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t with planting trees (KOR)
Published: 06 May. 2018, 19:34
But South Korea cannot immediately initiate aid and cooperation due to international sanctions. It also cannot stay idle while North Korea fully dismantles its nuclear weapons — a process that could take years. While keeping key sanctions intact until the denuclearization process is verifiable, South Korea needs to gradually renew cooperation in areas that are permissible. The Blue House held a meeting to discuss follow-up measures to the Panmunjom Declaration and decided to launch a task force to study inter-Korean cooperation in forestry. Forestry is not included in the sanctions that mostly center on telecommunications and railway infrastructure, but it can contribute to the global environment.
Planting trees can directly help North Korea and also South Korea across the border. Although mountains cover 70 percent of the North, most of them are bare because North Koreans cut down the trees for heating. Forestation can prevent floods and provide food supplies to help farmers reduce the food shortage in the North. Kim has vowed to turn his country green, saying it is the contemporary generation’s responsibility not to hand down a rocky and barren land to the future generation.
North Korea set up a forestry science school at the elite Kim Il Sung University last March and broke ground for a forestry research institute in Pyongyang last month. Pyongyang has been paying attention to greenery projects as natural disasters increased after the deforestation during the Great Famine period in 1990s and worsened people’s livelihoods. According to a UN report, forests and woodland made up 47.1 percent in North Korea in 2010, a sharp decrease from 68.1 percent in 1990.
South Korea can share its knowledge about forestation with North Korea. The task force not only includes state institutions but private reforestation companies. The two Koreas can join to restore ecosystems and combat environmental challenges. They can invite the UN and other international bodies to help make the Korean Peninsula greener. This green campaign can contribute to accelerating the peaceful transformation in the region.
JoongAng Sunday, May 5-6, Page 34
‘4ㆍ27 판문점 선언’에 따른 후속 조치는 경제협력에서도 구체화돼야 한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남북 정상회담에서 털어놓은 “북한은 교통이 불비해 민망하다”는 표현은 경제적 대북 지원의 절실함을 숨김없이 드러낸 것으로 봐야 한다. 하지만 국제 사회의 대북 제재 때문에 남북 경협을 당장 시작할 수는 없다는 게 문제다. 그렇다고 수년간 걸릴 것으로 예상하는 완전한 북핵 폐기까지 손 놓고 있을 수만은 없다. 비핵화가 가시화될 때까지 제재의 고삐를 풀지 않되, 당장 가능한 분야부터 남북 경제협력을 단계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이런 점에서 그제 청와대가 ‘판문점 선언 이행추진위원회’ 첫 회의를 열고 산림협력 연구 태스크포스(TF)를 발족하기로 한 것은 현명한 조치다. 산림협력은 통신ㆍ철도 등 대북 제재 위반 사항에서 제외되고, 지구촌 차원의 환경 협력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점에서도 긍정적이다. 산림녹화는 북한의 가려운 곳을 긁어주면서 남북 경협의 마중물이 될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이다. 북한은 국토의 70%가 산인데도 땔감 확보를 위해 대부분이 벌거숭이 민둥산이 됐다. 이런 자연조건에서 산림녹화는 홍수를 막고 임야 개간으로 연결돼 북한의 식량 부족 해결과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김 위원장이 “조국의 산과 들을 푸른 숲 우거진 사회주의 선경으로 전변시키자는 것이 우리 당의 확고한 결심”이라며 산림녹화를 강조해온 이유도 여기에 있다. 2015년 2월에는 “후대들에게 벌거숭이산, 흙산을 넘겨줘선 절대 안 된다”고도 했다. 북한은 지난해 3월에는 김일성종합대학에 산림과학대학을 신설하고 지난달에는 평양 대성산지구에 산림연구원을 착공하는 등 산림 관련 학술ㆍ연구 기반 마련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북한이 산림녹화에 공을 기울이는 것은 1990년대 ‘고난의 행군’ 당시 마구잡이식 개간과 벌목으로 황폐해진 산림이 홍수와 산사태 등 자연재해의 원인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유엔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의 삼림 비율은 1990년 68.1%에서 2010년 47.1%로 급감했다고 한다. 북한이 절실히 원하는 만큼 우리는 그동안 축적한 산림녹화 기술과 노하우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 산림협력TF에는 산림청ㆍ임업연구원ㆍ수목관리원 등과 함께 SK임업 등 조림 전문기업의 참여도 필요하다. 이를 통해 남북은 한반도의 생태계 복원이나 환경변화에 공동으로 대응할 수 있다. 나아가 유엔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참여도 한반도를 푸르게 만드는 과정에 참여시킬 수 있다. 북한의 산림녹화가 한반도 평화 만들기에 물꼬를 트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