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n is not Saenuri’s answe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Ban is not Saenuri’s answer

United Nations Secretary General Ban Ki-moon, whose every step and word raised a stir in political circles and sent commentators looking for signs of political connotation, tried recently to undercut speculations about his bid for the presidency.

He emphasized his visit to Korea had no personal or political relevance. He returned to New York and ended his closely-followed six-day stay at home, asking his off-the-record talks not to be overstated and pleading for public support so that he could finish his remaining second term as UN chief.

Ban’s itinerary in Korea was meticulously arranged. He said he would speak on his post-retirement plans after he returns to Korea upon completing his term in New York on Jan. 1.

He nevertheless expressed hope that his countrymen wouldn’t forget him during his absence and warned politicians that his running for presidency should be considered a variable.

His talks and the media attention he himself invited hardly befit the position of the highest neutral position at a world organization, with seven months left in his tenure.

The hubbub about Ban becoming part of the equation in the presidential race underscores the lack, or even barrenness, of eligible candidates in Korean politics.

The career diplomat has never set foot in politics and spent the last decade overseas. Even if he had any political ambition, he could not have easily dreamed about his chances if domestic politics were stable and he had public confidence.

The upsurge of Ban’s popularity stemmed more from public anxiety and skepticism about political impotence than the UN chief’s own aspirations.

The Minjoo Party of Korea responded hyper-sensitively, with former floor leader Lee Jong-kul proclaiming it would be catastrophic for the nation if someone like Ban becomes president. A mudslinging campaign was launched even before Ban formally joined the race.

The Saenuri Party is even more pitiful, trying to do everything to woo him to run as their candidate. The party’s floor leader, Chung Jin-suk, and other heavyweight members surrounded Ban as soon as he set foot in the country, and other members from North Gyeongsang province all made appearances at events in which Ban took part.

Why the Saenuri Party thinks Ban would join their party is also questionable, as he had served as a foreign minister and was pitched as UN secretary general candidate while serving under President Roh Moo-hyun, whose political roots lie with the Minjoo Party.

The Saenuri Party is more or less admitting it lacks any formidable candidate from its own party. It has lost even the most traditional conservative support base because of its factional dispute.

But the party is underestimating voters if it thinks it can win them back simply by getting Ban on its team instead of carrying out reforms. The only way for the Saenuri Party to recover public confidence before it’s too late is to completely disband the mainstream faction loyal to the president and pursue party reform.

JoongAng Ilbo, May 31, Page 30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어제 "저의 방한 목적은 개인적이거나 정치적인 것과 무관하다. 비공개 기자간담회 발언이 과대·확대·증폭됐다. 남은 임기를 잘 마치도록 국민 여러분이 도와달라"는 말을 남긴 채 뉴욕으로 출국했다. 5박6일간의 '반기문 잔치'는 끝났다. 반 총장의 방한 일정은 정교하게 짜여진 동선에 따라 진행됐다. 내년 1월1일 한국 시민으로 돌아와 출마여부 결심을 공식적으로 밝히겠다고 했지만 국민에겐 '반기문을 잊지 말라', 정치권에겐 '나의 대선출마를 상수(常數)로 생각하라'는 주문을 하고 떠난 것으로 봐야한다. 반 총장은 임기가 7개월 남았는데 세계기구의 최고위 공직자로서 지나치게 정치적인 처신을 했다는 일부의 비판을 겸허하게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반 총장의 대권성 행보에 온 세상이 들썩이며 신경을 곤두세우는 모습을 보면서 우리는 한국 정치권의 인적 기반이 이토록 부박하고 취약했던가하는 실망감을 숨길 수 없다. 반 총장은 평생을 정치에 발을 들여놓지 않았고 10년간 외국에서 살았다. 아무리 권세욕이 있더라도 정치권이 국민의 신뢰를 얻고 안정돼 있었다면 그가 쉽사리 권력의지를 표출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반기문 잔치는 반 총장의 의욕에서 생겼다기보다 정치권의 무능과 불신,불안이 자초했다는 점을 냉정하게 짚어야 한다.
더불어민주당의 이종걸 의원(5선·전 원내대표)은 출국을 준비하는 반 총장의 뒤통수에 대고 "대통령이 되면 국민이 시궁창에 버리는 이름이 될 지 모르겠다. 반 총장같은 사람이 나타나 재앙이라고 생각한다"는 20대 국회 1호 막말을 했다. '반기문 현상'을 오로지 정파의 이해득실과 정치공학으로만 바라보는 천박하고 상스러운 인신공격이 아닐 수 없다.
반 총장을 꽃가마에 태워서라도 불러들이겠다는 새누리당의 나약한 몸부림도 더 봐주기 어려웠다. 방한 첫날부터 정진석 원내대표를 비롯한 당의 중진들이 상전 모시듯 그의 주변을 에워쌌고, 경북 행사에는 의원들이 줄줄이 따라 다니며 대권후보에게 눈도장을 찍는듯한 장면을 연출했다.굳이 정치적 인연으로 따지자면 반 총장은 노무현 대통령 시절 외교장관을 지낸 뒤 유엔 사무총장에 선출돼 더민주에 뿌리가 있는 사람이다.
이런 반 총장에게 새누리당이 호들갑을 떨며 접근하는 것은 4·13총선 참패 뒤 당이 대선주자의 빈집처럼 황폐해졌기 때문이다. 작은 혁신의 움직임마저 친박 패권주의가 짓밟는 바람에 전통적인 보수지지층의 이탈이 심각해졌다. 이 상황이 두려워 지푸라기라도 잡겠다는 게 반기문에게 구애하는 새누리당의 심정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 반기문 현상을 당의 개혁을 지체시키거나 거부하는 빌미로 삼는 것에 속아넘어갈 유권자는 없다. 친박이 김용태 의원을 끌어내리고 대신 앉힌 김희옥 혁신위원장의 개혁 약속에 감동하는 국민도 별로 없다. 새누리당은 지배세력인 친박이 확실하게 계파를 해체하고, 당권이니 대권이니 하는 욕심의 언어을 포기하는 등 내적 혁신을 이룬 뒤에나 반기문 카드를 꺼내야 할 것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