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ent’s right to study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A student’s right to study (KOR)

NAM YOON-SEO
The author is an educational news reporter of the JoongAng Ilbo.

For decades now, colleges and universities have faced a crisis during class registration season. The difference is that students lined up overnight in front of the school registration offices in the 1990s, while these days they click madly on their computers in the hopes of securing the classes they want.

The problem is that this happens for both introductory major courses and courses required for graduation. If a student fails to register for certain classes on time, they will move on to the next levels without even taking basic classes. Students who fail to take all required courses for graduation often make class exchanges or beg professors.

Various methods are used to resolve the crisis. Yonsei University introduced a registration mileage system in 2015. Every student is given 72 points and bets on the courses, up to 36 points per course. Students who bet more points for a given course are registered first. Students may put “36 points” on a certain course they must take, or they can distribute their points through different classes. Students have criticized the system, saying the school has turned class registration into gambling. Other schools give priority to students based on their grades in the previous semesters or place students in a lottery.

A fundamental solution is to guarantee students’ right to choose as much as possible. Schools need to survey demands in advance and offer a variety of classes. Yet many schools stick to the supplier-oriented perspective of offering classes based on professors’ availability.

This year, the class registration crisis has reached its worst. Korea University’s student body announced a survey report that 74 major classes and 161 elective classes were reduced compared to last year. As more students failed to register for the classes of their choice, school message boards filled up with posts looking for open spots.

With the law protecting lecturers to start being enforced in August, universities began cutting the number of instructors and lecturers. As the number of lecturers decreases, fewer classes are offered and students are seeing more restrictions. It could get even more serious in the second semester, when the law on lecturers goes into effect.

The lecturers act will treat instructors as professors and require wages over the breaks. Colleges and universities claim they are suffering financial burden after freezing tuition for 10 years. Lecturers’ groups demand expanded financial subsidies by the government. Yet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allocated 2.88 billion won ($2.54 million) for the lecturers, about one eighth of the 230 billion won that colleges and universities demand. To protect students’ right to study, the government and universities must act promptly.

JoongAng Ilbo, March 11, Page 29

수강신청 대란…학습권은 뒷전인가 남윤서 교육팀 기자

예나 지금이나 학기 초 대학가에서는 ‘수강신청 대란’이 벌어진다. 원하는 수업을 신청하기 위해 1990년대에는 학교 전산실 앞에 밤새 줄을 섰지만, 지금은 각자 개인용 컴퓨터 앞에서 ‘광클’(미친 듯 클릭)을 한다는 차이가 있을 뿐이다.
문제는 이런 대란이 전공기초나 졸업 필수 과목에서도 벌어진다는 것이다. 제때 수강신청에 실패하면 기초 과목을 듣지 못한 채 고학년이 돼버린다. 졸업 필수 과목을 넣는 데 실패한 학생들은 강의를 거래하거나 ‘빌넣’(교수에게 빌어서 넣기)을 하는 경우도 다반사다.
대란 해결을 위해 기상천외한 방법이 나오기도 한다. 연세대는 2015년부터 ‘수강신청 마일리지 제도’를 도입했다. 학생마다 72점씩 마일리지를 준 다음 신청 과목에 마일리지를 베팅하도록 한다. 한 과목에 최대 36점까지 걸고 베팅 점수가 높은 학생이 우선 신청된다. 꼭 듣고 싶은 과목을 위해 36점을 ‘올인’하는 방법도 있고, 여러 과목을 듣기 위해 분산 투자를 하는 방법도 있다. 학생들 사이에서는 “수강신청을 도박판으로 만들었다”는 비판도 나온다. 이밖에 이전 학기 학점에 따라 우선권을 주는 ‘수강신청은 성적순’ 방식, 추첨으로 선발하는 ‘로또’ 방식을 택한 대학도 있다.
근본적 해결 방법은 학생의 선택권을 최대한 보장하는 것이다. 강의 수요를 미리 파악하고 다양한 강좌를 열어야 한다. 하지만 많은 대학은 여전히 교수 일정에 따라 강의를 개설하는 공급자 위주 시각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올해 수강신청 대란은 한층 심해졌다. 예를 들어 고려대 총학생회는 전년도 1학기와 비교해 전공과목 74개, 교양과목 161개가 감소했다는 자체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수강신청에 실패한 학생이 많아지면서 고대생이 사용하는 인터넷 커뮤니티에는 "반도체공학 삽니다" "기초통계학 구합니다" 등 강의를 거래하는 글이 이어지고 있다.
이는 8월 강사법 시행을 앞두고 대학들이 강사 수 줄이기에 나섰기 때문이다. 강사가 줄어든 만큼 강좌 수가 줄면서 수강신청 제약은 커진다. 강사법이 본격 적용되는 2학기에는 더 심각해질 수 있다.
강사법은 강사에게 교수 지위를 부여하고 방학 중 임금을 주는 내용을 포함한다. 10여년간 등록금을 동결한 대학은 재정 부담을 호소한다. 강사 단체들도 정부 재정 지원 확대를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교육부가 올해 확보한 강사 지원 예산은 288억원. 대학이 필요하다는 금액(2300억원)의 8분의 1에 불과하다. 학생 학습권이 뒷전으로 밀리지 않도록 정부와 대학의 대책이 시급하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