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lost generation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he lost generation (KOR)

SOHN HAE-YONG
*The author is a deputy industry news editor of the JoongAng Ilbo.

Employment portal Saramin’s analysis on data from Statistics Korea shows that 104,000 Koreans have never been employed as of the first quarter of 2018. Among them, young people in their 20s and 30s make up 85.6 percent, 89,000. At the end of 2016, this number was 54,000. The number of young job seekers with no work experience is on the rise.

In the first quarter, 1.26 million people were unemployed, the largest number since 2000. So it may not come as a surprise that young

people are still struggling to find jobs. However, this data caught my eye among hundreds of emails because of the desperate nature of youth employment. The youth employment issue is more serious than I thought.

Here, various factors contributed to the situation. As young job seekers are increasingly well educated, the number of jobs that suit their preference is limited. Companies also prefer experienced workers who can immediately be ready in the field. As fresh job seekers with no experience are competing with old jobseekers, the youth employment market gets more rigid. When young people are not given chances, the Korean economy loses its vitality.

The latest youth employment shock is largely due to demographics. The so-called echo-boom generation born between 1991 and 1996, who are the children of the second baby boomers born between 1968 and 1974, entered the job market in 2014. From 2017 to 2021, the number of young people in their late 20s will be around 390,000. Naturally, the unemployment rate for young people rises as the supply of jobs remains the same.

The problem is that policies negatively affecting job creation for the young people are being introduced, instead of boost measures. Companies hire less because of the rising labor costs as a result of the minimum wage hike. The government’s push for converting non-salaried workers to the permanent payroll only benefits those hired already as employers are more unwilling to hire new workers for fear of increased wage cost. The 52-hour work week can trigger automation and relocation of factories overseas.

In the United States, the unemployment rate fell to a record low in 18 years and hourly wages also rose by 2.7 percent. President Donald Trump has been pushing for business vitalization policies by removing regulations and lowering corporate taxes. Thanks to a boost in investment, a good cycle of new jobs and increasing incomes has settled in.

There can be different views on the situation, but it is clear that companies are the ones who create jobs. In the Korean business environment, where government policies add a burden on companies, they cannot afford to pay attention to investment and employment.



JoongAng Ilbo, June 15, Page 30

잃어버린 세대, 취업 무경험 실업자 8만9000명 손해용 산업부 차장
취업포털 ‘사람인’이 통계청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한국의 ‘취업 무경험 실업자’는 올 1분기 현재 10만4000명이다. 2030세대가 8만9000명으로 전체의 85.6%를 차지한다. 2016년 말에는 이 수치가 5만4000명이었다. 일자리 경험이 전무(全無)한 젊은 구직자가 그만큼 많고 계속 늘고 있다는 얘기다.
1분기 실업자 수가 125만7000명으로 2000년 이후 최대치라는데 이 정도가 뭐가 대수냐고 할 수 있겠다. 하지만 쏟아지는 수백 개의 e메일 가운데 이 자료가 눈에 들어온 것은 ‘청년 일자리’라는 절박함 때문이었다. 이는 일해볼 기회조차 잡지 못한 청년 백수가 크게 늘었다는 뜻으로 청년 일자리 문제가 생각 이상으로 심각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지표다.
여기에는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청년 구직자들이 고학력화되면서 이들의 눈높이를 맞출 양질의 일자리는 부족하다. 기업들은 ‘즉시 전력’인 경력직을 선호하는 추세가 짙어지고 있다. 취업 ‘현역’이 재수ㆍ삼수생과 경쟁하는 악순환이 반복되면 청년 고용시장은 갈수록 얼어붙을 수밖에 없다. 가장 창조적으로 능력을 쏟아부을 청년들이 좌절하게 되면 한국 경제ㆍ사회는 활력을 잃게 된다.
물론 최근 ‘청년 고용 쇼크’는 인구 구조적인 요인이 크다. 2차 베이비붐 세대(1968~74년생)의 자녀들인 에코붐 세대(1991~96년생)가 2014년부터 구직 시장에 뛰어들었다. 이로 인해 지난해부터 2021년까지 20대 후반(25~29세) 청년층은 총 39만 명 늘어난다. 일자리 공급은 제자리니 청년 실업률이 치솟을 수밖에 없는 구조다.
문제는 청년 일자리 창출에 ‘올인’해도 모자랄 판에 되레 악영향을 주는 정책이 쏟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인건비 부담으로 채용이 줄고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는 새로운 취업의 문을 좁게 만든다.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은 자동화 확대와 공장 해외 이전이라는 엉뚱한 결과로 이어진다. 모두 기업이 받아들일 준비가 안 된 상태에서 급하게 밀어붙이는 바람에 생긴 부작용이다.
한국과 달리 미국에선 지난달 실업률이 18년 만의 최저 수준으로 떨어지고, 근로자의 시간당 임금은 2.7% 오르는 등 고용 여건이 개선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취임 이후 각종 규제를 없애고 법인세율을 내리는 등 기업 활성 정책을 밀어붙인 효과다. 투자 및 채용이 늘고, 이는 새 일자리와 소득 증가라는 선순환으로 이어진 것이다.
현상에 대한 이견은 있겠지만 일자리를 만들어내는 경제 주체는 기업이라는 점은 분명하다. 지금처럼 기업 부담을 전가하는 정책이 쏟아지는 국내 경영 환경에서 기업들은 투자와 고용에 눈 돌릴 여력이 없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