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sistent parachutes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Persistent parachutes

The parachute appointment system lives on, giving cushy retirement jobs to the well connected.

According to data that Kim Hae-young of the Minjoo Party obtained from the Fair Trade Commission (FTC) from 2012 to 2016, of 20 officials of fourth-grade rank or higher retiring from the antirust agency, 17 got jobs at large companies or law firms. They bypassed the ethics code banning government officials from taking jobs at these firms in the three years after resigning from the government by getting prior approval from the Government Public Ethics Committee.

Law firms have long snapped up retiring FTC officials. There are over 40 working in the nation’s six largest law firms. The agency came under fire because six out of seven deputy FTC chiefs were found working in large law firms a few years ago.

Since the Sewol ferry disaster, which owed a lot to collusion between bureaucrats and businesses, President Park Geun-hye vowed to root out the parachute appointments. The National Assembly revised the ethics law to toughen regulations on post-retirement job placements.

But 16 of 17 who applied for rehiring were easily endorsed by the ethics committee. All 20 retirees got a new job within a year after retirement. One was back to work in just a month. The landing space for parachutes has simply gotten larger.

Big companies and law firms court FTC veterans because they do a good job lobbying against regulations on large companies. The primary role of the antitrust agency is to keep watch on unfair practices and slap fines or other punitive actions on misbehaving companies. It imposed billions of won in fines on ramyeon manufacturers and builders involved in the four-rivers restoration project for price-rigging. If caught, a company can be in real trouble.

The agency had to refund 312.6 billion won ($266.5 million) last year in excessive fines after losing lawsuits, up sharply from 11.1 billion won in 2011. Some speculate the agency overstates fines on purpose to give more work to former colleagues who have become lobbyists.
The bureaucratic community will lose the public’s confidence if it keeps up such shady connections with the private sector. The review process by the ethics committee must be made public, and anyone who does favors for former colleagues must be punished. The restrictions on hiring former government retirees should be toughened, and exceptions should be limited.

JoongAng Ilbo, June 28, Page 30


공정거래위원회의 고질적인 '전관 예우'가 다시 한 번 확인됐다. 김해영 더불어민주당 위원이 공정위에서 제출받은 '2012~2016년 공직자윤리위 취업 심사 통과자 현황'에 따르면 공정위의 4급 이상 퇴직자 중 재취업을 신청한 20명 가운데 17명이 대기업·대형 로펌에 들어갔다. 이들 대기업과 로펌은 공직자윤리법에 규정된 '퇴직 후 3년간 취업제한' 기관이다. 그러나 이들은 공윤위의 승인을 거치면 취업이 가능하다는 예외 조항을 활용해 재취업했다.
공정위 전관들의 로펌행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6대 로펌에 재직 중인 공정위 출신만 40명이 넘는다. 공정위 부위원장을 지낸 7명 중 6명이 로펌에 소속돼 사회의 눈총을 샀던 일이 불과 몇 년 전이다. 세월호 참사 이후 박근혜 대통령은 '관피아'를 척결을 다짐했고 국회는 공직자윤리법을 고쳐 취업 제한을 강화했다. 그런데도 이번에 재취업한 17명 중 16명이 세월호 참사 이후에 공윤위의 심사를 통과했다. 20명 전원이 퇴직 1년 이내 재취업했으며 1개월 만에 재취업한 사례도 있다. 신속함에 혀를 내둘 정도다. 공피아(공정위+마피아)가 수그러들긴커녕 더 극성을 부리고 있는 것이다.
대기업과 로펌이 공정위 출신을 선호하는 이유는 뻔하다. 대기업 불공정 행위의 방패막이로 쓰겠다는 것이다. 경제 검찰로 불리는 공정위는 각종 담합을 적발하고 거액의 과징금을 물린다. 라면값·4대강 답함 등엔 수천억원대의 과징금을 매겼다. 잘못 걸리면 기업이 휘청거릴 정도다.과징금을 과도하게 물렸다가 소송에 져 되돌려 준 돈이 2011년엔 111억원이었지만 지난해엔 3126억원으로 크게 늘었다. 이를 두고 '전관 역활'을 배려해 공정위가 기업 과징금을 부풀린다는 해괴한 소문까지 나돌 정도다.
이런 커넥션을 방치해선 나라의 미래가 없다. 현재 비공개인 공윤위의 심사를 공개하고, 전직의 청탁을 받아주는 현직들까지 강도 높게 처벌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필요하면 취업 제한 퇴직공무원 범위를 더 확대하고 예외 조항 적용을 엄격히 제한해야 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