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 more empty slogans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No more empty slogans

Korean universities and colleges have long failed to meet the demands of industry.

Korean college graduates are highly qualified, but not necessarily immediately ready to join a company. According to the Korea Employers Federation, companies on average spend 59.6 million won ($52,000) to train a new recruit for an average 18.3 months.

The government announced a five-year outline to strengthen cooperation between corporations and universities. It will support joint programs in hopes of creating 50,000 new jobs by 2020. Its outline includes proposals to allow universities to form affiliated entities to directly hire graduates, support start-ups and increase rehiring.

It aims to boost student quotas in job-oriented departments, which now total 4,927, to 25,000 over the next five years. Some universities have already been successful in joint university-corporate programs, offering preferences to students in the program when it comes to hiring. The programs currently limited to semiconductors and the IT sector should expand to various departments. The plan also proposes creating funds to support start-ups created by graduate students and professors so that more will take a shot at starting up their own companies instead of looking for corporate jobs.

The government will spend 250 billion won annually for the next five years for a total of 1.2 trillion won.

But slogans and budget pledges do not necessarily lead to real jobs. Critics worry university campuses could become over-reliant on corporate capital.

What must come first is improvement in the standards of joint university-corporation projects.

Local universities earn 57.6 billion won in technology transfers, just 5 percent of their American counterparts.

Stanford University, which helps fuel Silicon Valley, earns over 70 billion won alone from technology transfers.

Systematic and persistent support for entrepreneurs is necessary. Candidates must be advised and promoted not only when it comes to starting a business but also in running one. Corporate-campus cooperation needs to branch out of the science and engineering departments to the liberal arts and various other fields to help generate creative and convergent jobs.

JoongAng Ilbo, April 13, Page 30


산업현장의 대졸자 수요·공급 미스매치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요인은 복합적이지만 대학이 안주하며 새로운 인력양성 생태계를 갖추지 못한 탓도 크다. 대졸 취업자의 실력이 좋다지만 기업체가 당장 써먹을 수 있는 것도 아니다. 한국경총에 따르면 신입사원 재교육에 평균 18.3개월, 5960만원이 든다고 한다. 현장 수요와 동떨어진 대학 교육의 현주소다.
이런 점에서 정부가 어제 내놓은 '산학협력 5개년 기본계획'은 일단 방향은 잘 짚은 것으로 평가된다. 대학과 기업의 산학협력을 지원해 2020년까지 5만 개의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대학지주회사·자회사를 통한 직접고용 ^창업지원 ^기술이전 활성화로 채용 확대 등의 방안이 제시됐다. 눈에 띄는 것은 4927명에 불과한 사회맞춤형 학과 학생을 2만5000명까지 5배 늘린다는 것이다. 대학·기업이 교육과정을 공동운영하고, 채용 시 우대하는 제도로 일부 대학이 성공을 거둔 모델이다. 반도체나 정보기술(IT) 등 특정 분야에서 벗어나 여러 전공으로 확대해야 한다. 대학창업펀드를 조성해 대학원생과 교수들의 스타트업을 지원해 구직 패러다임을 창업으로 전환한다는 내용도 참신하다.
5개년 계획에는 연간 2500억원씩 1조2000억원이 투입된다. 하지만 돈을 쏟아붓고 구호만 외친다고 대학발(發) 일자리가 생기는 건 아니다. 대학 교육이 산업체에 종속될 우려가 있다는 지적을 고려한 세부 계획을 촘촘히 짜야 한다. 그 첫걸음이 산학 기술의 질 향상이다. 국내 대학의 기술이전 수입은 576억원으로 미국 대학의 5%에 불과하다. 실리콘밸리의 모태가 된 스탠퍼드대는 연간 700억원이 넘는다. 4%의 벤처가 신규 일자리의 60%를 만드는 미국의 힘이기도 하다.
더 중요한 것은 창업자에 대한 체계적이고 연속적인 지원이다. 창업뿐만 아니라 경영 노하우까지 지원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거품이 될 우려가 있다. 산학협력의 범위도 이공계 중심에서 문화·예술 등 다양한 분야로 넓혀야 한다. 그래야 창의적인 융·복합 일자리를 계속 만들 수 있을 것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