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will to resolve economic crisis?(국문)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A will to resolve economic crisis?(국문)

My family got together over the Chuseok holiday table. We were so happy to see one another and made well-wishing remarks. “You look very well,” and “Your children have grown up!” After exchanging blessings with smiles, the conversation moved on to what was going on in the world. Then, the smiles disappeared from our faces.

A relative who works for a large corporation said that the company’s business was very slow and he was worried about restructuring. Another relative working for a different company said, “It may seem from the outside that the company was doing well without many problems, but the atmosphere in the office has frozen.” The company was focusing on its core business and reducing the number of executives, and employees are worried that certain departments may be sold. He was frowning throughout the conversation. While large corporations are much better off than small and medium-size businesses, employees still feel anxious and worry about layoffs.

The mood turned more serious as we talked about children. A son of a relative graduated from college three years ago but hadn’t found a job. Another relative said that the company that his grandson worked for went out of business this year, and he was starting a new venture with a friend. But they have yet to make money. A relative with children in college was worried about the future. The family reunion ended with sighs.

The common concern that inspired the anxiety was economy. Since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took office in 2013, the economy has been steadily declining, and the lives of average citizens have worsened. In surveys, four or five respondents out of 10 have said that their financial situations were worse than the previous year. The government expanded the unemployment budget from 10 trillion won ($8.95 billion) in 2012 to 15 trillion won this year, but the unemployment rate of Koreans ages 15 to 29 is constantly rising. In 2012, it was 7.4 percent, but this February, it reached a record-high 12.5 percent.

During the 14 quarters of the Park administration, the actual GDP grew by more than 1 percent from the previous year only three times. In all other quarters, the growth rate was flat. The Korean economy is driven by exports, but exports had losses for 19 consecutive months compared to the same period in the previous year and showed a brief rise of 2.6 percent last month.

However, most experts say that it is a temporary increase due to two additional working days. Exports in the first 10 days of September fell 3.6 percent compared to last year. Moreover, household debt rose to a historic high of 1,257 trillion won in the second quarter. Young people are struggling to find a job and consumers are riddled with debt.

In every New Year’s address, Park uses the word “economy” most or the second most times. However, when the lives of the average citizens are on the edge, the government hasn’t produced a policy that can actually help the people. Is the current administration incompetent to resolve the economic crisis? Or is its attention somewhere else?

JoongAng Ilbo, Sept. 19, Page 30


*The author is the economic and industrial news editor of Korea JoongAng Daily.

KIM CHANG-GYU


한가위 차례상 앞에 친척이 모여 도란도란 이야기를 나눴다. 오랜만에 본 반가움에 밝은 미소와 함께 ‘얼굴 좋아졌다’ ‘아이들 많이 컸다’는 덕담이 오갔다. 덕담이 끝나고 세상사는 얘기로 이어지자 얼굴에서 미소가 사라지기 시작했다.
대기업에 다니는 한 친척은 “요즘 회사 일감이 줄고 있다”며 “구조조정을 하지 않을까 걱정된다”고 말문을 열었다. 그러자 또 다른 대기업에 근무하는 친척은 “외부에서 볼 땐 회사가 큰 문제 없이 잘나가는 것 같지만 분위기는 썰렁하다 못해 꽁꽁 얼어붙었다”고 말했다. 이 회사가 핵심사업 중심으로 역량을 집중하고 있어 임원 수가 갈수록 줄고 있는데다 어떤 사업부가 매각될 지 몰라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고 했다. 말하는 내내 찌푸려진 그의 두 눈썹 사이는 펴지질 않았다. 중소기업에 비해 사정이 나은 편이라는 대기업 직원도 실직 불안감을 온몸으로 느끼는 듯했다.
자녀 이야기로 이어지자 분위기는 더 가라앉았다. “○○이네 아들 말이야. 대학 졸업한 지 3년이 지났는데도 취직을 못했다네.” 다른 친척이 거들었다.
“내 손주도 중소기업에 다녔는데 올 초 회사가 망했거든. 그래서 동료랑 창업했다는데 아직 벌이가 거의 없어.” 대학생 자녀를 둔 친척은 “이렇게 취직하기가 어려우니 우리 애는 앞으로 어떻게 하느냐”며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었다. 결국 이날 차례상은 한숨으로 끝났다.
이들을 짓누르고 있는 불안감을 관통하는 건 경제였다. 2013년 2월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경제는 갈수록 움츠러들고 서민의 삶은 팍팍해졌다. 설문조사를 하면 지난해보다 살림살이가 나빠졌다는 응답자가 10명중 4~5명에 달할 정도다. 정부는 2012년 10조원이던 일자리 예산을 올해는 50% 가량 늘려 15조원이나 쏟아붓고 있지만 청년실업률(15~29세)은 해마다 치솟고 있다. 2012년 7.5%에서 올해는 2월에 사상 최고치(12.5%)를 기록하는 등 평균 10%대로 상승했다.
박근혜 정부 출범 후 14분기 동안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전 분기보다 1% 이상 성장한 건 세차례 뿐이다. 나머진 모두 0%대 성장률을 기록했다. 한국 경제의 성장엔진인 수출은 19개월 연속 마이너스(전년 동기 대비) 행진을 벌이다 지난달 반짝 상승세(2.6%)를 보였다. 하지만 대다수 전문가는 이를 조업일수(2일) 증가 등으로 인한 일시적 현상으로 진단한다. 당장 이달 1~10일 수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6% 감소했다. 여기에 가계부채는 2013년 1분기 962조원에서 올해 2분기에는 사상 최대치인 1257조원으로 불어났다. 경제가 위축되며 청춘들은 취업시장에서 피지도 못하고 지고 있고 개인은 빚에 짓눌리고 있다.
박 대통령은 해마다 신년 기자회견에서 ‘경제’라는 단어를 첫번째 또는 두번째로 많이 언급한다. 하지만 서민의 삶이 벼랑 끝에 와 있는데도 국민이 체감할만한 획기적인 정부 대책은 나오지 않는다. 현 정부는 경제 위기를 해결할 능력이 없는 것인가, 아니면 실제 관심이 다른 데 있는 것인가.

김창규 코리아중앙데일리 경제산업부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