야 몇 천억 원인데, 고객 확보를 통한 통신사의 이익은 수조 원에 달하니 보조금 경쟁이 사라질 리 없기 때문이다. 통신 시장은 요금과 서비스 경쟁이 돼야 한다. 단말기 보조금 경쟁만 판을 치는 시장은 정상이 아니다. 보조금 경쟁 때문에 20대~30대의 최신 단말기 구입 비용을 50대 이상 '호갱(호구+고객)'들이 대신 내주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내가 낸 비싼 통신 요금이 다른 사람의 단말기 값을 깎아주는 데 쓰인다면 문제다. 우리 가계의 통신비가 평균 한 달 약 15만 원으로 가계 소득의 7%를 차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2%보다 서너 배나 되는 것도 보조금 경쟁 탓이 크다. 지난해 이동통신 3사가 단말기 보조에 쓴 돈은 약 8조원으로 추산된다. 이를 요금 인하에 썼다면 세계 최고 수준인 가계 통신비를 상당부분 낮출 수 있었을 것이다. 정부의 통신 요금 인가제 폐지 검토는 규제 철폐와 경쟁 유도란 점에서 바람직한 방향이다. 이를 계기로 통신 3사도 보조금 같은 소모적 경쟁보다 요금과 서비스 경쟁을 통한 소비자 이익 보호라는 본연의 역할에 집중하기 바란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