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verhaul college admissions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Overhaul college admissions

An increasing number of college freshmen are dropping out of school or taking time off to retake the state-administered college entrance exam in the hopes of getting admitted to a better university. Those who retook the annual standardized exam increased from 68,000 in 2013 to 75,000 in 2014. And this figure has risen for three consecutive years. Among college freshmen, 17 percent have voluntarily dropped out of school. Tuition from dropouts amounted to over 50 billion won ($43 million), while some regional universities cannot even operate normally because too many students are dropping out mid-semester.

This phenomenon has exacerbated the financial burden for the parents, most of whom have been financially backing private tutoring for their children since high school. Now, many are paying college tuition as well as the cost for their children to attend cram schools in order to prepare for the college entrance exam. This fee is usually around at least 100 million won.

More students began to retake the college entrance exam after standards for the test were eased. Those who didn’t make it into the schools of their choice are now retaking the test, hoping that they will perform better this time. They are better advantaged than high school seniors, too, because they can focus entirely on preparing for the exam. Students unsatisfied with their current university or their majors are leaving their campuses on the expectation that they can get into better schools if they get their scores just a little higher.

The college entrance exam was made easier with the idea that it would decrease private tutoring costs. But so far, it has helped little to ease the burden on students or their parents. The increase in second- and third-time test-takers is proof.

In fact, education has only become more polarized, with students from well-to-do families making additional attempts.

Instead of sticking to the principle that the exam should be easier, authorities should instead revise it to test students on their academic
proficiency, not on the chances that they may not err.

College admissions procedures could also use some improvement. Students can apply to six universities, which include safety schools, and then they regret when they are accepted to their lesser preferences. The overall college entrance system needs to be revised to lessen the social costs and wasteful spending.




대학에 들어가자마자 휴학·자퇴하고 다시 수능을 치르는 반수(半修)가 매년 늘고 있다. 반수생 규모는 2014학년도 6만8000여 명에서 2016학년도 7만5000여 명으로 3년째 증가세다. 대학 신입생 중 휴학·자퇴자가 17%에 이르고, 자퇴생이 낸 등록금만 500억원이 넘는다. 특히 일부 지방대는 반수생 비율이 커 대학 운영에 차질을 빚을 정도라고 한다.
고교 내내 무거운 사교육비를 부담했던 학부모들은 반수 비용을 대느라 또 한 번 허리가 휘고 있는 실정이다. 우선 반수를 할 경우 대부분 입학하면서 낸 대학등록금을 날리게 된다. 게다가 반수 기간 동안 최소 1000만원이 넘는 학원비용을 대야 한다.
반수생이 늘어나는 가장 큰 원인은 변별력을 잃어버린 ‘물 수능’이다. 한두 문제 차이로 아깝게 원하는 대학에 가지 못한 학생들이 재도전을 선택하기 때문이다. 졸업생은 내신 등에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되므로 재학생보다 수능에 집중하는 데 유리하다. 반수를 통해 수능점수를 몇 점만 올려도 진학 가능 대학이 달라질 수 있다는 기대감이 대학 신입생들을 반수로 몰아가는 것이다.
교육 당국이 쉬운 수능 기조를 유지하는 명분은 사교육비를 줄이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별 정책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다. 반수생이 계속 늘어난다는 게 그 증거다. 반수는 상당한 학원비를 추가 부담해야 하므로 오히려 사교육의 ‘빈익빈 부익부’만 부채질하고 있다. 실제로 반수생 중에는 경제적으로 여유 있는 강남권 학생들의 비중이 높다.
교육 당국은 쉬운 수능을 고집할 게 아니라 적정한 변별력을 가질 수 있도록 시험 난이도를 조정해야 한다. 실력보다 얼마나 실수를 안 하는지에 달려 있는 수능을 그대로 두는 한 반수의 유혹을 막기 어렵다. 또 ‘암호책’처럼 난해한 입시전형제도를 보다 단순하게 정리할 필요가 있다. 수시만 여섯 번을 지원할 수 있다 보니 수험생들 간에는 원치 않는 대학이라도 일단 ‘안전판’으로 합격해 놓자는 심리가 강하다. 결국 최소한의 수능 변별력 확보와 복잡한 입시제도 개선이 반수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줄일 수 있는 길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