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ears of the border people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he tears of the border people (KOR)

YUM TAE-JUNG
*The author is a deputy national news editor of the JoongAng Ilbo.

It’s been nearly 20 years since I visited Mount Kumgang in North Korea. When I went on the tour in the spring of 1999, I was excited and nervous. I couldn’t count if there were actually 12,000 peaks, but they were all beautiful.

At the peak of tourism to Mount Kumgang, teachers half-jokingly said that the trip to the mountain was the easiest of all. They instructed their students to follow directions and said that, otherwise, they would be captured by North Korean soldiers. There were some controversies over cost effectiveness, but until the tourism venture was suspended after a visitor was killed in July 2008, nearly two million tourists visited Mount Kumgang.

Goseong County in Gangwon is the South’s gateway to Mount Kumgang. The local economy thrived as overland tourism began in February 2003, following the sea route started in November 1998. After tourism to the North was suspended, the local economy collapsed. Up until the end of last year, the county suffered from total economic losses of 360 billion won ($336.3 million) as more than 400 businesses closed. In July 2009, a year after tourism was suspended, I visited Goseong and found several merchants drinking in the middle of the day at a dried fish store on the road to the Unification Observatory, lamenting their struggles.

The association of mayors and county leaders of 10 border cities and counties, including Yanggu County in Gangwon and Paju in Gyeonggi, has been asking the central government to expand assistance to the border region. It’s been 65 years since the truce, but many residents in the border region are still struggling. The region is like an island on land. They have been excluded from development due to military reasons, and their right to own property has been restricted.

The government drafted a border region development plan in July 2011 and announced a plan to invest 18.8 trillion won in an eco-tourism belt in the demilitarized zone. But it is still just a plan.

In March, Korea University Professor Park You-sung attended a National Assembly discussion session to seek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based on peace in the border region. He said, “There is no future in the border region” because of layers of regulations, the poor living environment, the aging population and low fiscal self-sufficiency.

The residents of the border region welcomed the April 27 Panmunjom Declaration more than anyone else. They are talking about new hope once again. They want to replace the term “border region,” which has a negative connotation, with “peace zone.” They are calling out for new development.

They had high hopes when inter-Korean exchanges began after the inter-Korean joint declaration on October 4, 2007, but then they lost hope. This time, their wishes should become a reality.

JoongAng Ilbo, April 30, Page 30

접경 지역의 눈물
염태정 내셔널 부데스크

금강산에 가본 게 벌써 20년 가까이 됐다. 1999년 봄 설레고 긴장된 마음으로 갔다. 1만2000개인지 세볼 수는 없었지만, 봉우리는 많았고 아름다웠다. 암벽 곳곳에 새겨진 붉은 글씨는 보기 흉했다. 들쭉술도 한잔했다. 관광이 한창일 때 교사들 사이에선 농반진반 ‘금강산 수련회가 다른 곳보다 편하다’는 얘기도 돌았다. ‘하지 말란 걸 하면 북한군에 잡혀간다’고 엄포를 놓으면 평소 말썽부리던 학생도 통제를 잘 따른다는 이유에서다. 비용·효과 등을 둘러싼 논란이 있지만, 관광객 피격으로 중단된 2008년 7월까지 195만6000명이 금강산을 찾았다.
강원도 고성군은 금강산으로 가는 길목이었다. 1998년 11월 해로관광에 이어 2003년 2월 육로관광이 시작되면서 고성 경제는 활기를 띠었다. 하지만 금강산 관광 중단 후 지역경제는 빠르게 무너졌다. 관광 중단 후 입은 경제적 손실이 지난해 말까지 3600억여원, 휴·폐업한 상가·숙박시설은 400여 곳에 달하는 것으로 고성군은 파악한다. 관광 중단 1년이 되던 2009년 7월 고성에 갔는데 통일전망대로 향하는 7번 국도변의 건어물 가게에서 상인 서너 명이 “살기 너무 힘들다”며 낮부터 술을 마시고 있었다.
고성군을 포함해 북한과 접해 있는 강원도 양구·화천군, 경기도 연천·파주군, 인천시 옹진군 등 10개 시·군이 속해 있는 접경지역시장군수협의회는 지난 수년간 중앙정부에 접경지역 지원 확대를 요청하고 있다. 전쟁이 끝난 지 65년이 됐지만 상당수 접경지 주민은 여전히 어렵게 산다. 접경지는 육지 속의 섬과 같다. 군사적 이유로 개발에서 소외됐다. 재산권 행사는 제한받았다. 전쟁의 불안은 어느 곳보다 크다.
정부의 지원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변한 건 별로 없다. 정부는 2011년 7월 접경지역 발전 종합계획을 만들어 2030년까지 18조8000억원을 들여 비무장지대(DMZ) 일대를 생태관광벨트로 육성한다는 구상도 발표했지만 지금도 여전히 구상일 뿐이다. 올해 3월 국회에서 열린 ‘접경지역의 평화·생명 가치에 근거한 남북 교류·협력 모색 토론회’에서 박유성 고려대 교수는 ‘접경지역에는 미래가 없다’고 했다. 중첩된 규제와 열악한 주거환경, 고령화, 낮은 재정자립도 때문이다.
접경지역 주민들은 4·27 판문점 선언을 누구보다 반긴다. 다시 한번 새로운 희망을 말한다. 부정적 어감의 접경지역이란 명칭 대신 긍정적 의미의 평화지역으로 부르자고 한다. 이번 기회에 개발에 힘을 더 써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하지만 희망의 목소리 속엔 ‘이번엔 믿어도 될까’ 하는 의구심이 있다. 2007년 10·4 남북 공동선언을 비롯해 남북교류가 잘됐을 때 희망을 품었다가 다시 접은 기억이 남은 탓이다. 이번엔 희망이 현실로 이어질 수 있을까.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