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ed to build confidence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Need to build confidence

The deposits for jeonse, or lump-sum rental payment usually for two-year residential lease in Korea, averaged 200,320,000 won ($173,362) last month on a nationwide basis, according to KB Kookmin Bank. In Seoul, the average jeonse price hit over 400 million won. Runaway jeonse prices have been choking Koreans’ finances for a long time. The average jeonse prices that have been on the rise for nearly five years, jumped 54.4 percent from an average 129,750,000 won in June 2011. The cost of a lease has exceeded the value of apartments in many areas across the nation and it has reached 80 to 90 percent of the market value of homes in Seoul.

Macroeconomic factors like prolonged low interest and the economic slowdown have fanned rent prices. As bank deposits yield no more than 2 percent a year, homeowners prefer monthly rents over long-term contracts. Tenants defer home purchases as prospects on home value are poor amid demographic changes from low births and aging. Jeonse prices have shot up due to the scarcity in supply and an increasing shift to monthly leases.

Government impotence and shortsightedness has also worsened the problem. The government under President Park Geun-hye resorted to real estate stimuli to boost the economy and achieve growth target. It made it easier for working class people to take out loans from financial institutions, regardless of their affordability. It then encouraged the market shift to monthly rent system even as the fast transformation brought about upsets and disruptions in supply and demand.

The public housing policy was oriented towards monthly supply and demand. “New Stay” apartment leases at affordable rates have been offered by the private sector not the government. The government kept just half of its promise to create 110,000 homes for public rents a year. The crushing defeat by the ruling party in the last legislative election was partly because of public disgruntlement over home insecurity.

People are being pushed further and further to the outskirts of Seoul in search of available or affordable homes. Due to heavy housing costs, consumer debt keeps piling up and spending is depressed. If the government does not see the seriousness of the housing problem, it will not only fail to revive the economy, but also lose public confidence. The government and ruling party must come up with stronger measures to bolster supply.

JoongAng Ilbo, May 7, Page 22


평균 전셋값이 사상 처음으로 2억 원을 돌파했다.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의 주택 전셋값 평균은 2억32만원을 기록했다. 서울 아파트는 지난달부터 4억원을 넘어섰다. '미친 전셋값'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2011년 6월 1억2975만원이던 전국 평균 전셋값은 4년 10개월간 계속 오르며 54.4% 상승했다. 전셋값이 매매가를 넘어선 지역이 속출하고, 서울에서도 매매가의 80~90%를 웃도는 곳이 적지 않다.
전셋값 폭등엔 저금리와 장기 불황 같은 거시경제적 요인의 영향이 컸던 게 사실이다. 예금 금리가 연 2%도 안되니 집주인들은 전세보다 월세를 선호할 수밖에 없다. 세입자들은 저출산·고령화로 집값이 오르기 어려울 것으로 보고 주택 구입을 미뤘다. 이 결과가 월세로의 빠른 전환과 공급 부족에 따른 전세 대란이다.
하지만 정부의 무관심과 무대책이 이를 부추긴 것도 부인할 수 없다. 박근혜 정부는 경기 부양과 성장률 목표 달성의 주된 수단으로 부동산 활성화를 선택했다. 이를 위해 전셋값을 감당키 어려운 중산층과 서민에게 '빚 내서 집 사라'고 권했다. '월세가 전세보다 선진적인 임대차 방식', '시대적 추세'라며 주거 불안을 방관하는 모습까지 보였다. 임대대책은 전세가 아닌 월세에 초점을 맞췄고, 그나마 '뉴스테이'와 같은 민간임대로 유도했다. 매년 11만 가구씩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하겠다던 약속은 실제론 절반 가량만 지켜졌다. 지난 총선에서 수도권에서 여당이 참패한 것도 민생의 한 축인 주거 안정이 흔들렸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올 정도다.
지금도 서울 도심에서 외곽으로, 다시 경기 지역으로 밀려나는 '전세 난민'이 양산되고 있다. 전셋값 상승에 따른 주거 부담으로 우리 경제의 고질병인 가계부채와 소비 위축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그런데도 주거 불안이 별 것 아니라는 안이한 자세로 일관했다간 경제 성과는 물론 국민의 신뢰까지 잃을 수 있다. 정부와 여당은 이제라도 공공임대주택의 대대적 확충을 포함한 강력한 주거 안정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