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ting from debt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Profiting from debt (kor)

Korean banks enjoyed a bumper year in 2017. According to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the combined net profit at commercial and special-purpose banks more than tripled from 2.5 trillion won ($2.3 billion) in 2016 to 11.2 trillion won last year.

Their bottom line was helped by reduced loss reserves against struggling shipbuilders and shipping firms. Profit from interest jumped nearly 30 percent to 37.3 trillion won, the biggest since 2011.

It is great that banks are doing well, but the problem is that they still make money primarily by setting lending rates (the interest they charge borrowers) higher than borrowing rates (the amount they give back to customers for deposits).

The average difference in lending and borrowing rates rose eight basis points in 2017 to reach 2.03 percentage points. The spread widened to 2.32 percentage points in January, two months after the Bank of Korea raised its key rate for the first time in six and a half years. Banks are profiting from the colossal amount of debt held by Korean households.

In times of low interest rates, banks largely maintain rates through their own mechanism, so even if the central bank lowers its benchmark rate, borrowers don’t really feel the effect. But when the Bank of Korea raised its key rate in November, lenders were all too happy to charge higher interest again. They make easy money by acting fast in raising rates and slow in lowering them.

The Bank of Korea will almost certainly have to follow the Federal Reserve if it continues to raise interest rates.

The shock will translate to households owing as much as 1,450 trillion won. If banks do not correct their exploitative business, the pain will grow for the country’s debtors.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should strengthen its surveillance of banks and the pace of their rate hikes.

JoongAng Ilbo, March 2, Page 30


은행들의 이익이 크게 늘어났다. 어제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지난해 국내 은행(일반·특수은행) 잠정 경영 현황에 따르면, 당기순이익이 11조2000억원으로 전년보다 8조7000억원이나 많아졌다. 늘어난 당기순이익의 상당 부분이 조선·해운업 구조조정으로 인한 대손 비용이 줄어든 데 따른 것이지만, 은행들의 금리 장사도 한몫했다. 이자 이익이 전년보다 8.5% 증가한 37조3000억원으로 2011년 이후 최대를 기록한 것이다.
은행의 호실적을 시비할 일은 아니다. 하지만, 예대 마진(예금금리와 대출금리의 차이)을 이용해 손쉽게 돈을 버는 것은 생각해 볼 일이다. 지난해 평균 예대 금리차는 2.03%포인트로 전년(2016년)보다 0.08%포인트가 늘었다. 금리상승이 시작된 올 1월에는 2.32%포인트로 더 커졌다. 가계는 빚에 시달리는데 은행은 땅 짚고 헤엄치는 식의 이자 장사를 한다는 지적이 나올만하다.
은행들은 최근 몇 년간 계속된 저금리 기조에서 가산금리를 올리는 방법으로 수익을 지켜왔다. 대출 이용자들이 기준금리 하락 속도만큼 금리가 떨어지는 것을 느끼기 어려웠던 이유다. 지난해 11월 기준금리가 인상되자 은행들은 기다렸다는 듯 일제히 가계대출 금리를 올렸다. 금리 하락기엔 '찔끔 인하', 상승기엔 '대폭 인상'으로 이익을 챙겨온 것이다. 반면 금리 상승을 반영한 고금리 상품 출시에는 여전히 소극적이다.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리면 우리도 금리 인상에 나설 수밖에 없다. 그 충격은 1450조원의 가계 부채를 안고 있는 서민과 중산층이 고스란히 받게 된다. 은행의 이런 약탈적인 금리장사가 바로잡히지 않으면 그 고통은 더 커질 수밖에 없다. 금융 당국도 "예대 금리 차이 확대는 금리 상승기엔 어쩔 수 없는 현상"이라고 내버려 두지 말고, 적극적인 지도 감독에 나서야 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