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mming the tide(국문)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Stemming the tide(국문)

“It was unbearable to see,” said a friend who enjoys cycling. He had just returned from a trip to the Yeongsan River in South Jeolla. A bike path paved with a wooden deck runs along the picturesque river, a product of the 22 trillion won ($20 billion) fourrivers restoration project.

But his joyful ride was soon cut short. “When I looked down, I saw stagnant water filled with terrible algal bloom. They shouldn’t have made the bike path along the river. It was terrifying to see the green tide so up close.”

A video sent to me a few days ago by a junior reporter from the Nakdong River was equally shocking. Thick algal bloom gushed out when
fishers opened up a net full of grey mullet caught in the river. It was unbearable to broadcast the image. The algal bloom in the rivers is affecting the fish.

The phenomenon is spreading across the country. I often pass by the spot where the Anyang Stream meets the Han River when I go for a run or bike ride. The area is known for its sewage smell. Recently, the Seoul city government decided to send two ships to remove the algal bloom. Not even the Han River is free from the green tide.

There are various causes for algal bloom. In the Yeongsan River and Nakdong River, water reservoirs made them flow slower. This year’s heat waves aggravated algal bloom. The inflow of farming and domestic waste water is also a culprit.

The four-rivers project is also a clear suspect as one of the main causes. It’s been three years since construction has been completed, but the destruction of the ecosystem is worsening. It is great to make better use of the rivers by making bike paths, and it is important to control the water to prevent floods and droughts. But without healthy, flowing water, all of these things are useless.

A few years ago, I had a chance to visit several national parks while in the United States. It was the first country in the world to establish a national parks system to prevent individuals from owning and damaging natural environments. The country takes pride in its national parks as “America’s best idea.” The system deserves praise, and other countries have taken up the idea as well.

The National Park Service was established in 1916, and on Aug. 25, it celebrated its centennial. The American media highlighted the nature and ecosystems that the service has preserved for 100 years.

Of course,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are controversial topics in the United States. One can find roads, camping facilities and supermarkets at Sequoia, Kings Canyon and Yosemite. But in most cases, the national parks refrain from artificial modification of the environment, allowing visitors to respect, preserve and pass down nature’s beauty to the next generation.

When it comes to environmental policies such as the reduc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the Korean government is world class and more eager than countries with more serious pollution problems. I want to ask the government why it doesn’t do the same for rivers where gray mullet are filled with algal bloom and with the water we drink every day.


*The author is head of the investigative reporting team for national news at JTBC.

KIM JOON-SOOL


“목불인견이라는 생각밖에 안 들더라고요.” 자전거 여행을 즐기는 지인이 “전남 영산강에 다녀 왔다”고 했다. 풍광 좋은 강가에 나무 데크로 만든 자전거 길은 낭만적이었다. 22조 원을 투입한 ‘4대강 사업’의 산물이다.
하지만 즐거움은 잠시였다. “밑을 보니 물은 고여 있고, 보기에도 끔찍한 녹조만 가득했어요.” 그의 탄식은 계속됐다. “자전거 길을 강 옆에 조성하지나 말지…. 바로 옆에서 녹조를 직접 본다는 게 어처구니없었죠.”
며칠 전 낙동강 취재에 나선 후배 기자가 보내온 영상도 충격이었다. 현장에서 그물에 걸려 죽은 숭어 배를 가르니 걸쭉한 녹조가 쏟아져 나왔다. 뿌연 화면으로 가리지 않고선 방송이 어려울 정도였다. ‘녹조 라테’에 이은 ‘녹조 생선’의 출현이다.
이런 일이 남의 얘기 만은 아니다. 가끔 자전거ㆍ조깅 운동을 하다 안양천ㆍ한강의 합류 구간을 지나곤 한다. 평소에도 시궁창 냄새가 곧잘 나던 곳이다. 그런데 최근 서울시가 이 부근에 ‘녹조 제거선’ 2대를 투입키로 결정했다. 한강도 안전 지대가 아니라는 얘기다.
녹조 창궐의 주범으론 여럿이 꼽힌다. 영산강ㆍ낙동강 같은 곳에선 ‘수중 보’가 물을 가둬두면서 강 흐름이 느려진 점에 주목하는 이들이 많다. 올해엔 폭염까지 겹치면서 녹조를 부채질했다. 축사ㆍ생활 폐수의 유입 때문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분명한 건 4대강 사업도 주된 원인의 하나로 의심받는다는 점이다. 공사를 끝낸 지 벌써 3년이 넘었다. 하지만 ‘생태계 파괴’ 논란은 갈수록 심해진다. 자전거 길을 만드는 ‘친수(親水)’도 좋고, 홍수ㆍ가뭄에 맞서는 ‘치수(治水)’도 필요하다. 그러나 넘치는 생명력으로 살아 흐르는 ‘활수(活水)’가 없으면 모두 무용지물 아닌가.
몇 년 전 미국에 머무는 동안 서부의 국립공원 여러 곳을 답사할 기회가 있었다. 개인이 자연을 소유해 훼손되는 걸 막기 위해 세계 최초로 ‘국립공원 제도’를 고안한 나라가 미국이다. 그들 스스로 ‘미국 최고의 아이디어(America’s best idea)’라고 자랑할 정도다. 다른 나라들까지 제도를 수입해 갔으니 그럴만하다.
마침 1916년 출범한 국립공원관리청이 지난달 25일 ‘100주년’을 맞았다. 언론들은 1세기 동안 지켜온 자연과 생태계를 자랑스레 집중 조명했다. 물론 미국이라고 ‘개발’과 ‘보존’ 사이에서 논란이 없진 않다. 세쿼이아ㆍ킹스캐년ㆍ요세미티 같은 국립공원에 가보면 곳곳에 도로ㆍ캠핑시설ㆍ슈퍼마켓 등이 들어서 있다. 하지만 대부분 자연의 ‘인위적 변형’을 자제하고 방문객과 공존하며 후손에 대물림하는 원칙을 지킨다.
우리 정부는 ‘온실가스 감축’ 같은 환경 대책에선 세계 최고 수준이다. 한국보다 급한 오염국들을 제치고 열심히 달려든다. 정부에 묻고 싶다. 녹조 숭어가 나오는 강물, 우리가 매일 먹어야 할 물은 왜 그렇게 못하나.

김준술 JTBC 사회2부 탐사플러스팀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